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Major Company 대기업

삼성전자, 8K TV·라이프스타일 가전 등 하반기 주요 신제품 공개

URL복사

Thursday, September 05, 2019, 18:09:00

IFA 2019 개막 전 프레스 컨퍼런스 개최..8K TV 전체 라인업 완성
프리미엄 빌트인 시장 진출 예고..갤럭시 폴드·A90 등 스마트폰

인더뉴스 이진솔 기자ㅣ8K TV와 라이프스타일 가전제품, 스마트폰까지 삼성전자 전략 제품을 미리 보는 행사가 열렸다.

 

삼성전자는 5일(현지 시각)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가전 전시회 ‘IFA 2019’ 개막에 앞서 하반기 주요 신제품과 서비스를 공개하는 프레스 컨퍼런스를 개최했다고 이날 밝혔다. 행사는 삼성전자 단독 전시장 ‘시티 큐브 베를린(City Cube Berlin)’에서 ‘미래를 디자인하라(Designing Your tomorrow)’라는 주제로 열렸다.

 

벤자민 브라운(Benjamin Braun) 삼성전자 유럽 총괄 마케팅 담당 상무는 “올해 창립 50년을 맞은 삼성전자는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로 세상을 더 발전시키는 데 많은 노력을 해왔다”며 “삼성은 업계에서 혁신을 주도하는 브랜드로서 더 대담하게 향후 50년을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벤자민 브라운 상무는 ▲인공지능(AI)·5세대(5G) 이동통신·연결성을 기반으로 한 제품 ▲밀레니얼 세대 등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에 기반한 새로운 시장 트렌드 주도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상생 등을 실천하겠다고 설명했다.

 

◇ 8K 55형 제품 공개로 QLED 라인업 완성..생태계 확대에 주력

 

삼성전자는 이번 행사에서 55형 ‘QLED 8K’를 공개했다. 이로써 QLED 8K는 98형부터 55형까지 라인업을 완성했다. 신제품은 미국, 유럽, 한국을 포함해 전 세계 30여 개 국가에서 판매된다.

 

네이든 셰필드(Nathan Sheffield) 유럽 총괄 TV 담당은 “유럽을 중심으로 주요 시장 소비자들 요구가 커 QLED 8K 라인업을 확대했다”며 “지난해 IFA에서 QLED 8K를 처음 발표한 이후 1년 동안 의미 있는 성장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는 삼성전자가 14년 연속 TV 1위를 기록하는 해”라며 “위상을 강화하고자 디스플레이, 콘텐츠, 연결성 등 기존 장벽을 뛰어넘어 소비자들이 원하는 새로운 TV 시청 경험을 창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8K 협회(8K Association)’와 함께 8K 생태계 구축에 주력할 계획이다.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회사인 ‘라쿠텐 TV 유럽(Rakuten TV Europe)’ 하신토 로카(Jacinto Roca) 사장은 “라쿠텐은 올해 워너 브라더스 HDR10+ 콘텐츠를 제공할 것”이라며 “8K 생태계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더해 삼성전자는 스마트 TV에 탑재된 ‘아마존 프라임(Amazon Prime)’ 애플리케이션으로 영국 프리미어 리그(EPL) 경기를 감상하는 서비스를 연내 제공할 예정이다.

 

◇ 라이프스타일 겨냥한 가전제품 출시..프리미엄 빌트인 제품 예고

 

삼성전자는 이날 맞춤형 냉장고 ‘비스포크(BESPOKE)’ 등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가전제품을 공개했다. 다니엘 하비(Daniel Harvie) 삼성전자 유럽 총괄 가전 담당 상무는 “내년 초 도입할 비스포크 냉장고는 빌트인 가전이 대세인 유럽 시장에서 시장 잠재력이 높다”고 말했다.

 

내년에 프리미엄 빌트인 주방가전 출시도 예고했다. 첫 제품은 오븐이다. 컨벡션(Convection)으로 굽는 요리와 스팀 방식으로 찌는 요리를 동시에 지원하는 ‘듀얼 쿡 스팀’ 기능을 적용했다.

 

이밖에 ▲제트에어 기술과 냄새분해 필터가 탑재된 의류 관리기 ‘에어드레서’ ▲최대 200W 흡입력과 미세먼지 차단 필터 시스템을 갖춘 무선청소기 ‘삼성 제트’ ▲무풍 청정 기능이 있는 공기청정기 ‘큐브’ 등 가전제품도 연내 유럽 시장 진출을 알려 주목받았다.

 

◇ 갤럭시 폴드부터 A90까지 스마트폰 제품군 보강

 

스마트폰 라인업도 강화됐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A’ 시리즈 최초 5G 스마트폰 ‘갤럭시 A90 5G’를 공개했다. 이 제품은 6.7형 ‘슈퍼 아몰레드 인피니티-U 디스플레이’와 4800만 화소 트리플 카메라가 적용됐다. 지난 4일 출시를 시작으로 해외 시장까지 판매를 늘릴 계획이다.

 

‘갤럭시 폴드’ 출시도 발표했다. 오는 6일 한국을 시작으로 영국, 프랑스, 독일, 싱가폴, 미국 등에서 4G LTE나 5G 버전으로 순차 출시될 예정이다.

