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olumn 칼럼

성공하는 인턴기자의 조건

URL복사

Monday, February 03, 2014, 00:02:14

[언론고시 특강] ⑫

언론계 입문을 위한 지상 특강. 국내 유일, 국내 최다 12만명의 회원수를 자랑하는 <언론고시카페-아랑>의 운영진의 협조를 받아 <인더뉴스>의 청춘 독자들께 촌철살인 언론사 취업팁을 전합니다. [편집자주]

 

[아랑카페 운영자] 인턴기자라는 신분은 꽤나 특수하다. 회사에서는 학생들에게 기회를 주고, 또한 젊은 대학생들을 장차 회사의 신성장동력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언론사를 꿈꾸는 학생들에게도 좋은 기회가 된다. 다른 업종과 달리 미디어 업종은 인턴십의 기회가 별로 없다. 현장 경험을 얻고자 하더라도 선발 인원은 극소수다. 이 때문에 비교적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인턴기자는 학생들에게 꽤 인기가 있다.

 

인턴십은 조선일보, 중앙일보 등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됐다. 조선일보 인턴들은 여름과 겨울에 각각 20~30명 가량을 선발해 혹독하게 훈련을 시키는 것으로 유명하다. 최근 몇 년 사이에는 인턴십 학생 중 2~3명 가량을 정규직 신입기자로 채용하기도 해 그 경쟁이 더 치열하다.

 

최근에는 종편 채널을 중심으로 PD인턴십도 활발하다. 채널A의 경우 신문기자와 PD 두 가지 직종의 인턴십을 경험해 보는 프로그램까지 있을 정도다. JTBC의 경우 칼리지 프로그램(College Program)이라는 이름으로 인턴십을 10주 동안 진행한다. PD나 기자는 물론이고, 방송경영 직군까지 인턴십을 경험해 볼 수 있다.

 

필자 역시 두 곳의 언론사에서 인턴기자로 활동을 했다. 인턴기자 활동을 통해 미디어 환경에 대한 살아있는 경험을 할 수 있었던 것은 물론, 현장에서 치열하게 취재하는 선배들의 기자정신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어부지리 격으로 당시 인턴기자로 활동하면서 작성했던 기자 2편이 주요 포털사이트 톱 기사로 걸려 쏠쏠한 스펙으로 활용할 수도 있었다.

 

인턴기자 경험은 직군을 막론하고 나쁠 것이 없다. 아니, 도움이 된다고 단언해도 큰 무리는 아닐 것이다. 우선 미디어 환경에 대한 식견이 쌓인다는 점은 가장 큰 장점이다. 특히, 자신이 인턴십을 경험한 회사에 정직원 신입공채로 지원했을 경우, 면접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회사의 전반적인 분위기도 알 수 있다.

 

또한 인턴십을 어떻게 진행했는지에 대한 질문은 면접장에서 단골 손님처럼 출제된다. 경쟁사에서 인턴십을 했다면 관심을 갖고 지원 회사와의 비교를 해보라고 할지도 모른다.

 

이렇게 하면 낭패

 

하지만 인턴십을 모두가 훌륭하게 수행하는 것은 아니다. 필자가 인턴으로 지도했던 학생들의 경우에도 천차만별이었다. 어떤 학생들은 인턴십 2개월 가량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뒤, 1년 이내에 현직 기자로 입문한다. 쌍용자동차 파업 현장에서 함께 일했던 인턴 학생의 경우, 지금은 사회부 기자로서 취재력을 인정받고 있다고 한다. 그 인턴의 경우 일을 잘하고 근성이 있어 당시 사회부장의 허락을 맡아 2주 가량 인턴십을 연장했었다.

 

어떤 인턴들은 현직 선배들을 실망시키기도 한다. 필자가 지도했던 인턴 A의 경우, 인턴십을 하면서 저녁에 과외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암묵적으로 6시 정도에 퇴근을 시키고 있었지만, 5시부터는 근무 태도가 말이 아니었다. 다른 인턴의 경우에는 선배들에게 잘 보이는 것만 신경쓰고, 업무 자체는 뒷전이었다. 이런 경우에는 인턴십 평가가 결코 좋게 나올 수 없다.

 

함께 일하는 선배들과의 관계가 전부가 아니다. 스스로의 실력을 기르는 것도 중요하다. 문장력이나 상식 등 기존의 신입사원 채용전형 평가도구에 대한 준비도 필요하다. 공부를 하지 않고 인턴십을 하면서 겉멋만 들 경우 합격은 멀어진다. 필자가 아는 한 인턴기자의 경우 3년이 넘게 지났지만, 신입 전형 합격 소식은 들려오지 않는다. 오히려 인터넷 매체에서 대학생 기자로 활동하면서 기자(?) 생활을 즐기는 것 같았다.

 

인턴십은 확실히 기회다. 인턴이라는 글자를 떼고 정식 기자가 될 수 있는 디딤돌이 된다. 하지만 이를 결정하는 것은 스스로의 노력이다. 인턴십에 합격한 뒤 인턴사원증을 목에 걸고 좋아하는 사이, 선배들은 당신의 일거수일투족을 평가하고 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아랑카페 운영자 기자 mirip@inthenews.co.kr

배너

주담대 변동금리 오른다…코픽스 반년만에 상승전환

주담대 변동금리 오른다…코픽스 반년만에 상승전환

2024.06.17 17:16:29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은행권 주택담보대출(주담대)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6개월만에 상승전환했습니다. 은행연합회(회장 조용병)는 5월 신규취급액기준 코픽스가 전달(3.54%)보다 0.02%포인트(p) 오른 3.56%로 집계됐다고 17일 밝혔습니다. 코픽스는 지난해 12월(3.84%)부터 올해 4월까지 5개월간 내림세를 보이다 반년만에 반등했습니다. 반면 잔액 기준 코픽스는 4~5월 3.76%에서 3.74%로 0.02%p 떨어졌습니다. 코픽스는 국내 8개은행(농협·신한·우리·SC제일·하나·기업·국민·한국씨티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를 말합니다.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상품 금리변동이 반영돼 움직입니다. 코픽스가 낮아지면 그만큼 은행이 이자를 적게 주고도 자금을 확보할 수 있다는 뜻이 됩니다. 코픽스가 오르면 그 반대입니다. 2019년 6월 새로 도입된 신잔액기준 코픽스는 3.17%에서 3.20%로 0.03%p 올랐습니다. 각 시중은행은 오는 18일부터 신규 주담대 변동금리에 이날 공개된 코픽스 금리를 반영합니다. KB국민은행 주담대 신규취급액 코픽스 기준 변동금리(6개월)는 3.72~5.12%에서 3.74~5.14%로 0.02%p 올라갑니다. 우리은행 주담대 신규취급액 코픽스 기준 변동금리(6개월) 역시 4.74~5.94%에서 4.76~5.96%로 상승분이 반영돼 오릅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