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코스닥 상장사 알에프세미 인수를 추진하고 있는 세력의 핵심 인물들이 지난 2018년 텔루스(현 코아시아옵틱스) 인수를 추진했던 이들과 동일인물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당시 중국에서 2차전지 사업을 하겠다며 유상증자를 통한 대규모 자금 투입과 수천억원 규모의 펀딩을 공언했다. 하지만 이는 모두 공수표에 그쳤고, 기대감에 급등했던 주가는 급락세로 돌아서 수많은 피해자를 낳았다. 현재 알에프세미에서도 유사한 패턴이 반복되고 있어 실제 자금 납입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11일 금융투자업계 및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알에프세미의 주가는 최근 연일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다. 지난달 4000원을 하회하던 주가가 1만5000원을 넘어서는 등 변동성이 극대화된 모습이다. 중국 자본이 들어와 배터리 사업을 영위할 것이란 기대가 형성되며 소위 ‘2차전지 테마’를 탔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알에프세미는 최근 유상증자와 전환사채(CB)를 통해 810억원의 자금을 조달한다고 밝혔다. 유증 납입이 이뤄질 경우 최대주주가 기존 이진효 대표에서 진평전자로 바뀌게 된다. 진평전자는 홍콩 진평과기유한공사의 100% 자회사로 중국의 진평그룹과 관계돼 있다. 진평그룹의 주요 계열사는 모두 비상장사로 매출 규모 등이 공개돼 있지 않다. 다만 엔 홍, 반재용 씨가 대표이사 등의 요직을 맡고 있다.

중국 국가기업신용정보공시 시스템과 바이두 아이치차에 따르면 반 씨는 산시진평과 상해진평의 법정대리인이고, 엔 홍 씨는 텐진진평의 법정대리인을 맡고 있다. 반 씨의 경우 구본진 블랙펄홀딩스 대표가 이끌었던 트루벤 인베스트먼트 홍콩 지사의 대표를 지낸 경력이 있다. 진평그룹은 현재 블랙펄홀딩스와 손잡고 알에프세미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5년 전 텔루스에서도 유사한 방식으로 접근했다가 돌연 종적을 감춘 이력이 있어 시장의 우려를 낳고 있다. 당시에도 텔루스는 중국 자본 유입 소식에 주가가 한 차례 크게 올랐지만 계속되는 납입 지연에 폭락세로 돌아섰고, 이후 2020년에는 전 대표의 횡령 및 배임 혐의로 거래가 정지되는 등 홍역을 치렀다.
텔루스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들은 지난 2018년 CISM에셋매니지먼트라는 법인으로 텔루스에 8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납입하겠다고 공시했다. 유증 납입 완료 시 49%의 지분을 확보하며 텔루스 최대주주로 등극하는 구조였다. 반 씨와 엔 홍 씨 모두 텔루스의 사내이사로 선임된다는 계획이었다.
이들은 적극적인 비전 제시로 주가 급등을 이끌었다. 반 씨는 언론 인터뷰에서 최대 4400억원 규모의 펀딩을 추진한다고 밝혔고, 엔 홍 씨는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2차전지 사업을 펼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하지만 자금 납입이 반년 이상 미뤄진 끝에 결국 투자는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CISM에셋매니지먼트가 납입하기로 했던 8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는 190억원 규모로 축소됐고, 납입 주체도 다른 투자자로 변경됐다. 이후 이들은 자취를 감췄고, 텔루스는 금융당국으로부터 불성실공시법인 지정과 함께 공시위반 제재금을 부과받기에 이르렀다. 그 사이 텔루스 주가는 수직 하락해 아직까지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텔루스에서의 전력이 있는 세력이다 보니 투자자들의 주의가 필수”라며 “자금 납입이 약속대로 이뤄지는지 반드시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