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SK텔레콤[017670]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 발달장애인 행동 패턴을 인지하고 이를 통해 일상 속 위험을 감지·대응하는 분석시스템을 서울시 종로·도봉발달장애인평생교육센터에서 시범운영한다고 7일 밝혔습니다.
해당 시스템은 비전 AI 기술이 적용된 CCTV를 활용해 발달장애인들의 도전 행동을 분석, 자동으로 기록하는 기능이 탑재됐습니다. 행동전문가들은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도전 행동은 발달장애인이 다른 사람이나 스스로에게 해를 끼치는 행동 또는 물건을 파손하는 등의 위험한 행동을 의미합니다.
SKT는 "발달장애인의 행복한 일상을 위해서 도전적 행동을 하기에 앞서 직면하는 상황 등 원인을 분석하고, 특정한 행동을 하기 시작했을 때 빠르게 모니터링해 도움을 줄 수 있는 돌봄 체계가 필요하다"라며 도입 배경을 밝혔습니다.
SKT는 서울시와 함께 발달장애인평생교육센터 돌봄에 AI를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서울시는 제2기 발달장애인 지원 기본계획에 따라 AI행동분석 시스템 시범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SKT AI 기술을 활용하면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 패턴을 인식·분석해 이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행동의 지속 시간도 기록할 수 있습니다. ▲발차기 ▲주먹질 ▲밀고당기기 ▲쓰러짐 ▲머리 때리기(자해) ▲드러눕기 ▲달리기 ▲배회하기 ▲점프 등 총 9가지 도전적 행동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SKT는 데이터에 기반한 중재 계획을 세워 복지 현장에 있는 전문가들과 협업하는 등 다양한 방향으로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시범 사업을 통해 시스템을 고도화해 노인·어린이 등 사회적 약자의 위험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활용 범위를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SKT는 지난 2021년 서울대학교병원과 비전 AI 기반 발달장애 조기진단 및 도전적행동 치료를 위한 기술 개발을 시작으로 올해 4월 영유아 자폐스펙트럼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리빙랩을 구축한 바 있습니다.
엄종환 SK텔레콤 ESG 얼라이언스 담당은 "우리 사회의 난제를 해결하는데 SKT의 AI를 활용하기 위해 꾸준한 연구 개발을 계속해 왔다"라면서 "발달장애인 본인은 물론 가족과 관계자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따뜻한 AI를 만들기 위해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