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Electronics 전기/전자

‘진정한 AI폰’ 진짜일까?…출시 2주 갤럭시 S25 체험 해보니

URL복사

Friday, February 21, 2025, 20:02:43

AI 기능 추가 및 업데이트 강조
무게 경량화, 모서리 디자인서 곡선미 변화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출시된지 2주가 지난 삼성전자[005930]의 갤럭시 S 시리즈 신작 '갤럭시 S25' 시리즈가 디자인, 무게, AI 기능 등에서 바뀐 점들이 체감된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지난 7일 출시된 갤럭시 S25 시리즈는 지난달 24일 국내 사전판매를 시작해 130만대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역대 S 시리즈 사전 판매 최다 기록입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S25 시리즈를 출시하며 '진정한 AI폰'이라는 타이틀을 내걸었습니다. 전작이자 S 시리즈가 세계 최초로 온디바이스 AI를 탑재한 AI 스마트폰이었던 만큼, 후속작에서는 AI라는 정체성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알 수 있는 타이틀입니다.

 

디자인 면에서도 변화를 주었습니다. 특히, 갤럭시 S25 울트라는 전작인 갤럭시 S24 울트라의 각진 모서리에서 둥근 모서리로 바뀌었으며 이는 S25 시리즈에 공통적으로 적용됐습니다.

 

삼성전자는 지난 14일 자사 뉴스룸을 통해 갤럭시 S25 울트라 언박싱 영상을 공개하며 디자인 변화와 가벼워진 무게를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가볍고 얇다…'크기'보다 '편의성'에 집중

 

실제로 들어본 갤럭시 S25 시리즈는 전반적으로 가볍다는 것이 체감됐습니다. 전작에 비해 보다 둥그런 디자인을 채택한 모서리로 인한 그립감도 개선되었단 느낌을 받았습니다.

 

갤럭시 S22 울트라를 사용하던 50대 여성 이용자는 "바뀐 디자인이 시각적으로도, 편의성 면에서도 나은 것 같다"라며 "(갤럭시) S22와 비교하니 가벼워진 것이 훨씬 더 체감된다"라고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갤럭시 S25, 갤럭시 S25+, 갤럭시 S25 울트라 총 3개 모델로 출시한 이번 시리즈는 기존 S 시리즈들에 비해 크기는 비슷하거나 오히려 작아졌으나 무게는 가장 가볍습니다.

 

 

전작인 갤럭시 S24의 무게인 232g보다 약 6%가량 가벼운 218g이며 그만큼 두께도 전작의 8.6㎜보다 0.4㎜ 얇아진 8.2㎜로 얇아졌습니다.

 

그러면서도 디스플레이의 크기는 전작인 S24 울트라가 6.8인치, S25 울트라가 6.9인치로 넓어졌습니다. 베젤(테두리)을 전작 대비 0.2㎜ 얇아진 1.32㎜ 15% 줄여 체감되는 크기를 늘린 것입니다.

 

크기와 함께 둥근 모서리의 디자인은 그립감과 휴대성을 개선시켰다는 평가입니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아지고 모서리가 둥글어 쥐었을 때 불편함이 덜하며 한 손으로 디스플레이를 조작하는 것도 수월했습니다.

 

주머니, 가방 등에 넣을 때도 둥근 모서리로 인해 걸림이 덜하다는 느낌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체험 결과, 갤럭시 S25 시리즈는 디바이스 경험 면에서 큰 화면의 이점보다는 편의성에 더 힘을 준 것으로 보였습니다. 터치와 같은 조작감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폼팩터의 크기와 디자인을 바탕으로 한 개선점이 돋보였습니다.

 

사진을 넘어 영상에서도 AI 기능 사용…정확도는 아직

 

'진정한 AI폰'을 지향한 갤럭시 S25 시리즈인 만큼 기존 S24 시리즈에서 선보였던 AI 기능을 비롯해 여러 AI 기능이 추가됐습니다.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용 패턴과 데이터를 분석해 개인화된 맞춤형 정보 브리핑을 제공하는 '나우 브리프(Now Brief)' 등 새로운 기능이 추가됐으며 전작에도 탑재되어 있던 '서클 투 서치', '실시간 통역' 등 기능도 업그레이드됐습니다.

 

특히, S25 시리즈는 사진뿐만 아니라 영상에서도 AI를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오디오 지우개'는 소리를 AI가 종류별로 분석해 각각 볼륨을 줄이거나 올릴 수 있는 기능입니다. 실제로 사용해 본 결과 바람, 소음, 군중 등 영상 내 소리를 AI가 분석해 분류하며 0에서 시작해 –100부터 +100까지 소리의 크기를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었습니다.

