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Electronics 전기/전자

삼성전자 ‘갤럭시 언팩’, AI폴더블폰·갤럭시링 등 전격 공개

URL복사

Thursday, July 11, 2024, 09:07:20

Z플립·폴드6, 갤럭시링 등 예고되었던 신제품 대거 공개
'강낭콩'에서 '콩나물'로…디자인 확 바뀐 '버즈3'
스케치 변환·제미나이 문서 작성 등 AI 기능도 업그레이드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삼성전자[005930]의 두 번째 'AI폰'이 '갤럭시 링' 등 새로운 갤럭시 제품들과 함께 파리에서 대거 공개되었습니다.

 

삼성전자는 현지 시간으로 10일 프랑스 파리 루브르 박물관 지하 전시장에서 하반기 '갤럭시 언팩 2024' 행사를 개최하고 갤럭시 신제품들을 선보였습니다.

 

행사 무대에 오른 노태문 삼성전자 모바일경험(MX) 사업부장(사장)은 "삼성만이 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갤럭시 AI 에코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표하게 돼 기쁘다"며 "6세대 폴더블은 최신 갤럭시 AI를 경험할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이라고 소개했습니다.

 

이날 공개된 제품은 ▲갤럭시 Z폴드6 ▲갤럭시 Z플립6 ▲갤럭시 링 ▲갤럭시 워치7 시리즈▲갤럭시 버즈3 시리즈 등입니다.

 

더 얇고 가벼워진 Z플립·폴드…업그레이드된 AI

 

이번 행사로 공개된 최초의 AI폴더블폰 '갤럭시 Z플립·폴드6'의 가장 큰 특징이자 호평받는 점은 얇고 가벼워진 무게입니다. Z플립·폴드6는 각각 187g, 239g으로 역대 Z 시리즈 제품 중 가장 가볍습니다.

 

또한, '듀얼 레일 힌지(경첩)' 구조로 외부 충격을 분산시키며 '스냅드래곤 8 3세대'를 탑재해 연산 기능도 향상시켰습니다.

 

프레임에는 '아머 알루미늄'과 '코닝 고릴라 글래스 빅터스2'를 사용해 내구성을 강화했으며 둥근 모서리의 전작 대비 날렵한 직선 디자인을 채택해 변화를 주었습니다.

 

 

AI 기능도 업그레이드 됐습니다. '통역(Interpreter)' 기능은 폴더블의 듀얼 스크린을 활용하는 새로운 '대화 모드'를 통해 사용자와 상대방은 실시간으로 번역된 텍스트를 메인 스크린과 커버 스크린으로 동시에 확인하며 대화할 수 있습니다. '듣기 모드'를 사용하면 번역된 텍스트가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기됩니다.

 

또한, '구글 제미나이' 최신 앱이 탑재돼 AI 기반으로 사용자의 글 패턴과 맥락을 분석해 글 작성을 도와줍니다.

 

S펜을 탑재한 갤럭시 Z폴드6는 S펜으로 스케치를 그리면 생성형 AI가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이미지로 변환해주는 '스케치 변환 기능'도 선보였습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Z폴드6·플립6 제작에 재활용 금과 재활용 구리를 최초로 사용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제품 포장 상자에는 100% 재활용 종이를 활용했습니다.

 

갤럭시 Z폴드·플립6 시리즈는 오는 24일부터 전 세계 순차 출시됩니다. 국내 사전 판매는 12일부터 진행됩니다.

 

갤럭시 Z폴드6은 실버 쉐도우, 핑크, 네이비 색상에 256GB, 512GB, 1TB 모델로 출시되며 출고가는 각각 222만9700원, 238만8100원, 270만4900원입니다.

 

갤럭시 Z플립6은 블루, 실버 쉐도우, 옐로우, 민트 색상에 256GB, 512GB로 출시되며 출고가는 148만5000원, 164만3400원입니다.

 

단연 화제였던 갤럭시 링…더욱 진화한 갤럭시 워치

 

공개 당시 행사에서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은 제품은 올해 초부터 궁금증을 자아냈던 '갤럭시 링'이었습니다.

 

갤럭시 제품 중 가장 작은 초소형 폼팩터인 갤럭시 링은 삼성전자의 최첨단 센서 기술이 집약된 제품으로 ‘갤럭시 AI’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를 분석하고 최적화된 개인 건강 관리를 지원합니다.

 

 

가장 큰 차별점은 간편한 착용을 통한 고도화된 수면 분석입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워치보다 착용하기 쉬우면서도 최첨단 센서 기술로 잠자는 동안에도 건강 관리를 할 수 있다"고 설명해 객석으로부터 환호를 받았습니다.

