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준감위 검토를 거쳤습니까?"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이하 준감위)의 지난해 구체적인 활동이 공개됐습니다.
29일 발간한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2022 연간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 준감위는 삼성 내 수직적 지배구조 개선을 위해 준감위와 회사 모두 다양한 모델을 연구, 검토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찬희 준감위 위원장은 발간사를 통해 "'준감위의 검토를 거쳤나요?'라는 말이 삼성 안에서는 더 이상 낯설지 않다"며 "중요한 사안의 결정 전에 경영진이 당연하게 확인하는 사항"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위원장은 "삼성의 수직적 지배구조 개선과 관련해서는 아직 명쾌한 해법을 찾아내지 못했다"고 준감위 내부의 고민을 솔직하게 공개한 뒤 "사외이사를 비롯한 이사회 권한 강화, 50%가 넘는 여성 사외이사 비율 등 수평적 지배구조 개선에 앞장서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위원장은 "준법경영이 단순한 선언이 아니라 기업 문화로 체질화하고 있다"며 "준감위와 삼성은 준법경영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향해 달려가는 '2인3각' 동반자라는 신뢰가 형성됐다"고 평가했습니다.
이 위원장은 "2기 준감위가 조용하다는 말을 자주 듣지만, 겉으로 드러나는 화려함을 넘어 질박하고 단단한 내실을 추구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준감위는 삼성 계열사들의 준법 감시·통제 기능을 강화해 삼성의 핵심가치인 정도경영을 실천하고 사회적 신뢰를 제고하기 위해 설치된 독립적·자율적 위원회입니다.
준감위는 현재 삼성의 7개 주요 계열사 (삼성전자 주식회사, 삼성물산 주식회사, 삼성SDI 주식회사, 삼성전기 주식회사,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삼성생명보험 주식회사, 삼성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에 대한 준법감시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법무법인 율촌 고문변화사인 이찬희 위원장을 포함해 권익환(김앤장 법률사무소 변호사), 김우진(서울대 경영대학 교수), 성인희(삼성글로벌리서치 조직문화혁신담당), 원숙연(이화여대 행정학과 교수), 윤성혜(경기 하남경찰서장), 홍은주(한양 사이버대학 경제금융학과 교수) 등 6인의 외부위원과 1인의 내부위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