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제해영 기자ㅣ현대건설이 이라크 남부 바스라 지역에서 정유공장 고도화설비의 주요 공사를 마무리하고 시운전에 돌입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이라크의 정유 인프라 현대화와 에너지 자립을 위한 핵심 사업으로, 현대건설이 2020년 수주한 2조원 규모의 대형 공사입니다.
현대건설은 지난 25일(현지시간) 바스라 정유공장 고도화설비 현장에서 가솔린 첫 생산을 기념하는 행사를 열었다고 28일 밝혔습니다. 행사에는 무함마드 시아 알수다니 이라크 총리, 하얀 압둘 가니 석유부 장관, 이준일 주이라크 한국대사, 류성안 현대건설 플랜트사업본부장 등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습니다.
이번 공사는 이라크 수도 바그다드에서 남동쪽으로 약 450km 떨어진 바스라 정유공장에 하루 2만4000배럴의 가솔린을 생산할 수 있는 고도화 설비를 구축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잔사유를 원료로 고부가가치 연료를 생산하는 이 설비는 벙커-C유와 아스팔트 등 중질유를 휘발유나 경유로 전환하는 핵심 공정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현대건설은 일본 JGC와 공동으로 설계·조달·시공·시운전(EPC)을 포함한 일괄 턴키 방식으로 공사를 수행했으며, 60개월간의 공사 기간 동안 글로벌 수준의 안전 및 품질 시스템을 적용해 무재해 시공을 달성했습니다.
이라크는 세계 5위권의 석유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으나, 정유시설의 노후화로 가솔린 수입 의존도가 높았습니다. 이번 바스라 정유공장 고도화 프로젝트가 본격 가동되면 이라크의 에너지 자립과 정유 수익성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장기간의 프로젝트를 글로벌 수준의 안전 기준으로 무재해 완공하고 가솔린 생산을 성공적으로 시작하게 돼 매우 뜻깊다”며 “이라크 정부의 신뢰를 기반으로 향후 재건사업과 고부가가치 플랜트 사업에도 적극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현대건설은 1978년 바스라 하수도 1단계 공사를 시작으로 이라크 시장에 진출한 이후, 카르발라 정유공장과 해수처리시설(WIP) 등 약 40건, 총 120억 달러 규모의 국가 주요 시설을 건설해왔습니다. 회사는 향후 석유·가스뿐 아니라 친환경 플랜트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iNTheScene] 이억원 금융위원장 코스피 4000 돌파 “새로운 도약 출발점”](https://www.inthenews.co.kr/data/cache/public/photos/20251044/art_17615676200702_514d97_120x9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