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Distribution 유통

“위드 코로나에 연말 할인은 못 참지”…백화점 3사, 겨울 정기 세일 시작

URL복사

Tuesday, November 16, 2021, 11:11:17

단계적 일상회복·블랙프라이데이..소비심리↑ 예상
블랙위크·60%할인·백신인센티브 등 유인책 다양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백화점들이 겨울 정기 세일에 돌입합니다. 유통업계는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회복) 시행과 블랙 프라이데이(11월26일) 시즌이 맞물리면서 소비심리 회복에 대한 기대가 큽니다. 이에 백화점 3사는 ‘블랙위크’ 테마, 최대 60% 할인, 백신 접종 인센티브 등 다양한 할인 프로모션을 선보입니다.

 

1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롯데·신세계·현대백화점은 오는 19일부터 다음달 5일까지 17일간 겨울 의류 정기 세일을 진행합니다.

 

행사 기간 롯데백화점은 블랙 프라이데이 시즌에 맞춰 오는 28일까지 ‘블랙#위크’를 테마로 여러 혜택을 제공합니다. 소비자는 할인권 프로모션을 통해 구매 금액에 따라 최대 10%까지 할인 받을 수 있고, 롯데백화점 앱에서 선착순 각 3만명씩 쿠폰을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다양한 상품 행사도 마련했습니다. 여성 및 남성패션·잡화·리빙 등 전 상품군에 걸쳐 10~30% 세일, 이월 상품은 최대 80% 할인 판매합니다. 해외패션·컨템포러리 F/W(가을·겨울) 시즌 오프도 진행합니다. 페라가모, 톰브라운 등 150여개 브랜드가 참여해 올해 F/W 상품을 정상가 대비 최대 50% 할인합니다.

 

연말인 만큼 아우터 행사를 준비했습니다. 대표적으로 본점에서 19일부터 23일까지 ‘아웃도어·스포츠 겨울 아우터 대전’을 진행합니다. K2·블랙야크·코오롱스포츠 등 10개 브랜드가 참여해 플리스, 패딩 등 겨울 아우터 상품을 최대 70% 할인 판매합니다.

 

온라인 채널과 연계한 프로모션으로는, 롯데백화점 앱에서 19일부터 선착순 한정으로 롯데온의 롯데백화점몰에서 사용할 수 있는 20% 할인 쿠폰을 증정합니다. 이외에도 ‘수능 PASS 프로모션’을 진행해 수험표를 지참한 수험생을 대상으로 패션 브랜드 20% 할인해 줍니다.

 

 

신세계백화점은 최대 60% 할인율을 앞세웠습니다. 13개 점포에서 200여개 브랜드가 참여하는 이번 정기 세일은 할인 혜택에 더해 경품과 SNS 해시태그 이벤트 등 다양한 행사를 만날 수 있습니다. 

 

예년보다 빨리 찾아온 추위를 감안해 마리끌레르·로가디스·바쏘 등 여성 및 남성 패션 겨울 인기 상품을 최대 50% 할인합니다. 또 진도·동우·윤진 등 국내외 모피 브랜드의 인기 상품도 최대 60% 할인 판매합니다. 25일부터는 분더샵 여성·남성, 슈 등 편집숍 인기상품을 최대 반값에 선보입니다.

 

비대면 쇼핑에 익숙한 MZ세대 고객을 겨냥해 라이브 방송도 합니다. 쥬크·보브 등 총 20여개 패션·스포츠 브랜드의 겨울 인기상품을 소개합니다. 또 대전신세계 Art & Science에서는 19일 오후 4시부터 라이브 방송을 통해 플라스틱아일랜드 핸드메이트코트·점퍼·자켓 등을 최대 30% 할인가에 팝니다. 

 

신세계 모바일 앱에서는 랜덤박스 경품 행사를 통해 카카오톡 이모티콘과 패션 7% 할인권 등을 제공합니다. 사은 행사로는 19일부터 21일까지 신세계 제휴카드로 단일 패션 브랜드를 해당 금액 이상 구매 시 5% 신세계 상품권을 증정합니다.

 

 

현대백화점은 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자에게 ‘쇼핑 인센티브’를 준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백신 접종 완료 후 14일이 지난 고객에게 현대백화점그룹 통합멤버십 H포인트 1000점과 함께 무료 음료 쿠폰, 문화센터 수강료 2000원 할인 쿠폰 등이 포함된 ‘쇼핑 바우처’를 나눠줍니다. 

 

압구정본점 등 전국 16개 점포에서 정기 세일을 진행하는 현대백화점의 이번 행사에는 패션·잡화·리빙 등 전 상품군에서 총 340여 개 브랜드가 참여했습니다. 신상품을 최초 판매가 대비 10~30% 할인 판매합니다. 특히 패딩·코트 등 아우터 물량을 지난해 대비 최대 20% 이상 늘렸습니다.

 

각 점포별로 다양한 할인 행사도 엽니다. 압구정본점은 19일부터 23일까지 5층 대행사장에서 ‘유러피안 세라믹 페어’를 진행하고 야드로·하빌랜드·헤런드 등 수입 식기 브랜드의 상품을 최초 판매가 대비 20~30% 할인합니다.

