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금호석유화학[011780]은 1일 ESG경영 청사진을 담은 ‘2021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습니다.
금호석유화학에 따르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ESG비전(트리플A)과 2050 탄소중립 성장을 포함한 중장기 전략을 통한 ESG 메가 트렌드 및 실행 방안에 대한 계획 등을 제시했습니다.
보고서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경우 주력 제품군의 친환경 전환, 신성장 동력 추진, 안전환경경영 지향 등을 골자로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추진 방향 및 계획을 담았습니다.
우선, 주력 제품군의 친환경 전환을 위해 ▲고기능성 타이어용 합성고무 SSBR에 재활용 스티렌(RSM)을 적용한 Eco-SSBR ▲폐 PS(폴리스티렌)를 냉장고 등 가전제품에 사용할 수 있도록 재활용한 PCR PS ▲온실가스 배출 계수가 낮은 NB라텍스 등 대표 제품을 친환경 영역으로 확대한다는 내용을 넣었습니다.
신성장 동력의 경우 ▲2차전지용 CNT(탄소나노튜브) 개발 및 전기차 등 미래 모빌리티 소재 강화 ▲바이오 소재(실리카) 활용한 합성고무제품 개발 ▲금호피앤비화학의 BPA에 수소를 첨가한 HBPA 개발 등 추진 중인 사업을 중점적으로 소개했습니다.
안전환경경영 부분은 안전환경 전담조직을 대표이사 직속으로 신설했다는 내용과 함께, ‘안전을 최우선의 가치로 공동의 행복을 추구하는 건강한 기업’을 비전으로 중대재해 ‘ZERO’, 안전보건 인프라 구축, 자율적 안전보건 관리 문화 장착이라는 3대 목표를 세우고 중대재해 예방 안전 결의대회 실시 등 전사적 프로그램과 관련한 내용을 제시했습니다.
아울러, 보고서에는 ‘ESG 팩트북’ 챕터를 별도로 구성해 각 항목마다 실제 데이터 기반의 정성적·정량적 성과를 넣었습니다. ESG 팩트북에는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 감축 활동 등 환경 항목(E) ▲노동과 인권, 안전보건, 정보보안 등 HRD 관련 항목(S) ▲이사회와 윤리경영 등 지배구조 관련 항목(G) 등 금호석유화학이 거둔 성과를 정리했습니다.
금호석유화학은 이번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의 경우 TCFD(기후변화관련 재무정보 공개 협의체) 권고안 내용을 준수해 작성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금호석유화학은 지난 6월 27일 한국TCFD얼라이언스 발족식에서 TCFD 지지를 선언한 바 있습니다.
백종훈 금호석유화학 대표는 "금호석유화학이 지속가능경영활동에 진심으로 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성과"라며 "아직 시작 단계인 만큼 주주와 고객 등 이해관계자들과의 더욱 투명하고 적극적인 소통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