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현대건설[000720]이 'CDP(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 코리아 어워드'서 6년 연속 기후변화 부문 명예의 전당에 오르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14일 현대건설에 따르면, 글로벌 지속가능경영 평가기관인 CDP 한국위원회로부터 CDP 코리아 기후변화 대응 부문 6년 연속 '명예의 전당' 수상과 함께 CDP 최상위 등급인 '플래티넘 클럽'에 3년 연속 올랐습니다.
CDP는 기업의 탄소경영전략, 온실가스 감축노력 등을 투자자 및 이해관계자에게 공개하는 글로벌 프로젝트입니다.
전 세계 약 2만3000여개의 기업이 CDP를 통해 정보를 공개하고 있으며, 금융기관을 비롯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뿐만 아니라 UN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공신력 있는 지속가능경영지표로 꼽히고 있습니다.
현대건설은 기후변화 대응 일환으로 지난 2022년 10월 국내 상장 건설사 최초로 '2045 탄소중립'을 선언한 바 있으며, 지난 2023년 3분기 'SBTi(과학 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 승인을 획득하는 등 기후변화 전략을 선제적으로 수립했습니다.
특히,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2045 탄소중립' 추진전략인 'G-OPIS'를 수립했습니다. 'G-OPIS'에는 탄소중립을 위한 4대 추진전략(그린 오퍼레이션, 그린 포트폴리오, 그린 인베스트먼트, 그린 스프레드)과 단계적인 이행계획을 담았습니다.
해당 추진 전략에 따라 현대건설은 ▲업무용 차량 무공해 차량 전환 ▲에너지 절약형 가설사무실 도입 ▲계동사옥 LED 조명 및 단열 블라인드 시공 등 지속적인 온실가스 감축 활동 적용 및 확대를 추진할 방침입니다.
이를 통해 오는 2030년까지 기준연도 대비 Scope 1&2의 경우 46.2%, Scope 3의 경우 16.7%를 감축하고, 2045년엔 탄소중립을 달성할 계획입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CDP 최고 영예인 6년 연속 명예의 전당 및 3년 연속 플래티넘 클럽 등극은 2011년부터 CDP 참여를 통한 선제적이고 자발적인 탄소중립 경영과 기후변화 대응 능력을 평가받은 결과"라며 "앞으로도 글로벌 건설 리더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2045년 탄소중립 로드맵에 따른 중장기 전략과 목표를 통해 체계적인 온실가스 감축 활동을 이어가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