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Estate 건설/부동산

“연예계 숨은 부동산 귀재는 누구?”...청담동 대기업 빌딩 둘러보기

URL복사

Wednesday, July 03, 2019, 14:07:31

빌사남 TV, 청담동 특집 2편...대기업 매입 빌딩 소개·수익 분석

 

<신세계·삼성가 빌딩 거리>

 

- 빌사남 김윤수 대표: 저희가 갤러리아 백화점에서 넘어왔는데 이쪽에 있는 빌딩들을 다 신세계에서 매입을 했어요. 여기 뒤에는 정용진 부회장님이 매입해서 소유하고 계시고 저쪽에 있는 스타벅스 1000호점 매장은 이명희 회장님 건물이고요. 그 옆은 또 정용진 부회장님 건물인데 저기는 재미있게도 이마트24가 입점해 있어요. 본인 회사를 임차인으로 해서 임대를 주고 있습니다.

 

▲신대리: 스타벅스 외관이 좀 특이하네요.

 

- 빌사남 김윤수 대표: 네, 1000호점이라서 청담동답게 외관을 해놨는데, 굉장히 고급스럽습니다. 여기 보면 다 신세계나 삼성가에서 소유하고 있습니다. 대기업에서 매입해서 전체적으로 이 일대가 가격이 올랐어요. 다른 곳으로 가보실까요?

 

<손지창·오연수 부부 빌딩>

 

- 빌사남 김윤수 대표: 지나가다 보이는 연예인 건물이 엄청 많습니다. 저 앞에 있는 건물은 지상 4층 건물인데, 2006년도에 손지창, 오연수 부부가 50억에 매입해서 지금까지 소유하고 있습니다. 시세는 두 배 이상 올랐고요.

 

▲ 신대리: 사실 청담동 건물이 지하철역과는 가깝지 않은데, 왜 매입을 하는 건가요?

 

- 빌사남 김윤수 대표: 청담동은 역과는 상관없습니다. 사람들이 다 차를 이용해서 이동하고, 오히려 더 프라이빗한 걸 좋아하기 때문에, 동네 자체가 그들만의 리그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청담동 같은 경우에는 지하철역이 청담역과 압구정로데오역 두 개가 있는데, 이쪽 같은 경우에도 압구정로데오역에서 오기 굉장히 불편하죠. 청담동은 역과의 거리와는 상관없이 빌딩 가격은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김희애 주차장 근처>

 

▲ 신대리: 대표님 이번에는 건물이 아니라 주차장 앞에 나와 있네요?

 

- 빌사남 김윤수 대표: 청담동에 주차장이 많지 않은데 그중에서도 위치가 좋은 주차장이에요. 김희애 씨가 2006년도에 119억에 매입을 했고 대지는 196평 정도 됩니다. 1층부터 4층까지 주차장으로 사용 중이고요. 차량이 약 90대 정도 들어가고 수익은 약 3000만원 정도로 예상이 됩니다.

 

▲ 신대리: 웬만한 건물 임대수익보다 괜찮네요.

 

- 빌사남 김윤수 대표: 그리고 지금 가격이 굉장히 많이 올랐어요. 시세로 봐서는 280억 정도 되지 않나 싶습니다. 도산대로 이면 코너에 있어서 위치가 굉장히 좋습니다.

 

<김정은 빌딩 앞>

 

▲신대리 : 대표님, 이 건물은 어떤 건물인가요?

 

- 빌사남 김윤수 대표: 이 건물도 연예인 빌딩입니다. 이 건물은 배우 김정은씨가 약 11년 전에 두 개의 필지를 샀어요. 앞 필지를 35억에 매입하면서 동시에 뒤 필지도 같이 샀거든요. 앞 필지가 땅이 작았기 때문에 뒤 필지도 같이 매입해서 건물을 올렸습니다. 이렇게 신축을 해서 지금 임대를 하고 있고요.

 

이 건물 같은 경우에는 굉장히 위치도 괜찮아요. 도산대로 바로 이면에 있고 옆으로는 삼성생명에서 그 일대를 다 매입해서 신축한 상태고. 그 건물 바로 옆에 있어서 위치가 굉장히 좋습니다. 이 빌딩의 시세는 약 두 배정도 올랐습니다. 삼성생명이 워낙 가격을 비싸게 매입해서 이 일대가 다 올랐거든요. 김정은 씨는 숨은 부동산의 귀재고요. 업자들 용어로 물타기 투자라고 해서 뒤에 땅도 같이 매입해서 신축한 사례고 청담동 빌딩 중에는 성공한 사례로 보입니다.

 

<삼성생명 청담스퀘어 빌딩>

 

- 빌사남 김윤수 대표: 네 여기는 아까 말씀드렸다시피 삼성생명에서 블록을 다 사서 지금 이렇게 멋지게 신축을 했습니다. 연면적이 거의 만평이 넘게 신축을 해서 보면 거의 두 개 동을 쓰고 있고요. 앞 건물 같은 경우에는 여기가 노선 상업지거든요.