 

아울러 무역센터점은 19일부터 21일까지 지하1층 대행사장에서 페세리코·엠포리오 아르마니 등 10여 브랜드의 겨울 의류 이월 상품을 최초 판매가 대비 20~60% 할인 판매합니다. 같은 기간 판교점은 지하 1층 대행사장에서 겨울 골프웨어 이월 상품을 최초 판매가 대비 10~60% 할인합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장승윤 기자 weightman@inthenews.co.kr

배너

두산에너빌리티, 올해 261 상승…파티는 끝났을까?

두산에너빌리티, 올해 261% 상승…파티는 끝났을까?

2025.07.24 08:50:26

인더뉴스 박호식 기자ㅣ올해들어 두산에너빌리티 주가는 지난 23일까지 종가기준 261% 상승했습니다. 지난연말 1만7550원으로 마무리한 주가는 23일 6만3400원을 기록했습니다. 주가를 끌어올린것은 핵심사업에 대한 기대감입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대형원전, SMR(소형모듈원전), 가스터빈 3대 사업을 축으로 사업포트폴리오 조정하며 체질을 개선했습니다. 하지만 올들어 주가가 급등하면서 주가상승에 대한 부담이 커졌습니다. 지난달 30일 장중 7만2200원으로 52주 신고가를 찍은 후 방향성을 탐색하는 분위기입니다. 두산에너빌리티 주가는 파티가 끝난걸까요?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은 두산에너빌리티 주가 방향성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요? 최규헌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역사의 시작을 알리는 시세분출 후 잠시 쿨링타임을 가지는 중"이라고 표현합니다. '잠시 쉬어가는 중'이라는 겁니다. 주가상승에 따른 부담이 있지만, 향후 사업전망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증권사들은 대체로 이런 분위기 입니다. 두산에너빌리티 주요사업이 성장할 것이라는 방향성은 동의합니다. 다만 이 과정에서 성장사업의 구체적인 수주들이 확인돼야 하고, 투자자들은 다소 '긴호흡'이 필요하다고 제시합니다. 최규헌 연구원은 "두산에너빌리티 관련 산업의 구조적인 성장과 산업내 두산에너빌리티 입지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은 견고하다"며 "성장사업, 특히 SMR과 가스터빈 관련 신규수주가 나와야 보다 정교한 손익개선폭을 계산하고 높은 밸류에이션을 정당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시했습니다. 최 연구원은 지난 23일 목표주가를 10만원으로 상향조정했습니다. 정혜정 KB증권 연구원은 23일 목표주가를 8만9000원으로 상향조정하면서 "대형 및 소형원전 밸류체인에서 대안을 쉽게 찾기 어려운 핵심적인 역할을 맡고 있는 가운데 올해 하반기에서 내년초 주요 고객들로부터 수주가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제시했습니다. 그는 "팀코리아의 체코원전 계약이 6월 체결되면서 약 4조원의 두산에너빌리티 수주 또한 올해 중에 체결될 전망"이라며 "두산에너빌리티는 한국형 원전에서 원전 주기기 뿐만 아니라 터빈 및 기타 부품 등 기자재 제작과 시공까지 참여하고 있어 기여도가 크다"고 전했습니다. 또 "아직 체코원전 이후 신규 해외원전 수주는 나오지 않은 상태이나 2028년에는 국내 원전 2기 건설이 예정되어 있으며, LOI를 체결한 폴란드 원전(2기)과 UAE 원전 (2기) 수주 가능성도 남아 있다"며 "웨스팅하우스향 원전 주기기 계약도 2026년을 시작으로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NuScale Power이 진행중인 루마니아 SMR 프로젝트도 진척이 가시화되고 있다"며 " 올해말~내년초 중으로 Pre-FID 체결이 예상되며 하반기중 1~2개의 신규고객 발주도 예측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문경원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다소 낯선 접근을 합니다. 그는 "두산에너빌리티 주식은 10년 후를 봐야한다"며 긴호흡을 주문했습니다. 문 연구원은 지난 10일 "대형 원전, SMR, 가스터빈사업의 진정한 이익 회수기는 2030년대이지만, 주가는 기다리지 않고 미리 상승하고 있다"며 "당사는 성숙기로 예상되는 2035년을 기준으로 동사의 적정가치 계산을 시도했다. 불확실성이 크지만 그래도 어떤 주식은 10년 후를 봐야 한다"고 제시했습니다. 문 연구원은 2030년 두산에너빌리티(자회사 제외) 영업이익을 2조6000억원, 2035년은 5조8000억원을 전망했습니다. 그 근거가 되는 정량적 가정으로 ▲팀코리아가 중동, 아시아 등지에서 매년 1건(2기)의 대형원전 수주, ▲웨스팅하우스향으로 연간 4~8기 분량의 대형 단조부품 납품 ▲글로벌 SMR 시장 20GW 내외로 성장 및 이 중 30% 점유율 차지 ▲가스터빈 2030년 이후 매년 10기 수주 등을 제시했습니다. 문 연구원은 적정주가를 9만2000원으로 제시하면서 "올 하반기에는 한미정상회담, 7월 23일 ‘AI Action Day’, SMR 및 가스터빈 수주 등 모멘텀이 풍부하다"며 "이 모멘텀들은 높은 밸류에이션을 정당화시킬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다. 아직 파티는 끝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