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진은혜 기자ㅣ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이하 연구원)이 전문건설공사의 3월 수주실적과 4월 경기전망을 포함한 경기동향을 18일 발표했다.
수주실적은 전문건설공제조합의 공사보증금액을, 경기평가(전문건설업 경기실사지수, SC-BSI)는 대한전문건설협회의 16개 시‧도별 주요 회원사들을 중심으로 설문한 결과다.
3월의 전문건설공사 수주규모는 전년 동월의 약 115%, 전월의 약 158% 수준인 8조 4860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연구원 측은 “이는 작년 말 급증한 종합건설업 수주가 점차 전문건설공사 수주증가로 이어진 결과”라며 “다만, 주요 업종 간 편차가 존재한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원도급공사의 수주액은 전월의 273.5%, 전년 동월의 약 142.7% 수준인 4조 730억원 규모다. 하도급공사 수주액은 전월의 약 126.5% 규모인 4조 9740억 원(전년 동월의 약 106.8%)으로 예측된다.

한편, 2019년 4월의 전문건설업 경기실사지수는 전월(77.4)보다 개선된 84.5로 전망된다. 일각에서는 부동산규제와 미분양주택의 증가 등의 불안요인을 지적하지만, 부동산 시장의 지역별 편차와 정부의 추경계획 등을 감안하면 당장의 위험요인은 없을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게 연구원 측의 설명이다.
수도권 지역에서 1분기에 분양된 21곳의 사업장 중에서 12곳이 2순위 마감에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원은 “까다로운 청약조건 등 정부 규제가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며 “지방 미분양규모가 늘어나면서 대한주택건설협회가 정부의 대책을 촉구하는 기자간담회까지 개최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주요 지역의 재개발·재건축·리모델링 사업지는 여전히 건설사들의 수주다툼이 치열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원은 “서울시가 2020년까지 8만호의 주택을 공급하겠다는 계획과 연결한다면 추후 이런 상황은 재현될 가능성도 높다”고 말했다.
이은형 책임연구원은 조사 결과에 대해 “최근 예비타당성 검토제도의 개편과 생활SOC의 규모 확정 등 건설 산업에 긍정적인 요인이 지속되고 있다”며 “하지만, 이들은 장기적으로 업황에 반영된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