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 존 림)는 단순·인적분할 방식으로 '삼성에피스홀딩스'를 설립해 바이오 의약품 위탁 개발/생산(CDMO)사업과 바이오시밀러 사업을 완전히 분리한다고 22일 공시했습니다.
이번 분할을 통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순수 CDMO 회사로 거듭나며 순수 지주회사로 신설되는 삼성에피스홀딩스는 향후 바이오시밀러 기업인 삼성바이오에피스를 완전 자회사로 편입할 예정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CDMO 사업과 바이오시밀러 사업을 분리함으로써, 고객사와 경쟁하는 구조에 대한 잠재적 우려를 해소하고 양 사업의 독립적인 전략 수립과 투자를 가능하게 하겠다는 전략입니다. 각 법인은 독립적인 의사결정 체계를 구축해 사업 효율성을 제고하고, 주주가치를 높이겠다는 방침입니다.
글로벌 통상 환경 변화와 약가 인하 등 외부 정책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사업 리스크를 사전에 제거하고 선택과 집중 전략을 강화한다는 배경 아래 이번 분할을 결정했습니다. 회사 측은 CDMO 및 시밀러 분야에서의 빠르고 유연한 대응체계를 구축해 경쟁력을 높일 계획입니다.
신설 법인 삼성에피스홀딩스는 기존 삼성바이오로직스 내 자회사 관리 및 투자 부문이 분할돼 설립되며, 김경아 삼성바이오에피스 대표이사가 삼성에피스홀딩스 대표이사직을 겸임할 예정입니다.
분할 절차는 오는 7월 29일 증권신고서 제출을 시작으로, 9월 16일 주주총회 승인을 거쳐 10월 1일 법인 설립을 완료하게 됩니다. 이후 10월 29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변경상장, 삼성에피스홀딩스는 재상장될 예정입니다. 기존 삼성바이오로직스 주주는 0.6503913 대 0.3496087의 비율로 두 회사의 주식을 배정받습니다.
이번 분할은 인적분할 방식으로 진행되며, 기존 주주의 지분율에 따라 동일한 수준의 신주가 교부됩니다. 9월 29일부터 10월 28일까지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주식의 거래가 일시 정지됩니다. 회사는 주주가치 훼손 없이 분할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순수 CDMO 기업으로 전환된 이후 생산 능력 확대, 포트폴리오 다각화, 글로벌 거점 확대 등 3대 축을 중심으로 성장 전략을 이어갑니다. 항체·약물접합체(ADC), 아데노연관바이러스(AAV), 사전충전형 주사기(PFS) 등 미래 성장 분야에도 투자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삼성에피스홀딩스는 삼성바이오에피스를 통해 세계 1위 바이오시밀러 기업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20종 이상의 파이프라인 확보와 차세대 기술 투자에 나섭니다. 신약 플랫폼과 모달리티 기반 기술력 강화에도 집중할 예정입니다.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급격한 글로벌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민첩하게 대응하고 선택과 집중을 통해 양사가 각 사업에서 초격차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번 분할을 결정했다"며 "양사 모두가 성장을 가속화해 글로벌 톱티어 바이오 기업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