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ICT 정보통신

카카오엔터, 웹툰 ‘극락왕생’ 컬러판 공개

URL복사

Thursday, December 23, 2021, 10:12:50

카카오페이지·카카오웹툰서 24일부터 선보여
불교적 세계관, 여성서사로 주목 받았던 작품

 

인더뉴스 이수민 기자ㅣ카카오[035720]엔터테인먼트는 웹툰 ‘극락왕생’을 24일 오후 10시 카카오페이지와 카카오웹툰을 통해 공개한다고 23일 밝혔습니다. 기존 흑백 버전 외에 컬러판을 공개하고 팬들이 기다린 후속 시즌도 순차적으로 선보일 예정입니다.

 

2018년 11월 한 오픈 만화 플랫폼에서 연재를 시작한 고사리박사 작가의 ‘극락왕생’은 연재와 동시에 손 꼽히는 화제작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불교 윤회 사상에 기반한 깊은 한국적 세계관과 섬세하게 녹아든 여성 서사, 탄탄한 연출에서 비롯됐습니다.

 

작품은 서울 지하철 2호선 당산역에 출몰하는 한 귀신의 이야기로 시작됩니다. 고향 바다를 항상 그리워하다 스물 여섯에 세상을 떠난 귀신은 마주친 사람들에게 늘 체리필터의 ‘낭만고양이’를 부르게 하는 캐릭터입니다.

 

도명존자는 윤회 틀을 벗어난 이 귀신을 잡아 지옥도를 다스리는 지장보살에게 인정받고자 하지만, 되레 관음보살에게 자비심이 부족하다며 추궁 받습니다. 그리고 고등학교 3학년 때의 귀신과 1년간 동고동락하며 그를 극락왕생의 길로 이끌라는 명을 받습니다.

 

작품에는 긁개풀녘, 노름귀, 허풍선이 등 신화 속 귀신들이 연이어 등장하는데, 저마다 다양한 사연을 간직한 존재들입니다.

 

작품은 연재 도중 방송가 러브콜을 받아 드라마 제작이 확정됐고 지난해 '대한민국 콘텐츠대상' 시상식에서는 문체부장관상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작품을 구상 당시 불교 미술을 공부하던 고사리박사 작가는 한국 여성 신화를 새롭게 쓰는 틀로써 불교를 택했다고 합니다.

 

신화적 존재를 포함해 등장인물들 모두가 여성이라는 점도 특징입니다. 다양한 여성 캐릭터를 비추며 관계와 성장, 존재에 대해 탐구하는 만화는 평단으로부터 한국 여성만화의 전통을 잇는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카카오페이지에서는 원작의 향수를 느끼고픈 팬들을 위한 ‘극락왕생’의 흑백판도 함께 연재될 예정입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 관계자는 “준비 과정에서 몰입감을 더하는 스크롤 재편집으로 흥미진진한 연출을 두드러지게 하는 데 주력했고 동양 신화적인 세계관이 돋보일 수 있도록 불교 미술의 색채를 담아내는 데 공을 들였다”며 “‘극락왕생’이 많은 사랑을 받길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이수민 기자 itnno1@inthenews.co.kr

배너

정철동 LG디스플레이 사장 “LGD만의 해자(垓子) 만들자”

정철동 LG디스플레이 사장 “LGD만의 해자(垓子) 만들자”

2025.11.05 12:25:54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우리가 영속하기 위해서는 경쟁우위를 가지고 모방하기 어려운 ‘우리만의 해자’가 필요하다” 정철동 LG디스플레이 사장은 최근 경기도 파주에서 갖은 타운홀 미팅 ‘CEO 온에어’에서 3분기 경영 실적과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을 공유하며 이같이 강조했습니다. 정 사장은 3분기 4310억원의 영업이익 달성 성과에 대해 “연간 흑자 가능성이 높아졌고, 특히 품질과 안전, 원가혁신, 고객만족도 상승 등에서 유의미한 성과가 있었다”며 구성원을 격려했습니다. 정 사장은 ‘영속하는 LG디스플레이를 위한 경쟁력을 강화하자’는 주제로 이야기를 이어갔습니다. 정 사장은 중세 시대 적의 침입을 방어하기 위해 성 외곽에 설계했던 연못인 ‘해자(垓子)’를 언급하며 “모방하기 어려운 ‘우리만의 해자’가 필요하다”고 역설했습니다. 정 사장이 제시한 LG디스플레이만의 해자는 ‘T·C·Q·D·R’입니다. 이는 ▲T(Technology, 기술 리더십) ▲C(Cost, 수익 구조) ▲Q(Quality, 품질) ▲D(Delivery, 공급 안정성) ▲R(Relationship, 고객 파트너십)을 의미합니다. 정 사장은 “Q·D·R은 기업의 기본 소양으로, 세 가지를 토대로 T와 C에서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T에 대해 “시장을 압도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술을 키워 ‘기술 1등 LGD’가 되어야 한다”며 “CTO, 사업부, 생산, 품질 등 전사가 원팀으로 힘을 모으고, AX(AI 전환)를 가속화해 압도적인 기술 완성도를 갖춰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C’는 원가 경쟁력을 통한 안정적 수익성 확보이자 기업 생존의 필수 조건이라며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생각으로 원가 개선에 도전하고, 우수 사례는 빠르게 확산해 많은 부분에 적용돼야 한다”고 독려했습니다. 정 사장은 끝으로 “시장은 지금도 혁신 변화 중이기 때문에 현상유지는 곧 퇴보이다. 현실에 안주하지 말고 치열하게 남들보다 두 배 빠르게 달려 가자”며 “오늘의 성과에 머물지 말고 ‘LG디스플레이의 경쟁우위는 내가 만든다’는 마음으로 혁신과 변화를 만들어 가자”고 당부했습니다. 이번 ‘CEO 온에어’는 온라인으로 국내 전 사업장(파주, 구미, 마곡, 여의도)을 포함, 중국, 베트남 등 해외 사업장까지 실시간 중계됐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