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강민기 기자] 10가지 이상의 유산균을 배합했다는 광고를 쉽게 볼 수 있다. 하지만 여러 종류의 유산균을 일정한 비율로 섞는다고 모든 균주가 장내에서 골고루 자라지는 않는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여러 유산균을 섞는 것 자체가 아니라 어떤 비율로 섞느냐가 중요하다. 여러 유산균을 섞어서 넣는다고 해도 가장 증식률이 높은 균이 군총의 대부분을 잠식하고 그렇지 못한 종은 극히 낮은 비율로 존재하거나 죽게 되기 때문이다.
11일 정명준 쎌바이오텍 대표는 “가장 빨리 자라는 한 가지 균이 99% 이상을 차지하게 되고 나머지는 거의 자라지 못한다”며 “이 때문에 복합 균주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각 균주의 성장 곡선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에 따르면 각 균주마다 성장 곡선이 다르기 때문에 제품에 포함되는 균주를 배합할 때 성장곡선을 반영해 배합비를 정해야 한다. 비교적 성장속도가 빠른 균주는 적게 넣어줘도 빠른 시간에 증식을 시작해 성장을 하게 된다.
성장속도가 느린 ‘Bifidobacterium’의 경우에는 많은 양을 넣어 주어야 오랜 시간 이동해 대장에 이르러 증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성장곡선을 감안해 3가지 균주의 최적배합비가 계산되는데 그 해법은 3차 방정식을 푸는 것처럼 어렵다는 설명이다.
우리나라 건강기능식품법에서는 1마리 이상의 균주만 포함돼 있어도 제품에 균주명을 표기를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성장속도가 빠르고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균주를 99% 이상 배합해도 표기할 수 있다.
성장속도가 느리고 다른 첨가제를 많이 넣어줘야 잘 자라는 비피더스(가격이 비쌈)는 거의 포함되지 않아도 ‘비피더스 함유’라는 표기를 할 수 있는 셈이다.
정명준 대표는 “많은 종류의 균이 배합된 제품이라고 무조건 좋은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이라고 할 수 없다”며 “균주 조성표(%) 자료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즉 각 균주의 배합비를 확인하는 것이 최선이다”고 조언했다.
좋은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이란 각 균주의 성장곡선(Mμ) 을 제대로 이해하고 그에 맞는 배합비를 선정해 제조된 제품이기 때문이다.
그는 “제품에 유산균과 비피더스균 투입 비율을 공개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전문가인 약사들이 소비자를 대신해 올바른 프로바이오틱스 필터 역할을 담당할 때가 온 것 같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