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넷플릭스와 디즈니+ 등 글로벌 OTT의 영향력이 커지는 상황에서 국내 토종 OTT 업체 대표가 경쟁에 자신감을 나타냈습니다.
이태현 웨이브 대표는 25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웨이브 콘텐츠 라인업 설명회'에서 "글로벌 플랫폼의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 속에서 웨이브는 다른 플랫폼과 제작사가 하지 않는 소재와 이야기에 집중하겠다"며 각오를 다졌습니다.
이 대표는 최근 방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을 만난 테드 서랜도스 넷플릭스 CEO가 한국 콘텐츠 시장에 3조3375억원 가량을 투자하겠다는 소식에 대해 "토종 OTT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거라는 분석도 있지만 환영할 만한 일이다"며 "자본이 플랫폼 시장에 들어오면 경쟁이 이루어지면서 영화와 드라마 관련 산업이 성장하는 선순환으로 이어진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대표는 "단기적으로는 플랫폼간의 경쟁으로 비춰질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제작사들의 경쟁력이 확보되어야 플랫폼이 성과를 볼 수 있다"면서 "플랫폼 뿐만 아니라 관련 업계의 성장이 동반되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대표는 "2022년은 '약한영웅 Class1'의 해였다"면서 "2023년에는 '피의 게임2'을 포함하여 국내 제작 오리지널 시리즈를 7개 가량 선보일 예정이다"고 말했습니다. 이 대표는 "모든 콘텐츠를 편당 20억씩 제작 할 수 없는 상황이기에 적은 투자로 높은 화제성을 가져올 수 있는 효율적인 제작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약한영웅 Class1'은 웹툰을 원작으로 하는 드라마로 작년 11월 공개됐습니다. '약한영웅'은 공개 후 4주 동안 유료가입자 견인 1위, 화제성 1위를 차지한 바 있습니다. '유료가입자 견인'은 해당 서비스를 처음 이용하는 이용자가 가입 후 처음 시청한 콘텐츠를 의미합니다. 해당 콘텐츠를 보기 위해 가입했다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웨이브가 적극적으로 '오리지널 시리즈' 제작에 나선 배경에는 기업공개(IPO)가 있습니다. 웨이브는 2024년까지 IPO를 약속했습니다. 2024년까지 기업공개를 하지못하면 2000억의 전환사채(CB)를 만기 상환해야합니다. 웨이브는 2022년 영업손실 121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2021년의 영업손실 558억원대비 117%가량 손실이 늘었습니다.
이 대표는 이와 관련하여 '흑자 전환'까지 장기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글로벌 시장 확대를 통해 수익성을 추구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웨이브는 작년 12월 미주지역 콘텐츠 플랫폼 '코코와'를 인수 한 바 있습니다.
이 대표는 해외 시장 개척과 관련해 "해외 한인 커뮤니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종에서 수요가 존재한다"면서 "미국 시장 뿐만 아니라 중동, 아시아 시장으로까지 확대해나갈 방침"이라고 말했습니다.
웨이브는 이번 설명회에서 ▲피의게임2 ▲데드맨 ▲용감한시민 ▲거래 ▲HBO MAX의 'Love&Death' ▲NBCU의 'Bad Behavior', 'A Town Called Malice' ▲CBS의 'FBI S5', 'SEAL TEAM S6' 등의 콘텐츠를 소개했습니다.
웨이브는 SK텔레콤과 KBS, MBC, SBS, EBS 등 국내 지상파 4개사가 합작 운영하는 인터넷 기반 국내 OTT 서비스로 지난 2019년 출범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