 

▲수면 중 움직임 ▲잠들기까지 걸린 시간(Sleep latency) ▲수면 중 심박수와 호흡수 등 수면의 질과 관련된 지표를 '삼성 헬스' 앱을 통해 별도 구독료 없이 모두 제공합니다.

 

갤럭시 링은 티타늄 블랙, 티타늄 실버, 티타늄 골드 3가지 색상이 총 9개의 사이즈로 출시되며 가격은 49만9400원입니다.

 

기존 삼성전자의 헬스케어를 대표하는 웨어러블 제품인 '갤럭시 워치'의 신제품 '갤럭시 워치 7' 시리즈도 공개됐습니다.

 

기존의 헬스케어 기능은 더욱 강화했으며 바이오액티브 센서(BioActive Sensor)’는 보다 다양한 종류의 LED 센서를 탑재하고 센서의 위치도 변경해 사용자에게 더욱 정확하고 다양한 건강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시리즈 최초로 '최종당화산물(AGEs,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지표(AGEs Index)' 측정과 '수면 무호흡 기능(Sleep Apnea Feature)'을 제공합니다. 최종당화산물은 사용자의 생물학적 노화 과정을 반영하는 건강 지표 중 하나로 평상시 식단과 생활 습관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갤럭시 워치7 44mm는 그린과 실버, 40mm는 그린과 크림 색상이며 44mm 블루투스 모델이 38만9000원, 40mm 블루투스 모델이 34만9000원입니다.

 

갤럭시 워치 울트라는 47mm LTE 모델 1종으로 티타늄 그레이, 티타늄 화이트, 티타늄 실버 세 가지 색상이며 출고가는 89만9800원입니다.

 

갤럭시 링과 워치7 시리즈는 24일부터 전 세계에 순차적 출시되며 링의 국내 사전 판매는 12일부터 진행됩니다.

 

'강낭콩'에서 '콩나물'로 바뀐 버즈3

 

가장 큰 변화를 보인 제품은 '갤럭시 버즈3' 시리즈였습니다. 2019년 처음 출시 이후 이전 세대까지 둥그런 '강낭콩' 디자인을 고수해오던 버즈3 시리즈는 이번 세대에서 최초로 '콩나물' 디자인을 채택했습니다.

 

갤럭시 버즈3 프로는 귓구멍에 꽂는 커널형, 갤럭시 버즈3는 귀 뒤로 거는 오픈형 디자인으로 각기 다른 디자인을 적용해 선택 폭을 넓혔습니다.

 

 

기능 면에서는 갤럭시 AI를 활용한 실시간 통역과 손쉽게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블레이드(Blade)'가 돋보였습니다.

 

갤럭시 버즈3 시리즈를 갤럭시 Z 폴드6나 갤럭시 Z 플립6과 연결한 후 통역 앱의 '듣기 모드' 기능을 켜면 사용자의 언어로 실시간 음성 통역을 듣는 것이 가능합니다.

 

또한, 음성 명령 '보이스 커맨드(Voice Command)' 기능도 탑재해 '음악 재생', '전화 수신' 등 단어만 말하면 갤럭시 버즈3 시리즈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별도의 동작 없이 편리하게 음악을 재생하고 전화를 받을 수 있습니다.

 

통화 음질, 노이즈 캔슬링 등의 기본 기능도 AI의 실시간 분석을 통해 더욱 고도화했습니다.

 

'블레이드'는 누르거나 쓸어서 기기를 제어하는 기능으로 디자인과 결부되어 모던한 느낌을 주며 라이트(Light)도 탑재했습니다.

 

갤럭시 버즈3 프로는 안정적 고역(High Frequency) 재생이 가능한 '평판 트위터(Planar Tweeter)'가 '2-Way 스피커(2-Way Speaker)'에 새롭게 적용돼 재생 대역이 2배로 확대됐습니다.

 

또한, Z플립·폴드6와 연결되어 있을 경우 삼성전자의 독자적 블루투스 오디오 코덱 'SSC (Samsung Seamless Codec)'가 적용돼 24bit 96kHz의 초고음질 오디오를 지원합니다.

 

갤럭시 버즈3 시리즈는 실버와 화이트 두 가지 색상으로 출시되며 갤럭시 버즈3 프로는 31만9000원, 갤럭시 버즈3는 21만9000원입니다.

