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사모펀드가 대주주로 보험업계 잠재매물 중 하나인 롯데손해보험(대표이사 사장 이은호)이 올해 1분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흑자전환과 함께 역대급 실적을 냈습니다.
9일 롯데손보가 공시한 잠정 영업실적을 보면 올 1분기 당기순이익은 793억7500만원입니다. 1년 전인 지난해 1분기(105억600만원)와 비교하면 무려 655.5% 증가한 것입니다. 직전인 지난해 4분기에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흑자로 돌아선 것입니다.
영업이익은 창사 이래 개별 분기 최대 규모인 1050억3000만원으로 집계됐습니다. 보험영업이익 470억원, 투자영업이익 580억원 합산입니다. 1년전보다 628.5% 큰폭 증가입니다.
1분기 장기보장성보험 원수보험료는 5050억원으로 5000억원을 처음으로 넘었습니다. 원수보험료는 보험사가 대리점 등을 통해 보험계약을 체결하고 받은 보험료로 매출을 의미합니다.
장기보장성보험 원수보험료는 1분기 전체 원수보험료(5953억6400만원) 가운데 84.8%의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앞서 이은호 롯데손보 대표이사는 지난 3월말 열린 '제78기 정기주주총회'에서 "2019년 이후 회사에 가장 오랜 기간 높은 이익을 가져다 주는 장기보장성보험 비중을 높이는 선택과 집중전략을 이어왔다"며 "2023년엔 장기보장성보험 비중을 85% 수준까지 높이는 것이 목표"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롯데손보는 "대주주 변경 직후인 2020년 1분기 장기보장성보험 원수보험료 3496억원과 비교하면 3년만에 금액은 44.5% 늘고 원수보험료에서 비중은 21.3%포인트(p) 높아졌다"고 설명합니다.
장기보장성보험 분기 신규월납액(신규 보험계약자가 내는 1회차 월보험료)은 108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 52억원에 비해 107.7% 성장했습니다.
롯데손보는 계량적 변화 외에도 계약의 질적 측면에서도 향상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장기보장성보험 유지율은 13회차 87.2%, 25회차 79.8%로 업계 최상위권을 유지하고 있고 지난해 1분기 84.9%인 전사손해율이 올 1분기 82.7%로 2.2%p 개선됐다는 것입니다.
또 장기위험손해율(98.2%)은 1년전(100.2%)보다 2.0%p 떨어졌고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77.0%로 집계됐습니다.
올해 보험업계에 본격 도입된 새 회계기준(IFRS17)에서 보험사의 수익성을 가늠해볼 수 있는 지표인 계약서비스마진(CSM) 성장세는 눈에 띕니다.
롯데손보는 올해초 1조8005억원의 CSM에서 상각수익 410억원을 인식했지만 1551억원의 신계약 CSM을 추가 확보했습니다. 이를 통해 올 3월말 기준 CSM은 올초 대비 944억원 증가한 1조894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이와 함께 올초 1조3652억원이던 순자산(자본) 역시 1분기 말 1조4180억원으로 528억원 증가했습니다.
롯데손보는 "1분기 최대 실적을 올린 배경엔 2019년 대주주 변경 이후 보험업 본연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시행한 '내재가치 중심경영'이 자리잡고 있다"며 "지난해 적자를 감수하고 3164억원의 판매비 투자를 진행하는 등 단기손익에 흔들리지 않고 CSM 성장을 위한 체질개선 작업을 이어온 것이 결실을 맺기 시작했다"고 스스로 평가했습니다.
롯데손보는 2019년 10월 경영권인수(Buyout) 전문 사모펀드운용사를 표방하는 JKL파트너스로 대주주가 변경됐습니다. 롯데손보는 오는 6월중 환매조건부채권(RP)에 대한 상환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