 

 

또는, 'Auto' 버튼을 눌러 AI가 영상에 맞춰 자동으로 영상 내 소리들을 조절해 주는 것도 가능했습니다. 해당 기능으로 생성된 영상은 매장 내 다른 방문객들의 대화 소리와 바람 소리 등을 대부분 제거, 또는 감소시키면서도 촬영자의 목소리는 거의 훼손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클 투 서치' 기능은 기존의 이미지, 텍스트 검색에 더해 기기에서 재생되는 영상, 음악의 사운드를 검색해 주는 기능까지 추가됐습니다.

 

 

하지만 AI 기능이 아직 완전한 건 아니었습니다. 갤럭시 S 시리즈의 AI 기능은 버튼 한 번으로 실행이 가능하다는 접근성 면에서의 장점은 명확하지만 정확도 면에서는 아직 부족한 점이 보였습니다.

 

탑재된 구글의 AI 모델 제미나이를 통해 자연어 기반의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앱 간 이동할 필요 없이 제미나이에게 명령어를 입력해 곧바로 작업을 이어갈 수 있지만 간혹 부정확한 답변과 실행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가령, 갤럭시 S25 시리즈를 체험하기 위해 방문한 서울 여의도 내 삼성스토어 매장에서 제미나이에게 '갤럭시 S25 시리즈를 구매할 수 있는 매장을 찾아줘'라고 입력하자 '여의도 내의 갤럭시 S25 시리즈 판매 매장을 찾을 수 없습니다'라는 답변이 돌아오기도 했습니다.

 

연계되는 앱도 아직은 구글 기본 앱, 스포티파이, 왓츠앱으로 제한되어 아직 범용성이 넓지는 않았습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에 대해 "제미나이를 통해 연계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앱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이종현 기자 flopig2001@inthenews.co.kr