 

공식 사전 판매는 12일부터 18일까지 삼성닷컴·네이버·쿠팡·11번가·지마켓 등 온라인 오픈마켓과 삼성스토어·하이마트 등 오프라인 매장에서 진행됩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이종현 기자 flopig2001@inthenews.co.kr

배너

SK-오픈AI, 메모리·AI DC 초대형 합작…K-AI 구축 가속화

SK-오픈AI, 메모리·AI DC 초대형 합작…K-AI 구축 가속화

2025.10.01 20:20:20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SK그룹이 오픈AI와 메모리반도체 공급과 서남권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DC) 설립·운영 등에 관한 파트너십을 맺고 글로벌 AI 인프라 구축에 본격 참여합니다. 반도체 공급부터 데이터센터 설계·운영, AI 서비스 확산까지 아우르는 전방위 협력을 통해 차세대 AI 인프라 혁신을 이끈다는 전략입니다. SK그룹은 최태원 회장과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등 양사 경영진들이 1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만나 메모리 공급 의향서(LOI)와 서남권 AI DC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최태원 회장은 이번 협력에 대해 “글로벌 AI 인프라 구축을 위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SK가 핵심 파트너로 참여하게 됐다”며 “메모리반도체부터 데이터센터까지 아우르는 SK의 통합 AI 인프라 역량을 이번 파트너십에 집중해 글로벌 AI 인프라 혁신과 대한민국의 국가 AI 경쟁력 강화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SK하이닉스, 월 90만장 웨이퍼 소요되는 오픈AI 반도체 수요 대응 SK하이닉스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서 고대역폭메모리(HBM) 반도체 공급 파트너로 참여합니다. 이번 메모리 공급 의향서 체결은 올해 상반기 기준 D램 글로벌 매출 1위인 SK하이닉스의 AI 전용 메모리반도체 기술력과 공급 역량을 인정받은 결과라고 SK는 설명했습니다. 이에 SK하이닉스는 D램 웨이퍼 기준 월 최대 90만장 규모의 HBM 공급 요청에 적기 대응할 수 있는 생산 체제를 구축할 예정입니다. 오픈AI의 HBM 공급 요청은 웨이퍼 기준으로 현재 전세계 HBM 생산 능력의 2배가 넘는 수준입니다. SK하이닉스는 이번 협력을 통해 오픈AI의 AI 가속기(GPU) 확보 전략 실현을 적극 협력하고, 양사 간 협업 역시 지속 확장키로 했습니다. SKT, 서남권에 ‘한국형 스타게이트’…K-AI 구축 드라이브 SK텔레콤은 대규모 DC구축·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오픈AI와 양해각서(MOU)를 체결, 한국 서남권에 오픈AI 전용 AI DC를 공동 구축해 ‘한국형 스타게이트’를 실현한다는 계획입니다. 양사 협력은 AI 데이터센터를 기반으로 B2C·B2B AI 활용 사례를 발굴하고, 나아가 차세대 컴퓨팅과 데이터센터 솔루션의 시범 운용까지 포함합니다.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통신·전력인프라와 반도체 기술, 풍부한 AI 수요를 바탕으로 글로벌 AI 혁신의 테스트 베드 역할을 합니다. SK 관계자는 “AI DC 협력은 SK그룹과 글로벌 1위 AI 기업인 오픈 AI가 대한민국 AI 대전환을 위한 강력한 파트너십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서남권 AI DC는 아시아 지역 AI DC 허브로 자리매김해 지속가능한 협력을 이끌어내는 기반이 될 것이고 SK그룹이 추진 중인 ‘SK AI 데이터센터 울산’과 함께 동서를 연결하는 AI 벨트를 구축해 지역 균형발전에 기여하고 대한민국 전역의 AI 대전환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미 AI 경제 동맹 발판 기대…“AI 3대 강국 디딤돌 될 것” SK그룹은 이번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참여는 한미 간 AI 경제동맹을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제조와 통신 영역에서 강점을 가진 대한민국과 AI 기술의 선두 주자인 미국 간의 협력모델이 상호 보완 및 글로벌 AI 리더십 동맹의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최태원 회장과 샘 올트먼 CEO는 2023년부터 긴밀히 협력하며 AI 인프라의 미래를 함께 설계했습니다. 양측은 AI 학습과 추론에 필요한 워크로드 폭증에 대비해 전용 반도체 개발과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에 깊이 공감하며, 하드웨어 병목 없는 차세대 AI 모델 개발을 위한 새로운 메모리-컴퓨팅 아키텍처 등 혁신적 AI 인프라 공동 개발을 논의해 왔습니다. 이번 파트너십 체결은 칩 개발부터 데이터센터 구축·운영까지 전 주기에 걸친 기술 혁신 협력의 본격적 출발점으로, 글로벌 AI 생태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SK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SK그룹은 AI를 새로운 성장축으로 삼아 사업 포트폴리오를 혁신 중이며, 올해 8월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함께 ‘SK AI 데이터센터 울산’ 기공식을 여는 등 글로벌 빅테크와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SK 관계자는 “글로벌 AI 대전환 시기를 맞아 핵심 플레이어로서 시장 참여를 확대할 수 있도록 빅테크 협력과 관련 투자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K-AI 생태계 확장에도 기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