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Estate 건설/부동산

대전·대구 등 투기과열지구 해제…분양시장 회복 ‘관심’

URL복사

Monday, July 11, 2022, 16:07:06

세종 제외 지방권 내 투기과열지구 모두 해제
대출·청약 규제 완화..재당첨 제한 등도 기간 줄어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국토교통부가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돼 있는 지방 내 6곳에 대해 조정대상지역으로 전환하며 세종시를 제외한 지방권 전체가 투기과열지구에서 해제됐습니다. 규제 완화 조치에 따라 해당 지역 내 분양시장이 회복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11일 국토부에 따르면, 투기과열지구에서 해제되는 곳은 대구 수성구를 비롯해 대전 동구·중구·서구·유성구, 경남 창원시 의창구 등 6곳입니다.

 

투기과열지구에서 조정대상지역으로 전환될 경우 다양한 부분에서 규제가 완화됩니다. 대출 시 투기과열지구에서는 총부채상환비율(이하 DTI) 40%, 주택담보대출비율(이하 LTV) 9억원 이하 40%·9억원 초과 20% 한도지만, 조정대상지역은 DTI 50%, LTV 9억원 이하 50%·9억원 초과 30%로 적용받습니다.

 

청약 과정에서는 민영주택에 적용되는 가점제 비율이 완화돼 저가점제 수요자도 청약에 성공할 수 있는 확률이 올라갑니다. 투기과열지구의 경우 전용면적 85㎡ 이하 100%, 전용면적 85㎡ 초과 50%의 가점제 비율이 적용되나, 조정대상지역의 경우 각각 75%, 30%로 완화되기 때문입니다.

 

아울러, 재당첨 제한 규제의 경우 10년에서 7년으로, 분양권 전매 제한은 최대 5년에서 3년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특히, 대구나 대전의 경우 입주물량 등 매물 적체 영향으로 지속적으로 아파트 매매가격이 하강곡선을 타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난 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대구는 -0.11%의 하락률로 34주 연속 내림세를, 대전은 -0.06%의 변동률로 27주 연속 아파트 값이 내려갔습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해당 광역지역이 투기과열지구에서 벗어남에 따라 아파트 분양에 관한 규제가 사라진만큼 해당지역의 부동산 시장이 회복할 가능성이 커진 것으로 조심스럽게 점치고 있습니다.

 

대전 서구에 위치한 한 중개업소 관계자는 "정부가 투기과열지구, 조정대상지역 해제 발표를 한 직후부터 매매 뿐만 아니라 분양 문의 전화도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중"이라며 "분위기가 한창 때 까지는 아니지만 이번 기회에 투자하고 싶다는 문의가 많다"고 설명했습니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이사는 "이번 규제 해제로 당장 극적인 효과는 거두기 어렵겠지만 분위기를 끌어올리는 역할로는 충분할 것"이라며 "대출 한도가 높아지고 청약 요건 등의 완화로, 실수요자와 투자자를 동시에 끌어들일 수 있는 만큼 이들 지역에서 분양하는 단지에 높은 관심이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

 

조정대상지역으로 규제가 완화되며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일부 건설사들은 이달 해당 지역 내 아파트 분양에 돌입할 예정입니다.

 

한화건설은 대전 서구 일원에 ‘한화 포레나 대전월평공원’을 공급할 예정입니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최고 28층, 16개동, 2개 단지, 전용면적 84㎡, 1단지 659가구·2단지 690가구 등 총 1349가구 규모로 조성됩니다.

 

대우조선해양건설은 대구 수성구 일원에 공급하는 단지인 ‘엘크루 가르디움 만촌’의 1순위 해당 지역청약 접수를 오는 12일 진행합니다. 단지는 지하 4층~지상 18층, 1개 동, 전용면적 59~84㎡, 총 41가구로 지어집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홍승표 기자 softman@inthenews.co.kr

배너

“금호석유화학, 소외된 우등생…세가지 포인트”-신한

“금호석유화학, 소외된 우등생…세가지 포인트”-신한

2025.08.21 09:26:18

인더뉴스 박호식 기자ㅣ신한투자증권은 "금호석유화학이 소외된 업종내 우등생"이라며 "주가 재평가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제시했습니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가 16만원을 유지했습니다. 이진명 수석연구원과 김명주 연구원은 21일 "업종내 가장 견고한 펀더멘탈로 하반기 차별화된 수익성이 지속될 것"이라며 "합성고무 업사이클 및 국내 화학산업 구조개편 기대감 등을 감안하면 재평가가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들은 금호석유화학에 대해 눈여겨봐야 할 3가지 포인트를 제시했습니다. 우선, 올 상반기 기준 합성고무 매출의 24%를 차지하는 NB라텍스(니트릴부타디엔라텍스)에서 대규모 적자가 매분기 축소되면서 전사 실적을 견인할 전망이라고 꼽았습니다. 이와 관련 "8월 NB 라텍스 수출가격이 6월 대비 2% 상승하며 회복 추세"라고 전했습니다. 이와 관련 북미는 (NB라텍스를 핵심원료로 하는) 니트릴장갑 수요가 글로벌 수요의 37%를 차지하는데, 올해 미국의 중국산 고율관세(50%, 26년 100%) 부과 이후 중국산 수입비중이 지난해 32%에서 올해 6월 2.8%로 하락했다는 설명입니다. 반면 올해 6월 미국의 니트릴장갑 수입량은 전월대비 9% 증가하며 재고소진이 일단락됐고, 금호석유화학의 주요 고객사인 동남아산 비중은 작년 68%에서 96%로 확대되며 턴어라운드 기대감이 유효하다고 평가했습니다. 두번째 포인트는 금호석유화학 제품인 SBR(합성고무) 원재료인 부타디엔(원재료) 가격이 2분기 급락 이후 안정화된 반면 8월 천연고무(합성고무 대체재) 가격은 공급이 타이트해 6월 대비 6% 상승했다고 전했습니다. SBR(합성고무)은 이같은 우호적인 수급 밸런스로 스프레드가 상승하며 3분기 기대감도 높아졌다는 설명입니다. 세번째 포인트는 업종내 가장 우수한 주주환원 정책(별도 순이익의 20~25% 현금배당, 10~15%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꼽았습니다. 금호석유화학은 2024년과 올해 매년 87만5000주의 자사주를 소각했고, 내년에도 같은 규모 자사주소각을 할 예정입니다. 매년 3% 수준의 자사주 소각과 3% 내외의 배당수익률을 감안할 경우 총 6% 주주환원률을 기대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신한투자증권은 금호석유화학의 NB라텍스부문이 올해 적자에서 내년 75억원 흑자(680억원 이익개선)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에따라 영업이익은 작년 2728억원, 올해 3540억원, 내년 4685억원으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