배너

90년 된 은행의 변신…신세계 본점, 야심작 ‘더 헤리티지’ 공개

90년 된 은행의 변신…신세계 본점, 야심작 ‘더 헤리티지’ 공개

2025.04.10 18:41:02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대한민국 최초의 백화점인 신세계백화점 본점이 10여년 간의 복원과 리뉴얼을 거쳐 ‘더 헤리티지’를 공개했습니다. 새로 개관한 ‘더 헤리티지’가 위치한 남대문∙명동 일대는 신세계백화점의 역사가 시작된 곳입니다. 10일 신세계백화점에 따르면 ‘더 헤리티지’로 새롭게 태어난 옛 제일은행 본점 건물은 1935년 준공돼 1989년 서울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됐습니다. 한국산 화강석을 사용해 마감한 네오 바로크 양식의 건물로 한국 전쟁 때에도 큰 피해를 입지 않아 준공 당시의 모습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습니다. 근대 건축물을 쇼핑과 문화의 복합 공간으로 계승한 국내 최초∙유일의 건물로 신세계백화점이 재해석한 럭셔리와 가장 한국적인 요소들을 접목해 전통과 미래, 글로벌한 라이프 스타일을 경험할 수 있는 새로운 공간으로 선보인다는 설명입니다. 신세계백화점 본점은 ‘더 헤리티지’ 개관에 맞춰 본관을 ‘더 리저브’로, 2005년 개관한 신관을 ‘디 에스테이트’로 새롭게 명명합니다. 앞서 3월에 선보인 ‘디 에스테이트’, 이번에 새롭게 선보인 ‘더 헤리티지’에 이러 ‘더 리저브’도 올 하반기 오픈할 예정입니다. 럭셔리 브랜드와 한국 전통문화를 한 자리에 ‘더 헤리티지’는 럭셔리 콘텐츠로 채워졌습니다. 1층과 2층에는 ‘샤넬’이 문을 엽니다. 샤넬 매장은 샤넬과 오랜 기간 협력해온 피터 마리노가 설계를 맡았습니다. 샤넬의 새로운 부티크는 레디 투 웨어(RTW), 핸드백, 슈즈를 위한 전용 공간은 물론 워치&화인 주얼리 전용 살롱을 갖췄습니다. 건축학적 보전 가치가 가장 높은 4층에는 대한민국 유통의 발자취를 담은 역사관과 미술품을 전시하는 갤러리가 마련됩니다. 역사관에서는 신세계가 소장하고 있는 다양한 유물과 사료를 디지털로 전환해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습니다. 갤러리에서는 1930~50년대 서울의 중심지였던 남대문 일대와 신세계의 역사와 헤리티지를 보여줄 수 있는 사진전을 개관전으로 준비했습니다. 5층에는 ‘하우스오브신세계 헤리티지’가 들어섭니다. 이곳은 한국의 문화와 생활 양식을 담은 전시가 열리거나 장인∙작가들과 협업해 다양한 ‘한국의 것’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꾸며집니다. 이외에도 신세계 한식연구소에서 한국의 디저트를 연구해 직접 개발한 메뉴를 소개하는 ‘디저트 살롱’과 옥상 정원 등도 조성돼 모두에게 개방합니다. 지하 1층에는 한국의 헤티리지를 선물할 수 있는 공예 기프트샵이 마련됐습니다. 프랑스의 럭셔리 크리스털 브랜드 ‘라리끄’와 ‘바카라’, 명품 식기 브랜드 ‘크리스토플’, 덴마크의 하이엔드 오디오 전문 브랜드 ‘뱅앤올룹슨’까지 지하 1층에 함께 문을 엽니다. 블랙 다이아몬드 등급 이상의 고객이 이용할 수 있는 ‘더 헤리티지 발렛 라운지’도 신설했습니다. 역사∙문화∙휴식 공존하는 '원스톱' 쇼핑 공간 신세계는 이번 본점 ‘더 헤리티지’ 개관으로 문화와 예술, 쇼핑 콘텐츠를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본점 인근에 위치한 숭례문을 비롯해 현재는 화폐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는 한국은행 본관 등은 1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문화재입니다. 남대문 시장과 명동 거리, 남산공원도 가까이 위치해있습니다. 이후 ‘더 리저브’에 국내 최대 규모의 루이비통과 에르메스 매장이 들어서면 럭셔리 브랜드부터 컨템포러리 패션까지 아우르는 ‘디 에스테이트’와 함께 신세계백화점 본점은 서울의 대표 럭셔리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본점을 찾는 외국인도 많아질 전망입니다. 문화체육관광부 통계에 따르면 외국인 관광객 입국은 2021년 97만명을 기록한 이후 지난해 1637만명까지 늘어 팬데믹 이전인 2019년(1750만명)과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본점 역시 외국인 구매객이 2022년 241%, 2023년 514%, 2024년 458%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준공 당시 90% 수준까지 복원..현대적 해석 가미 더 헤리티지는 신세계백화점이 2015년 매입해 10년간 보존과 복원에 공을 들였습니다. 서울시 국가문화유산 건물이기에 건물의 역사와 헤리티지를 계승하기 위해 과거 문헌과 사진 자료 등을 최대한 수집하는 등 최초 원형에 가깝게 복원하고자 했습니다. 30여차례 이상의 국가유산위원회위원들의 자문을 거친 결과 1935년 준공 당시와 90% 가량 동일한 수준까지 복원했습니다. 외관과 인테리어에는 헤리티지를 담는데 중점을 뒀습니다. 국내 유일하게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1층 천장의 꽃 문양 석고부조는 페인트 제거 및 파손된 곳을 보수했습니다. 준공 당시 설치됐던 금고의 문도 원형을 유지해 장소만 4층으로 옮겼습니다. 아울러 1994년 ‘문화재수리 대수선 공사’에서 변형됐던 엘리베이터 홀과 계단실의 화강석 마감재도 준공 당시와 같은 타일 마감형태로 복원했습니다. 준공 이후에 설치된 요소에는 신세계의 현대적 해석을 가미했습니다. 대표적으로 남측의 커튼월을 뉴욕의 ‘더 모건 라이브러리’에서 영감을 받아 흰색 철판으로 제작했고, 옥상에 설치돼 있던 태양열 집열판은 해체 후 정원으로 탈바꿈시켰습니다. 또 이동 약자의 편리한 이동을 위한 엘리베이터도 신설했습니다. 신세계 측은 앞으로 ‘디 에스테이트’의 잔여 공간과 ‘더 리저브’의 리뉴얼을 마치게 되면 강남점에 비견되는 국내 최고 수준의 브랜드 라인업을 갖추게 돼 전통이 깃든 건물에서 국내외 고객들에게 색다른 쇼핑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박주형 신세계백화점 대표는 "신세계의 모든 역량과 진심을 담아 ‘더 헤리티지’를 개관했다"며 "신세계백화점 본점은 역사와 전통이 살아 숨쉬는 공간으로 관광의 즐거움과 쇼핑의 설렘, 문화의 깊이까지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서울의 대표적인 랜드마크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