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Electronics 전기/전자

먹방·쿡방 다음은 ‘클방’…LG전자, 클리닝 콘텐츠 경쟁력 확보 나서

URL복사

Thursday, March 06, 2025, 14:03:59

'청소광 브라이언' 시작으로 클리닝 콘텐츠 인기
LG전자, '드라이 브라더', '스행비서' 등 웹예능 선보여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연예인들이 집, 학교, 회사, 시골마을 등을 찾아가 청소, 빨래, 의류 살균·탈취까지 해주는 '클리닝 방송'이 늘어남에 따라 LG전자[066570] 등 기업에서도 콘텐츠 구상에 뛰어들었습니다.

 

클리닝 방송의 유행은 지난해 유튜브 콘텐츠 '청소광 브라이언'으로 시작됐습니다. 지저분한 집을 찾아가 대신 청소해 주는 콘텐츠로 인기를 구가하며 공중파 예능 파일럿으로 역진출, MBC방송연예대상 디지털 콘텐츠상까지 수상했습니다.

 

이에 LG전자는 지난달 웹예능 '드라이 브라더'를 선보였습니다. 가수 장민호와 MC 붐이 '세탁·건조 해결사'를 자처하며 LG 트롬 세탁·건조기가 탑재된 드라이카를 타고 빨래 고민이 있는 사람들을 찾아가 도와주는 콘텐츠입니다.

 

어촌마을 편, 고성소방서 편, 눈 덮인 산촌 편, 대학 캠퍼스 편까지 총 4편이 공개됐으며 첫 화 업로드 3주 만에 순 조회수 230만회를 달성했습니다.

 

지난 12월에도 LG전자는 코미디언 이은지와 함께 한 '스행비서' 시리즈를 선보인 바 있습니다. 

 

스행비서는 '스타일러를 행하는 비서'라는 뜻으로 이은지가 성수동 길거리, 사무실, 고등학교 등 '출장 스비스'가 필요한 곳들을 찾아가 오염된 의류, 소품 등을 살균·탈취 관리해 주는 내용입니다. 

 

 

총 세 편 방영됐으며 첫 화 공개 4주 만에 순 조회수 약 278만회를 기록했습니다.

 

이 콘텐츠에서 이은지는 ATP 측정기(세균, 미생물 등 유기물질 오염도 측정), 냄새 측정기(공기희석관능법으로 섬유 깊이 박힌 악취 측정), 전자 확대경 등 휴대용 측정기를 들고 다니며 현장에서 만난 사람들의 옷이나 소지품 등 오염도와 냄새를 측정해 주었습니다.

 

측정 결과 고등학교 여학생이 두르고 있는 담요의 오염도는 593RLU, 베개로 쓰는 쿠션은 1214RLU, 회식 이후 베란다에 걸어놓은 코트는 1432RLU를 기록하며 공중위생 관리 기준치(400RLU)를 훨씬 넘는 오염도를 보여줬습니다.

 

이후 스타일러 맞춤 코스로 돌린 후 재측정한 결과 수치가 0~18RLU로 떨어졌습니다.

 

정수진 LG전자 한국영업본부 브랜드커뮤니케이션담당(상무)은 "유튜브 콘텐츠의 특성상 출연자들이 일반인들과 가볍게 잡담을 나누는 가운데 청결이나 위생, 건강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달라진 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라며 "앞으로도 고객들이 일상에서 느끼는 불편과 필요에 답해줄 수 있는 보다 흥미롭고 유용한 콘텐츠를 다양하게 만들어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이종현 기자 flopig2001@inthenews.co.kr

배너

“고가주택 신고가 거래후 취소 등 시장교란 집중점검”

“고가주택 신고가 거래후 취소 등 시장교란 집중점검”

2025.08.13 16:08:52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금융위원회는 13일 관계기관 합동으로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열고 부동산 관련 불법·탈법·이상거래를 면밀점검해 엄정대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날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회의에는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등 관계기관과 은행연합회, 5대 시중은행, 농협·수협·신협·새마을금고중앙회 관계자가 참석했습니다. 정부와 관계기관은 지역별 대출동향을 일일점검하고 주택거래 동향을 세밀하게 살펴 향후 주택시장 과열이나 가계부채 증가추세가 지속되지 않도록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특히 최근 고가주택 신고가 발생사례와 관련, 신고가 신고 이후 철회 등 인위적으로 가격상승을 부추기는 행위에 대해 집중 점검하기로 했습니다. 또 고가주택 자금출처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세금신고가 적정하게 이뤄졌는지 검증할 계획입니다. 이날 금융위·금감원이 공개한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7월중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2조2000억원 늘었습니다. 증가폭이 전달(+6조5000억원) 대비 34% 수준에 그쳤습니다. 지난 3월(+7000억원) 이후 최소 기록이기도 합니다. 대출종류별로 전 금융권 주택담보대출이 4조1000억원 불었습니다. 전달(+6조1000억원)보다 증가세가 둔화한 것입니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1조9000억원 감소했습니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통상 자금수요가 증가하는 7월의 계절적 요인에도 주담대와 기타대출 증가세가 모두 둔화된 것은 가계부채 관리강화방안(6월27일), 3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7월1일) 효과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다만, 이미 이뤄진 주택거래와 대출승인액을 감안할 때 당분간 주담대 중심으로 가계대출 증가추세가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회의 참석자들은 가계부채 관리강화방안 시행으로 전세가격이 상승하고 있다는 일각의 우려에 대해선 전세시장 불안요인은 크지 않다며 하반기 이사수요 등으로 전세가격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는 만큼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진단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