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현대카드가 자사회원들의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항공권 구매금액이 3년새 두배 넘게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코로나19 국내 상륙과 함께 잔뜩 움츠렸던 하늘길이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완화로 해외여행객이 늘면서 다시 활기를 찾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12일 현대카드의 소비 라이프 분석 리포트 '연간명세서 2022'를 보면 지난해 1인당 평균 항공권 이용금액은 79만8732원을 기록했습니다.
2020년 31만1858원에 이어 2021년 34만7725원으로 2년연속 부진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대폭 신장입니다. 지난 2년 대비 각각 156%(48만6874원↑), 130%(45만1007원↑) 증가한 금액입 니다.
현대카드는 "팬데믹 3년차 사회적거리두기가 완화되자 오프라인 활동과 해외여행이 늘어난 영향"이라고 해석했습니다.
반면 코로나 수혜업종으로 분류되는 온라인쇼핑과 배달은 주춤했습니다. 온라인쇼핑 1인당 평균이용액은 지난해 310만9210원으로 전년(309만5423원)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배달 부문 역시 2021년 63만793원에서 68만9297원으로 한자릿수 증가폭에 그쳤습니다. 2020년(38만4256원)에 견줘 2021년 64%(24만6537원↑) 큰폭으로 늘었던 것과 대비됩니다.
영상이나 음악 등 온라인 콘텐츠 소비를 위한 스트리밍 서비스 결제액은 11만444원으로 지난 2년 7만6742원, 9만7106원에 이어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현대카드는 이번 연간명세서를 선보이면서 전체 회원의 대중교통 이용이나 시간대별 가장 많은 회원이 이용한 결제처 등 데이터 분석 결과도 일부 공개했습니다.
2022년 한해 가장 많은 사람이 타고 내린 지하철역은 '강남역'이었고 버스정류장은 '구로디지털단지'입니다. 연평균 이용시간은 지하철 24시간, 버스 17시간으로 집계됐습니다.

하루를 새벽·오전·오후·심야 등 7개 시간대로 나눠 살펴본 상위 주요 결제처는 쿠팡, 네이버페이, 우아한형제들이 차지했습니다.
현대카드는 월별명세서를 통한 월단위 소비에 더해 연단위 장기적 소비패턴을 확인할 수 있도록 2021년부터 '연간명세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연간명세서는 '스토리 카드'와 '상세 리포트'로 구성돼 있습니다.
스토리 카드는 연간 총이용금액과 가장 많이 사용한 카드, 가장 많이 소비한 시간대, 대중교통 총이용시간, 주유, 운동, 반려동물 등 업종별 분석 결과를 포함한 14개 항목으로 이뤄집니다.
상세 리포트에서는 지난해 결제 데이터 분석 결과를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습니다.
현대카드 앱으로 명세서를 받아보는 회원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고 2023년 한해 동안 열람 가능합니다.
현대카드 앱에서 제공하는 '내자산'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은 연동된 다른 금융사 이용이력까지 종합분석한 '자산분석 리포트'를 추가로 받아볼 수 있다고 현대카드는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