 

2012년도 전에는 허가만 받으면 용적률을 거의 800%까지 가능하게 해줬어요. 그래서 건물이 굉장히 높게 지어졌습니다. 1층에는 포르쉐 매장이 있고, 나머지는 병·의원이나 사무실이 입점해 있습니다. 이 건물 임대 관련해서 궁금하신 분들은 저희한테 연락해주세요.

 

<의문의 건물 앞>

 

▲ 신대리: 대표님 굉장히 청담동스러운 건물이 저희 뒤에 있네요.

 

- 빌사남 김윤수 대표: 이 건물도 연예인이 매입했는데, 신대리랑 나이 차이가 많이 나지 않는 연예인입니다.

 

다음 편에 계속.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진은혜 기자 eh.jin@inthenews.co.kr

배너

bhc·BBQ·교촌 ‘K치킨’ 왕좌의 게임…승부는 해외서 난다

bhc·BBQ·교촌 ‘K치킨’ 왕좌의 게임…승부는 해외서 난다

2025.04.25 08:27:5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bhc·BBQ·교촌치킨으로 대표되는 '국내 치킨 프렌차이즈 빅3' 간 경쟁이 뜨겁습니다. bhc가 2년 연속 업계 1위 수성에 성공했지만 BBQ가 매출 격차를 수백억원에서 수십억원까지 좁히며 바짝 추격했습니다. 교촌치킨은 2023년 저점을 찍고 지난해 반등하며 1위 탈환에 시동을 걸었습니다. 이들은 지속적인 출점과 신제품 출시를 통한 이슈 선점으로 외형 성장을 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매출은 수년째 5000억원대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반전이 요구되는 시점입니다. 각사는 주력 제품을 앞세워 K치킨 영토 확장에 속도를 냅니다. 올해 업계의 판도 변화가 예상됩니다. bhc·BBQ 선두 경쟁 초접전..기름 튀는 치킨 시장 25일 업계에 따르면, bhc 등을 운영하는 다이닝브랜즈그룹은 지난해 별도 기준 매출이 5127억원으로 전년 대비 4% 감소했습니다. 회사 측은 매출 감소의 원인으로 할인 프로모션 확대를 꼽았습니다. 할인 판매 프로모션 비용이 매출에서 차감되는 방식으로 계상되면서 관련 비용이 1년 전보다 3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다이닝브랜즈그룹 관계자는 "배달앱을 포함한 프로모션 할인 비용이 전년 대비 238억원 증가했다"며 "프로모션 비용을 제외한 매출은 2023년과 유사한 수준"이라고 말했습니다. 업계 유일하게 3년 연속 매출 5000억원대를 유지한 점은 위안입니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1337억원으로 전년보다 11% 증가했습니다. bhc가 주춤한 사이 제너시스BBQ는 지난해 매출이 처음으로 5000억원을 넘기며 bhc를 턱밑까지 따라붙었습니다. 지난해 매출은 5061억원으로 전년 대비 6.2% 증가했습니다. 주요 상권에 위치한 청계광장점 등 직영점 대형 매장들이 손님들을 불러모았고 전체 매출이 늘었습니다. bhc와의 매출 격차는 2023년 591억원에서 지난해 61억원까지 좁혀졌습니다. 교촌에프앤비가 운영하는 교촌치킨은 그간의 부침을 뒤로하고 지난해 실적 회복의 신호탄을 쐈다는 평가입니다. 교촌치킨은 2021년 업계 첫 매출 5000억원 돌파, 2022년 당시 업계 최대 매출(5175억원) 달성 등 8년간 업계 1위의 면모를 보여줬지만 허니 시리즈 이후 히트작 부재, 가격 관련 부정적인 이미지 등이 겹치며 2023년 3위까지 떨어졌습니다. 지난해 교촌치킨 매출은 4808억원으로 1년 전보다 8% 증가했습니다. 매출 5000억원대 재진입은 실패했지만 지난해 2개 분기 연속 매출 1200억원대를 기록하며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가맹지역 본부 직영 전환에 따른 일회성 비용 약 229억원이 반영되면서 전년보다 38.6% 감소한 15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를 제외한 실질 영업이익은 381억원으로 전년 대비 53.6% 늘었다는 설명입니다. 3사는 지난해 출시한 신제품 인기가 올해 본격화하면 매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bhc가 지난해 신메뉴 '쏘마치'를 출시하고 배우 황정민을 모델로 발탁했습니다. 쏘마치는 3개월 만에 누적판매량 60만개를 돌파했습니다. 교촌치킨은 지난해 6월 2년 만의 야심작으로 '교촌옥수수'를 선보였습니다. 같은해 11월 BBQ가 출시한 '맵소디'는 45일 만에 37만마리가 팔렸습니다. 교촌에프앤비 관계자는 "통상 신메뉴를 론칭한 후 판매 비중이 전체 매출의 5~10% 내외면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한 것으로 보고 있다"며 "교촌옥수수도 론칭 초기에 충분히 자리매김했다고 내부적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정체된 국내 매출에서 탈피해야 하는 건 업계 공통 과제입니다. 