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전통적 데이터 기반산업인 생명보험산업이 성장하려면 디지털 혁신성장 동력을 확보해야 한다.”
정희수 생명보험협회장은 13일 비대면 기자간담회를 통해 올 한해 생보업계의 성장기반을 마련을 위해 3대 핵심과제인 디지털 혁신·시장개척·소비자신뢰 제고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 회장은 빅테크의 시장 진출로 인해 금융업간 경계가 사라지는 추세를 언급하며 ‘종합생활금융플랫폼’이 되기 위한 생보업계의 새로운 디지털 사업 추진을 당부했습니다.
정 회장은 “MZ세대를 대상으로 한 서비스 수요조사와 플랫폼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겠다”며 “조사결과를 통해 생보사의 오픈뱅킹 가입·마이페이먼트·후불결제 허용 등의 제도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정 회장은 “데이터 활용 기반을 조성하려면 공공의료데이터·마이데이터 신규진출·마이 헬스웨이 참여를 위해 관계 부처와 지속적으로 협의해야 한다”며 “각종 세미나와 간담회를 통해 생보산업의 데이터 경쟁력 강화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공언했습니다.
생보사의 업무 프로세스를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해 효율성을 높일 것도 주문했습니다.
정 회장은 “소비자 편의성과 업무 효율성을 높이려면 디지털 전환이 필수적이다”며 “AI·빅데이터 등 수요가 많은 신기술 도입에 관한 생보업계의 공동사업 추진도 검토하겠다”고 알렸습니다.
구체적인 업무 프로세스 혁신 사례로는 ▲화상통화를 통한 보험모집 ▲머신러닝을 활용한 보험금 지급심사 고도화 ▲AI를 통한 소비자 응대 등을 제시했습니다.
아울러 정 회장은 소비자 신뢰를 높이기 위한 실손보험 제도개선도 언급했습니다.
정 회장은 “실손보험이 2020년 기준 가입자 3900만 명을 돌파하며 ‘제2의 국민건강보험’으로 자리 잡았다”면서도 “복잡한 청구절차 등 여러 문제로 인해 제도지속 여부에 대한 사회적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정 회장은 “실손보험의 소비자 청구불편 해소를 위해 실손보험금 청구 전산화 법안 국회 통과를 위해 지속적인 건의를 추진할 예정이다”며 “공사보험 정책협의체·지속가능한 실손보험 정책협의체 등의 적극적 참여와 지원을 통해 허위·과잉진료 비급여문제를 개선하겠다”고 알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