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4·10 총선, 이하 총선)가 지난 5, 6일 사전투표를 마치고 10일 본투표를 진행합니다. 지난 6일 오후 6시 기준으로 사전투표율은 31.28%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역대 총선 사전투표율 중 최고치인만큼 유권자들의 투표 열기가 뜨거운 상황입니다.
투표소에 가기 전 반드시 챙겨야 할 것은 바로 신분증입니다. 특히, 투표 시 모바일 신분증을 제시해 본인 인증을 할 수 있게 되면서 모바일 신분증 활용에 대한 관심도 커졌습니다.
투표소에서 인정되는 모바일 신분증 및 확인서비스는 ▲모바일 신분증(운전면허증, 국가보훈등록증) ▲모바일 공무원증 ▲정부24(주민등록 확인서비스)입니다.
모바일 신분증의 경우 운전면허증에 이어 작년 6월에는 국가보훈등록증도 모바일로 발급받을 수 있게 되며 총 두 종류의 신분증을 사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모바일 신분증, 어디서 어떻게 쓸까?
모바일 신분증은 현재 ▲정부 앱 '모바일 신분증' ▲'PASS' ▲'카카오톡 지갑' ▲'삼성월렛'을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정부가 개인 휴대폰에 발급하는 법적 신분증인 '모바일 신분증'은 대면으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운전면허증과 국가보훈등록증을 발급받을 수 있으며 실물 신분증과 같은 법적 효력을 지녀 투표 시 신분 확인 용도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PASS'는 통신 3사의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는 2020년 6월 출시된 민간 최초의 공인신분증입니다. 계약된 사용처에서만 활용이 가능하며 '모바일 신분증'과 달리 비대면으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동일하게 투표 시 신분 확인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 지갑'은 2020년 12월 서비스를 시작해 현재 국가기술자격증 495종과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모바일 학생증, 주민등록등본 발급 서비스도 가능하며 투표소에서 신분증으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삼성전자의 '삼성페이'는 3월20일 모바일 신분증을 탑재하고 '삼성월렛' 서비스 개시를 가장 최근 선포했습니다. '삼성월렛'에는 '모바일 운전면허증'과 '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 등록이 가능하며 투표소에서의 신분 인증 등 다른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와 동일한 효력을 가집니다.

이와 같은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는 앱 캡쳐 화면이나 저장된 이미지는 효력이 없으며 반드시 앱을 켜서 실행과정을 보여줘야 본인 인증이 가능합니다.
사용 가능한 실물 신분증 종류는?
한편, 투표소에서 신분 확인용으로 사용 가능한 실물 신분증의 종류도 다양합니다.
주민등록증을 비롯한 ▲여권 ▲운전면허증 ▲공무원증 ▲국가보훈등록증(구 국가유공자증) ▲장애인복지카드 ▲학생증(본인 사진, 이름, 생년월일이 모두 기재된 경우) 및 관공서 또는 공공기관이 발행하고 사진이 첨부돼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이라면 투표 시 제시가 가능합니다.
주민등록증을 분실했을 경우, 주민등록증 발급신청 확인서를 제시해도 투표가 가능합니다. 이외에도 유효기간이 지난 여권, 운전면허증 등도 신분확인용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