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정훈 기자ㅣ합리적인 보험료로 보장까지 챙길 수 있는 온라인 미니보험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17일 생명보험협회(협회장 정희수)에 따르면 보험에 AI(인공지능)나 빅데이터, IoT(사물인터넷) 등의 기술을 활용한 인슈어테크가 업계에 빠르게 정착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 2019년 기준 글로벌 인슈어테크 투자는 약 65억달러(7조3456억원 규모)에 이릅니다.
이는 보험산업의 디지털화로 인해 전통적인 대면 채널이 아닌 온라인채널 등 비대면 채널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데요. 지난해 기준 국내 생보사의 온라인채널 초회보험료는 2019년 대비 약 50% 증가하는 등 온라인 채널의 비중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해부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유행하자 타인과의 물리적 접촉을 기피하는 현상이 사회 전반에 확산됐고, 이는 온라인 쇼핑 거래액의 증가로 이어졌습니다. 생보협회는 코로나19 종식 이후에도 비대면 소비 수요는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개인주의의 확산과 경제불안 등으로 1인가구 역시 확산되고 있다는 점 역시 기존 보험업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1인가구는 부양책임이 없어 종신보험 등 전통적인 생보상품에 대한 유인은 약하지만, 연간 의료비 지출이 높아 의료·간병비 등에 대한 관심은 높다는 설명입니다.
이에 생보업계는 이런 변화하는 환경을 반영해 저렴한 보험료로 소비자의 니즈가 높은 질환·상해 등을 보장하는 온라인 미니보험 상품을 출시해 관심과 호응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온라인 미니보험은 1인가구의 니즈에 최적화된 의료·간병비 위주의 암·건강보험 상품으로, 비대면 온라인 채널을 통해 가입할 수 있습니다.
또 소비자가 자신의 가족력이나 생활습관 등을 고려해 특정한 보장내역을 선택해 가입할 수 있는 DIY보험을 통해 합리적인 보험료로 20·30세대의 보험 진입장벽을 완화했습니다.
온라인 미니보험상품은 크게 ▲보장항목을 소비자가 직접 선택·조합하는 주요암·DIY형 암보험 ▲디지털 기기 사용 관련 질환 보장 건강 보험 ▲취미·레저활동 보험 ▲코로나19 관련 보험 등으로 세분화 됩니다.
먼저 주요암·DIY형 암보험은 발생빈도가 높은 암을 소비자가 직접 선택해 보장하는데요. 한화생명(대표이사 여승주)의 ‘라이프플러스 오마이픽 암보험’이 대표적입니다. 해당 상품은 1년 만기 갱신형으로 가입하면 최저보험료가 월 1000원대로 저렴합니다.
또 VDT증후군(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영상기기 사용과 관련한 피로)을 대비한 스마트폰 관련 미니보험은 스마트기기 사용이 잦은 MZ세대(밀레니엄+Z세대·1980년~2000년대생)를 주요 고객으로 하는 보험입니다. 대표적으로 KDB생명(대표이사 최철웅)의 ‘(무)스마트질환보장보험’이 있는데요. 해당 보험은 VDT증후군으로 수술시 20만원까지 지원합니다.
그 외에도 스포츠활동에서 발생가능한 주요 부상 치료를 보장하는 흥국생명(대표이사 박춘원)의 ‘(무)흥국생명헬린이보장보험’이나 대표적인 코로나19 부작용인 아나필락시스쇼크 진단시 최대 200만원까지 보장해주는 라이나생명(대표이사 조지은)의 ‘(무)안심되는 아나필락시스 쇼크보험’등이 대표적인 온라인 미니보험입니다.
생보협회 관계자는 “최근 보험업법시행령 개정으로 ‘소액단기전문보험업’이 도입돼 향후 관련 시장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