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국내 조선업계가 3개월 연속 중국을 제치고 전 세계 선박 발주량 1위를 차지했습니다.
9일 영국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7월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인 210만CGT(70척) 중 한국은 절반 이상인 116만CGT(19척, 55%)를 수주하며 3개월 연속 세계 선박 발주량 1위에 올랐습니다. 2위인 중국은 62만CGT(35척, 30%)의 수주를 기록했습니다.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누계 수주 실적에서도 한국은 1113만CGT(204척, 47%)를 나타내며 중국(1007만CGT, 383척, 42%)과 일본(171만 CGT, 65척, 7%)을 제쳤습니다.
1~7월 주요 선종별 누계 발주량을 살펴보면, 14만m³ 이상의 대형 LNG운반선은 지난해 313CGT(36척)에서 888만CGT(103척)로 약 184% 오르며 전체 수주량을 이끌었습니다. 103척의 수주량은 클락슨리서치가 LNG운반선 발주 데이터를 집계한 2000년 이래 최대 숫자입니다.
1만2000TEU(1TEU 당 20피트짜리 컨테이너 하나 규모)급 이상의 컨테이너선은 지난해 977만CGT(163척)에서 295만CGT(103척)로 70% 감소했으며, A-Max급 유조선과 벌크선도 각각 75만CGT(29척), 222만CGT(69척)에서 47만CGT(18척), 39만CGT(12척)으로 줄었습니다.
7월 말 전 세계 수주잔량은 전월 말 대비 51만CGT 증가한 1억126만CGT을 기록했습니다. 국가별로는 중국 (4237만CGT, 42%), 한국 (3586만CGT, 35%)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전월 대비 한국(93만CGT, 3%↑)은 증가했으며, 중국(-12만CGT, 0.3%↓)은 소폭 감소했습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보면 한국(737만CGT, 26%↑)이 중국(462만CGT, 12%↑)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7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161.57포인트를 랭크하며 지난 2020년 12월 이후 20개월째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선가는 174,000m³ 이상의 LNG선이 2억3100만달러에서 2억3600만 달러, 초대형 유조선은 1억1750만달러에서 1억1900만달러, 벌크선은 6400만달러에서 6450만달러로 오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