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KT[030200]는 국내 최초로 상용 5G 네트워크에서 AI-RAN(인공지능 기반 무선접속망) 기술 검증을 시작한다고 26일 밝혔습니다.
AI-RAN은 기지국과 네트워크 서버의 사이에 오가는 트래픽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최적의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하는 차세대 통신망 기술입니다.
이를 적용한 기지국은 전용 AI 엔진이 실시간으로 전파 상태와 트래픽 패턴을 파악해 무선 자원을 최적화합니다.
이번 검증은 노키아의 최신 5G 기지국 장비에 내장된 AI 전용 프로세서를 활용해 전남 나주에서 진행합니다. KT는 검증 결과를 토대로 AI-RAN 상용 서비스를 시작하고, 단계적으로 적용 지역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AI-RAN은 6G 시대의 필수 기술로 꼽히며, 이번 검증은 필수 선행 단계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습니다. KT는 상용망에서 AI-RAN 기술을 최적화 및 고도화하고 이후 6G에서 요구되는 기술 사양과 운용 기준을 선제적으로 마련할 계획입니다.
KT가 상용망에 도입하는 주요 AI-RAN 기능은 ‘머신러닝 기반 채널 추정’과 ‘머신러닝 기반 MU‑MIMO’ 동작입니다
머신러닝 기반 채널 추정 기능은 AI 모델을 적용, 복잡한 전파 패턴을 학습해 무선 환경에 따른 전파세기의 변화를 더욱 정밀하게 추정합니다. 그 결과 데이터 손실과 지연을 줄여 안정적인 통신 품질을 확보해 동일 주파수로도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합니다.
머신러닝 기반 MU‑MIMO(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는 하나의 주파수·시간 자원으로 여러 이용자에게 동시에 데이터를 보내는 기술입니다. AI가 각 단말의 전파 방향과 트래픽 상황을 즉시 분석해 간섭이 적은 이용자 조합을 찾습니다. 이를 통하면 기지국이 같은 시간 안에 전달할 수 있는 데이터 양이 늘어나 전체 처리 용량이 커지고, 이용자는 더 빠른 속도와 우수한 품질을 체감할 수 있습니다.
권혜진 KT 네트워크전략본부장은 “AI RAN은 고객 체감 품질을 끌어올리는 동시에 6G 시대를 위한 필수 기술”이라며 “KT는 상용망에서 AI RAN을 가장 먼저 검증·도입해 네트워크 혁신을 주도하고, 기술 리더십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예정이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