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대웅제약은 노아바이오텍과 공동으로 진행한 토양 유용 미생물 발굴 프로젝트를 통해 보툴리눔 A형 균주를 발견하고 이를 분리·동정했다고 24일 밝혔습니다.
노아바이오텍 연구진은 국내 축사에서 보툴리즘 발병이 의심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시료를 채취했으며, 그중 한 샘플에서 보툴리눔 A형 균주를 분리해 질병관리청과 산업통상자원부에 신고를 완료했습니다.
대웅제약이 해당 균주의 유전자 분석을 진행한 결과, 미국과 유럽에서 확보된 균주와 동일한 독소 유전자 서열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또한, 상업용 톡신 생산이 가능할 정도로 충분한 독소 생성 능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입증했습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국내 자연에도 상업적 활용이 가능한 보툴리눔 A형 균주가 널리 분포해 있으며,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분리·동정할 수 있다는 사실이 다시 한번 확인했다는 게 회사의 설명입니다.
이번 성과를 통해 대웅제약은 국내외에서 총 7종의 보툴리눔 균주를 확보하게 됐으며, 지속적인 균주 연구와 공정 개발을 통해 보툴리눔 전문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계획입니다.
또한, 국내 보툴리눔 기초 연구 활성화를 위해 해당 균주의 연구 활용을 원하는 기관이 있을 경우 관계 기관의 승인을 거쳐 자유롭게 분양하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 이를 통해 국내 보툴리눔 톡신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대웅제약 관계자는 “이번 균주 발견을 바탕으로 보툴리눔 톡신 제품의 다양한 라인업을 구축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며 “국내 연구기관 및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보툴리눔 연구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