 

이밖에 삼성전자는 스마트워치 ‘갤럭시 워치 액티브 2’와 이탈리아 운동기구 업체 ‘테크노짐(TECHNOGYM)’과 파트너십을 공개했다.

 

IFA 2019에서 발표한 삼성전자 제품 정보는 오는 6일부터 11일까지 시티 큐브 베를린에 있는 삼성전자 부스를 방문하거나 삼성전자 홈페이지를 확인하면 된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이진솔 기자 jinsol@inthenews.co.kr

배너

[3분기 실적] 미래에셋증권, 3분기 세전이익 4472억원…ROE 2분기 연속 10 이상

[3분기 실적] 미래에셋증권, 3분기 세전이익 4472억원…ROE 2분기 연속 10% 이상

2025.11.06 11:29:28

인더뉴스 박호식 기자ㅣ미래에셋증권은 올해 3분기 세전이익이 4472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6% 증가하고, 당기순이익은 3438억원으로 19% 늘었다고 6일 밝혔습니다. 3분기까지 누적 기준으로는 세전이익 1조3135억원, 당기순이익 1조79억원입니다. 브로커리지(Brokerage)와 WM 부문은 모두 분기 기준 최고 실적을 올렸습니다. 브로커리지 수수료 수익은 2637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22% 증가했으며, 금융상품판매 수수료 수익 또한 전분기 대비 21% 증가한 918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국내 증권사 최초로 연금과 해외주식 잔고 모두 50조원을 넘어섰다고 미래에셋증권은 전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자금유입을 넘어 고객과 회사가 함께 수익을 실현한 구조적 성과로 평가했습니다. 실제 미래에셋증권 고객들은 올해 3분기 기준 연금수익 10조원, 해외주식 수익 15조원을 창출했고, 이에 따라 회사의 수익성 역시 자연스럽게 확대됐습니다. 해외법인 세전이익은 3분기 누적 기준 2990억원으로, 전체 세전이익의 약 23%를 차지하며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선진국 중심의 Flow Trading 비즈니스, 베트남·인도네시아·인도 등 이머징마켓의 WM비즈니스 확장을 기반으로 상반기에 이어 견조한 경상이익을 시현했습니다. 향후 해외법인의 독립적인 거버넌스 강화, 리스크 관리 체계 고도화, IT 보안 강화 등 내부통제 수준 제고를 통해 체계적인 비즈니스 기반을 다질 방침이라는 설명입니다. 매출은 6조6724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2.5% 증가했습니다. 영업이익은 2227억원으로 39.9% 줄었는데, 이는 실질적인 영업활동 부진에 따른 결과가 아니라 국제회계기준에 따른 회계처리 방식에서 비롯된 회계상 결과라는 설명입니다. 과거 판교 알파돔 부동산을 펀드형태로 투자했으며 해당자산 매각시 회계기준에 따라 수익과 비용이 구분되면서 생긴 현상이라는 겁니다. 미래에셋증권이 보유한 펀드의 지분에 해당하는 매각수익은 영업외수익(기타수익)으로 인식됐습니다. 반면 미래에셋증권 외 다른 투자자들의 지분 매각분에 해당하는 금액은 영업비용으로 회계 처리됐습니다. 이로 인해 실제 현금유입이나 사업성과와는 무관하게 회계상 영업이익이 일시적으로 감소한 것처럼 보이는 결과라는 설명입니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이는 회계기준에 따른 표시 방식의 차이일 뿐, 당사의 영업활동 자체에는 변동이 없으며 실질적인 경영성과에는 영향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연 환산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0.8%로 2분기 연속 10% 이상을 유지하며 안정적인 구조를 입증했습니다. 최근 미래에셋그룹은 전통자산과 디지털자산을 융합한 ‘Mirae Asset 3.0’ 비전을 선포하고, 급변하는 금융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체계를 완비했습니다. 이에 따라 미래에셋증권에서는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Tech & AI를 전담하는 부문을 신설했고 올해 신규인력의 51%를 Tech 전문 인력으로 채용하며 토큰증권, 스테이블코인, 가상자산 비즈니스 추진에 속도를 높일 예정입니다. 창업과 뮤추얼펀드 도입을 통해 자본시장에 혁신을 일으킨 ‘미래에셋 1.0’, 글로벌 확장과 ETF로 투자 대중화를 이끈 ‘미래에셋 2.0’을 거쳐, 이제 ‘미래에셋 3.0’ 시대를 맞아 글로벌 통합과 디지털자산의 융합을 중심으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한다는 포석입니다. 또한 금융소비자보호본부를 부문급으로 격상해 내부통제와 리스크 관리 체계를 한층 강화했으며, ‘Client First’ 철학을 중심으로 고객자산 증대를 위한 글로벌자산관리 서비스 제공에 주력할 예정입니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미래에셋증권은 ‘Mirae Asset 3.0’ 시대를 맞아 글로벌 투자 전문 역량을 더욱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다지고 있다”며 “고객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를 통해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글로벌 투자전문회사로 나아가겠다”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