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코스닥 상장사 넥스트칩이 차량용 카메라 수요 증가로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다. ADAS(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 및 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한 신차가 늘어나며 수혜를 받을 것이란 분석이다.
2019년 앤씨앤에서 물적분할한 넥스트칩은 2022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다. 차량용 ISP(이미지 신호처리장치), 영상 실시간 영상 인식 ADAS SoC(단일 칩 시스템) 등 차량용 반도체 솔루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NH투자증권은 올해 차량용 카메라 탑재량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오는 7월부터 유럽지역에 출시되는 신차에 ADAS 장착 의무화 적용을 앞두고 있다. 유럽 내 출시되는 차량은 카메라 또는 센서가 있는 ADAS 기능을 탑재해야 한다.
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한 신차 출시도 차량용 카메라 수요를 견인할 것이란 분석이다. 올해부터 GM, BMW 등 완성차 업체가 자율주행 레벨3 기능을 탑재한 신차 출시를 앞두고 있다. 레벨3 이상의 자율주행차 비중은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도입이 확대돼 2030년까지 도입 비중이 50%를 넘을 것이란 전망이다.
강경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카메라는 직관성, 시인성을 지니고 있어 차량의 눈 역할을 한다"며 "ADAS 및 자율주행 기능 구현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어 "사물과 장애물을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는 고화질 센서 카메라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차량용 반도체 토탈 솔루션의 확대 적용도 예상된다. 넥스트칩은 2019년부터 현대기아차 모델에 단계적으로 자체 보유한 ISP를 적용했다. 2026년까지 현대기아차 56종 차량에 적용될 것으로 추정된다.
넥스트칩의 지난해 연결 매출액과 영업손실은 각각 162억원, 225억원으로 집계됐다. 올해 매출액과 영업손실은 각각 321억원, 237억원으로 예상된다. 내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705억원, 60억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할 것으로 추정된다.
강 연구원은 "차량용 반도체는 기술 난도가 높고 보수적인 산업 특성상 신규 진입이 쉽지 않은 시장"이라며 "안전문제와 연계돼 있으며 제조사 요구사항을 충족시켜야 하므로 개발까지 4년이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일단 공급이 확정돼 납품이 시작되면 차량 5년여간 안정적인 매출 확보가 가능하다"며 "ISP 부문은 국내 완성차향으로 적용 차종이 확대되며 매출액이 늘어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ADAS SoC가 향후 로봇 센서로까지 확대될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차량용의 경우 현재 유럽, 미국 등에 공급을 논의 중이어 내년 말 이후 양산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강 연구원은 "내년도부터 ADAS SoC 매출이 가미되며 영업이익 60억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한편, 넥스트칩의 주가는 연초부터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연초 1만원 후반대를 형성하던 주가는 최근 1만원 초반대를 기록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