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카카오가 올해 1분기 모빌리티와 핀테크 등 신사업 부문의 고성장을 보이면서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카카오는 1분기 매출 1조 2580억원, 영업이익 157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45%, 79% 증가한 수치입니다.
올해 카카오는 카카오톡 채널 콘텐츠 구독 서비스를 출시하고, 온라인 여성복 전문몰 ‘지그재그’와 합병으로 패션 카테고리 강화 등에 나설 예정입니다. 여기에 카카오페이와 카카오모빌리티의 높은 성장세가 예상된 데 이어 글로벌 매출도 늘리는 등 카카오의 전략을 다각화할 계획입니다.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는 6일 진행된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이익 극대화보다는 의미있게 투자를 늘려 글로벌에서 성과를 내는 것이 우선”이라며 “올해 공격적인 글로벌 마케팅과 콘텐츠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올해가 해외 매출 비중이 두 자릿 수 이상을 차지하는 원년이 될 것이며 기업대기업(B2B) 사업 성과가 가시화돼 올해 크게 확대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카카오는 연내 카톡 채널 콘텐츠 구독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인데요. 이번 플랫폼은 카카오톡을 매개로 창작자와 구독자를 연결하는 공간으로 창작자는 카톡 채널로 콘텐츠를 발행하고, 이용자는 창작자 채널과 친구를 맺어 콘텐츠를 볼 수 있습니다.
여민수 공동대표는 “구독과 지갑은 톡비즈의 중장기 성장 동력을 강화시키고, 이용자와 비즈니스 파트너를 다각도로 연결해 가시적인 사업 성과를 만들어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카카오는 최근 카카오스타일을 운영하는 카카오커머스의 스타일 사업 부문을 인적분할해 여성복 전문 온라인몰인 ‘지그재그’를 운영하는 크로키닷컴과 합병했습니다. 카카오는 지그재그 합병과 관련해 크게 세 가지의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배재현 카카오 수석부사장은 “먼저 카카오 내 다양한 지면에 지그재그를 선보여 이용자 유입을 강화할 수 있다. 또 글로벌로 커머스 사업을 확대할 기회가 풍부해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2030 이용자 위주의 지그재그 사업 역량과 카카오의 기술, 엔터테인먼트 자산이 시너지를 일으킬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지그재그가 가진 4000개 넘는 판매자와 연결된다면 파트너수, 트래픽 모두 가파르게 증가할 것이다. 숫자적으로도 지그재그가 지난해 거래액 7500억원을 기록했는데, 올해는 거래액이 1조원을 넘기고 매출도 70%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비즈니스모델(BM)에 대한 질문에 배 수석부사장은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원천 지식재산권(IP)을 레버리지 하는 글로벌 콘텐츠 기업으로 진화할 예정”이라며 “원천 콘텐츠 확보에 대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지만 카카오엔터는 8000개가 넘는 원천 IP를 보유하고 있고 원천 IP를 돋보이게 할 수 있는 밸류체인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카카오M과 페이지 합병 통해 단순히 웹툰 웹소설 영상화에 그치지 않고 콘텐츠 기획 개발로 확산되며 스토리 IP를 극대화할 수 있는 슈퍼IP 유니버스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각자의 영역에서 개별적으로 노력했을 때보다, 한층 가속화된성장 보여드릴 수 있을 것이다. 올해 1조원 이상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계열사 상장 계획에 대한 질문에 여민수 공동대표는 “공동체 사업의 운영 방식이나 지배 구조에 대해서 여러가지 옵션을 검토하고 있다”며 “공동체간 시너지를 강화하고 본사의 가치를 지킨다는 취지”라고 설명했습니다. 현재 카카오 계열사 중 카카오뱅크와 카카오페이는 연내 상장을 목표로 상장 절차를 진행 중입니다.
배재현 수석부사장은 “카카오엔터테인먼트와 카카오재팬이 기업공개(IPO)를 검토 중이지만 구체적 시기는 밝히기 어렵다"며 "카카오커머스도 구체적으로 결정된 바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1분기 카카오 실적을 견인한 모빌리티 강화 전략도 공유했습니다. 여민수 공동대표는 “카카오모빌리티 택시 서비스 부문은 1분기 이동수요 회복으로 역대 최고 수준 일평균 운행 호출을 기록했다”며 “(운송가맹사업자 기반 카카오 브랜드 택시 서비스) ‘카카오T블루’ 브랜드 인지도 상승, 운행 효율 개선, 제주까지 서비스 확장을 기반으로 2만1000여대까지 확대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여 대표는 ‘카카오내비’와 관련 “방문세차, 방문정비, 내차팔기 등 새로운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며 “카카오T 기업 고객을 위한 퀵서비스, 꽃배달, 간식배달 서비스 등 사물의 이동 영역에서도 신규 서비스를 출시하는 등 하나의 플랫폼에서 모든 이동의 니즈를 해결하는 ‘스마트 모빌리티’를 실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