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Electronics 전기/전자

LG전자, 프리미엄 ‘시그니처’ 예술 마케팅 확대

URL복사

Thursday, December 03, 2020, 10:12:09

러시아 푸쉬킨미술관 등 유명 단체와 협력
제품에 담긴 미적 가치를 알리기 위한 활동

 

인더뉴스 이진솔 기자 | LG전자(대표 권봉석)가 러시아 푸쉬킨미술관, 미국 아메리칸발레시어터(ABT), 이탈리아 라 스칼라(La Scala) 오페라극장 등과 협업해 ‘LG 시그니처(LG SIGNATURE)’ 마케팅을 펼치고 있습니다.

 

LG전자는 LG 시그니처 캠페인 슬로건인 ‘기술에 영감 주는 예술, 예술을 완성하는 기술(Art inspires technology. Technology completes art.)’에 맞춰 제품이 가진 미적, 기술적 가치를 효과적으로 알리기 위해 해외 예술 단체와 마케팅에 나섰다고 3일 밝혔습니다.

 

LG전자는 지난 10월 러시아 모스크바에 있는 푸쉬킨미술관과 후원 협약을 맺었습니다. 협약에 따라 LG전자는 내년까지 전시 일정에 맞춰 푸쉬킨미술관에 ‘LG 시그니처 올레드 8K’를 전시합니다. 또 러시아 온라인 스트리밍 업체인 ‘ivi’와 함께 TV를 통해 푸쉬킨미술관을 도슨트 설명과 함께 둘러보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최근 LG전자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ABT 갈라 행사를 후원했습니다. 특히 이달 4일부터는 LG 시그니처 올레드 TV를 사용하는 고객들이 ABT ‘호두까기 인형’ 공연 하이라이트를 올레드 TV에서 실감 나게 즐길 수 있도록 8K 해상도 영상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이탈리아 밀라노 오페라극장 라 스칼라와도 협업합니다. 지난해부터 3년간 후원하며 극장 무대에 오른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 ‘리골레토(Rigoletto)’ 특별 영상을 LG 시그니처 홈페이지에서 보여줍니다. 또 오는 7일 TV와 온라인에서 동시에 방영되는 시즌 개막행사 ‘스칼라의 정수(Le Prime della Scala)’에도 후원사로 참여합니다.

 

김진홍 LG전자 글로벌마케팅센터장 전무는 “세계 곳곳에서 문화·예술을 활용한 프리미엄 마케팅을 펼치며 LG 시그니처의 브랜드 가치를 널리 알리고 있다”며 “프리미엄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LG 시그니처만의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글로벌 마케팅 활동을 지속 펼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More 더 읽을거리

이진솔 기자 jinsol@inthenews.co.kr

배너

GC 자회사 메이드 사이언티픽, 美 프린스턴에 세포치료제 생산 거점 짓는다

GC 자회사 메이드 사이언티픽, 美 프린스턴에 세포치료제 생산 거점 짓는다

2025.08.20 15:52:00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GC(녹십자홀딩스)의 미국 자회사 메이드 사이언티픽은 지난 13일(현지시간) 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턴에서 신규 GMP 제조시설과 미국 본사 개소 기념식을 열었다고 20일 밝혔습니다. 이번 시설은 연면적 6만 제곱피트(약 5570㎡) 규모로 조성됐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뉴저지주 노동청장, 주 하원의원, 지방 정부 인사 등 미국 연방·주·지방 정부 관계자와 허일섭 GC 회장, 허용준 GC 대표 등 GC 경영진이 참석했습니다. 미 연방 의원단은 기념 선언문을 전달하며 개소를 축하했습니다. 메이드 사이언티픽은 2022년 GC와 GC셀이 공동 인수한 세포치료제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으로, 글로벌 상업화 지원 역량 강화를 목표로 지속적인 투자를 이어가고 있는 회사인데요. 이 회사는 1200만 달러 규모 1단계 투자를 통해 시설 업그레이드, 첨단 장비 도입, 업무 시스템 디지털화를 진행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임상부터 상업화까지 전 주기 세포치료제 생산 역량을 갖췄으며, 2단계 확장 시 연간 최대 2000배치를 추가로 생산할 수 있습니다. 프린스턴 시설에는 ISO 7 등급 클린룸 5개, 품질관리 실험실, 공정·분석 개발 기능이 포함됐습니다. ERP, QMS, MES, LIMS 등 글로벌 디지털 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개발부터 제조, 품질관리까지 전 과정을 실시간 통합 관리합니다. 이날 행사에서는 FDA 및 유럽 기준을 충족하는 추가 GMP 클린룸 확장 계획도 발표됐습니다. 고속 자동화 기술이 적용된 확장 시설이 완공되면 프린스턴 본사는 세포치료제 임상·상업 생산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잡게 됩니다. 필 머피 뉴저지 주지사는 “이번 시설은 지역 일자리를 창출하고 차세대 세포치료제를 공급하는 동시에 뉴저지 혁신경제 성장을 가속화할 것”이라며 적극 지원 의지를 피력했습니다.. 사이드 T. 후세인 메이드 사이언티픽 대표는 “이 시설은 임상부터 상업화까지 한곳에서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와 세계적 생산 역량을 제공한다”며 “파트너들의 혁신 치료제 상업화를 뒷받침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