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주택 임대차 계약에서 월세 거래량이 전세 거래량을 처음으로 넘어섰습니다.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4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전국의 전월세 거래량은 총 25만8318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전세 거래량이 12만8023건, 월세 거래량이 13만295건이며 비율로는 각각 49.6%, 50.4%입니다.
월세 거래량이 전세 거래량을 앞지른 것은 지난 2011년 첫 주택통계 집계 이후 처음입니다. 이와 함께, 전체 전월세 거래량에서 50%를 넘긴 것 또한 첫 사례입니다.
전세 거래량과 월세 거래량은 지난해 같은 달 대비 각각 19.8%, 63.5%가 늘었습니다. 전월인 3월과 비교할 경우 각각 1.4%, 5.2%가 증가했습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과 지방에서 모두 월세 거래가 전세 거래보다 높았습니다. 서울과 지방의 월세 거래량은 각각 3만9862건, 4만1743건으로 전세 거래량인 3만7510건, 3만9049건보다 2000여건 앞선 숫자를 기록했습니다.
지난 4월까지 누계 기준으로 월세 거래량을 볼 경우 비중은 48.7%로 지난해 같은 달에 기록한 42.2%보다 6.5% 증가했습니다. 5년 평균치인 41.6%보다는 7.1% 앞선 수치를 나타냈습니다.
전체 전월세 거래량의 경우 전년 동월에 기록한 18만6560건보다 38.5% 늘었습니다. 서울은 7만7372건으로 지난해 같은 달 기록한 6만176건보다 28.6%가 증가했습니다. 서울, 경기, 인천을 합친 수도권 전체 전월세 거래량은 17만7526건으로 전년 동월 12만7488건보다 39.2%가 늘었습니다.
주택유형별 전월세 거래량을 보면 아파트가 12만1511건으로 전년 동월보다 40.2%가, 아파트 외 주택의 경우 13만6807건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7.0%가 늘었습니다. 수도권 아파트는 7만4810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41.1%가 증가했습니다.
국토부 측은 "지난 2020년 7월 임대차 3법 도입과 함께 지난해 6월 전월세 신고제 시행 이후 신고가 잘 이뤄지지 않던 오피스텔과 원룸 등 준주택의 월세 계약 신고가 늘며 월세 비중도 함께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