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LG전자[066570]는 AI(인공지능)를 활용해 완성 제품의 품질 예측 시간을 기존 대비 최대 99%까지 단축하는 AI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습니다.
LG전자는 이 기술로 제품 개발 과정에서 수 차례 반복되는 검증 시간을 줄여 개발기간 단축은 물론, 생산 효율성도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시제품 제작 전에 품질을 예측하기까지 매번 3~8시간이 소요됐던 반면, 이번 기술은 AI를 활용해 별도의 시뮬레이션 없이 3분 이내로 예측할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습니다.
특히 이 기술은 유사한 딥러닝 알고리즘 기반의 AI 기술과 비교해 분석을 위한 AI의 학습 시간을 95% 이상 단축하고, 메모리 사용량은 1/10 수준으로 줄이면서도 정확도는 15% 이상 향상했습니다. 결과를 실제 제품에 가까운 3D 형태로 보여줘 개발자가 직관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것도 장점입니다.
3D 도면 정보만 입력하면 별도의 과정 없이 정확하고 빠르게 품질 예측 결과를 보여주는 등 개발자들의 편의성도 높였습니다. 또 입력된 데이터를 압축·경량화하는 기술도 적용해 더 빠르고 정확하게 세밀한 정보를 AI가 학습할 수 있습니다.
LG전자는 개발자들이 이 기술을 업무에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웹 기반 서비스 플랫폼인 ‘Eng.AI(Engineering AI)’도 선보일 계획입니다.
LG전자는 이번 AI 기술을 자체 제조역량 강화에 우선 활용할 계획으로 생활 가전, TV, 차량용 제품 등에 탑재되는 부품 설계에 순차 적용합니다.
또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에도 적용해 지난해부터 본격 시작한 솔루션 외판 및 컨설팅 사업의 경쟁력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LG전자는 올해 그룹사를 제외한 외부 업체 대상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수주 규모를 전년 대비 30% 이상 증가한 4000억 원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LG전자는 고객 군을 가전 산업뿐만 아니라, 반도체, 제약, 화학 산업 등으로 확대해 오는 2030년까지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사업의 외판 규모를 조 단위 이상의 매출사업으로 육성할 계획입니다.
LG전자는 지난해부터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박찬영 교수팀과 제품 설계 과정의 효율화를 위한 검증 기술을 공동 연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AI 분야 글로벌 최고 수준 학회인 ‘국제머신러닝학회’에 관련 논문을 제출해 학술적으로도 기술 검증을 받을 계획입니다.
LG전자 생산기술원장 정대화 사장은 “스마트팩토리 전(全) 단계에서 고객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며 “AI 기반의 검증 기술로 제품 개발 주기의 단축은 물론, 개발 효율성 역시 크게 향상될 것이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