3사 매출은 최근 5년간 3000억원대 중반~5000억원대 중반 사이에서 머물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치킨 3사는 최근 주요 제품 가격 인상을 단행했습니다. 2023년 4월과 12월 교촌치킨과 bhc가 가격을 올렸고 지난해 6월 BBQ도 인상에 동참했습니다. '서민 음식'으로 여겨지는 치킨값이 3만원에 육박하자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가 많아졌습니다. 실제 3사 대표 메뉴(뿌링클 콤보·황금올리브치킨·허니콤보)에 음료(코카콜라 1.25L)를 추가한 가격은 배달비(3000원)를 포함해 2만8500원~2만9000원에 이릅니다. '3만원 치킨' 맞은 편에는 대형마트 치킨, 냉동치킨 등 7000원~1만5000원의 가성비를 앞세운 치킨이 대체재로 부상했습니다. 배달 앱에서 주문 가능한 메뉴가 다양해진 점도 프렌차이즈 치킨의 경쟁력을 약화시킨 한 요인입니다. 박스권 탈출 해답은 ‘글로벌’...k치킨 영토 확장 본격 시동 국내 매출 흐름이 정체 양상을 보이는 만큼 치킨 프렌차이즈업계의 시선은 글로벌을 향하고 있습니다. 국내 사업은 수익구조 개선과 꾸준한 신제품 출시로 내실 강화에 주력하는 한편, K푸드 열풍에 맞춰 글로벌 시장에서 치킨 경쟁력을 극대화하겠다는 전략입니다. 해외에서 가장 빠르게 영향력을 넓히고 있는 곳은 BBQ입니다. 57개국에서 700여개의 매장을 운영 중입니다. 글로벌 전략의 핵심은 '프렌차이즈 종주국' 미국입니다. 올해 2월 유타 주에 매장을 오픈하며 미국 50개 주 중 31개 주에 진출했습니다. 최근에는 글로벌 리뷰 플랫폼 옐프가 선정한 '2025년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브랜드 탑 50' 순위에서 7위를 기록하며 브랜드 가치를 인정받았습니다. BBQ 관계자는 "BBQ는 미국에만 250개 이상의 매장이 있으며 이중 직영점 3개를 제외한 나머지가 모두 가맹점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2023년 BBQ의 미국 매출은 767억원인데 이는 법인 매출 기준이고 소비자한테 판매하는 포스(POS) 매출로 환산하면 약 3배인 2000억원 정도 수준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bhc는 지난해 기준 7개국에 총 29개 매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2년 말레이시아, 2023년 미국·싱가포르에 진출했고 지난해에는 태국과 캐나다, 대만에도 매장을 열었습니다. 특히 지난해 한 해 동안 태국에만 12개 매장을 오픈하며 공격적으로 나섰습니다. 올해는 일본과 필리핀 시장에 진출할 예정입니다. 해외에서 bhc 인기를 견인하는 건 단연 '뿌링클'입니다. bhc가 진출한 모든 국가에서 부동의 판매 1위를 기록 중입니다. 해외 누적 판매량은 100만개를 넘어섰습니다. 회사 측은 뿌링클이 현지에서 맛보기 어려운 독창적인 치킨으로 자리 잡았다고 분석했습니다. 뿌링클 덕에 bhc 해외 매출은 2023년과 지난해 각각 전년 대비 193%, 114% 신장했습니다. 교촌치킨도 대표 제품인 허니 시리즈를 중심으로 해외 시장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글로벌 매장 수는 2022년 67개에서 2023년 74개국, 지난해 84개국으로 늘었습니다. 이중 미국(직영·가맹)과 중국(직영·MF)을 제외한 말레이시아, 태국 등 6개국은 MF(마스터프랜차이즈) 형태로 현지에서 매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MF 사업은 해당 국가나 지역에 특정 사업자를 선정해 상표 및 개발 등에 대한 독점 사업권을 부여하는 방식입니다. 매장 개설에 따른 투자나 인건비 등이 발생하지 않고 빠르게 현지에 안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식품 기업들이 해외 진출 시 선택하고 있습니다. 교촌치킨은 무조건적으로 글로벌 매장 수를 확대하기보다 늦더라도 품질에 집중해 경쟁력을 끌어올리겠다는 구상입니다. 치킨프렌차이즈 업계 관계자는 "국내 시장은 이미 성숙 단계에 접어들어 신규 출점 여력이 제한적인 상황이라 해외 시장을 새로운 성장 돌파구로 삼고자 적극적인 글로벌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며 "한류 콘텐츠 인기와 함께 K푸드에 대한 글로벌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국을 대표하는 치킨의 해외 진출 자체가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