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은 2024년 한해 6조6545억원의 사회적가치를 창출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13일 밝혔습니다.
KB금융은 2023년 사회적가치 측정체계 'KB Social Value&Impact'를 수립해 사회적가치 관리·개선 기반을 마련하고 그해 처음으로 사회적가치 성과보고서를 발간했습니다.
지난해 KB금융의 ESG 경영활동을 담은 '2024년 사회적가치 성과보고서'를 보면 KB금융의 사회적가치는 비금융 부문인 사회공헌활동에서 발생하는 가치뿐 아니라 금융업 본연의 역량을 활용한 금융상품·서비스에서 창출하는 가치를 모두 포함합니다. 항목별로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 및 기타항목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2024년 사회적가치 성과총액은 총 6조6545억원으로 2023년 대비 17% 증가했습니다. 먼저 환경 부문입니다. KB금융은 지난해 녹색금융 2885억원, 녹색경영 249억원 등 모두 3134억원의 사회적가치 성과를 창출했습니다.

세부적으로 KB금융은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성장을 위해 녹색금융과 친환경경영을 적극 실천하고 있습니다. 태양광·수력·풍력·열병합·연료전지·LNG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 투자·대출잔액은 작년말 기준 1조8629억원에 달합니다.
KB금융은 사회 전반에 장기적이고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신재생에너지 생산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임으로써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탄소의 사회적 비용과 발전량을 기준으로 성과를 산출합니다.
이와 함께 사회 부문에서 측정된 사회적가치는 2조7122억원 규모입니다. 이중 민생금융 지원을 위한 금융상품·서비스와 중소기업·소상공인 맞춤형 금융 프로그램 등 포용금융이 7256억원입니다.
기술력 있는 혁신 스타트업과 성장잠재력 큰 중소기업·소상공인에 자금을 공급하는 성장지원금융은 1조1337억원, 청년층을 위한 역세권 공공임대주택 신축사업에 투자하거나 철도·지하철 등 사회인프라 확충을 지원하는 사회기반지원금융은 968억원입니다.

KB금융은 금융소비자 권익보호와 정보보안 강화 등 안전한 금융환경 조성에 3139억원, 소상공인 맞춤형 저출생 지원사업과 돌봄지원,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KB굿잡' 프로그램 등 3678억원으로 비금융 부문에서도 의미있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2024년 지배구조 및 기타부문 사회적가치는 3조6289억원으로 측정됐습니다. 기업가치 제고 프로그램 일환으로 시행한 자사주 소각(5152억원), 현금배당(1조1983억원), 국내 금융그룹 중 가장 큰 규모의 법인세 납부(1조9566억원)가 반영됐습니다.
KB금융 관계자는 "매년 지속가능경영을 강화하고 성과측정방식을 체계화하며 사회적가치 측정 고도화와 데이터 신뢰성 제고를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앞으로 산업·기관·지역사회와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한편 시민참여형 캠페인으로 사회적가치 창출문화를 확산시켜 생태계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지속가능경영을 선도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