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임상 유전체 분석기업 GC녹십자지놈(대표 기창석)은 난소암 표적항암제 처방 대상 선별을 위한 ‘상동 재조합 결핍 검사(HRD test)’가 신의료기술로 승인 받았다고 16일 밝혔습니다.
GC녹십자지놈에 따르면 국내 최초로 출시한 상동 재조합 결핍 검사(그린플랜 HRD)는 난소암 주요 표적항암제인 PARP 억제제 처방 대상을 선별하는 최신 검사기법으로, 안정성과 유효성이 있는 의료기술로 최종 심의됐습니다.
의료진은 PARP 억제제 처방에 적합한 환자를 찾기 위해 BRCA1, BRCA2 변이 및 상동 재조합 결핍을 확인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상동 재조합 결핍 검사가 원활히 시행되지 못해 치료제가 적용 가능한 난소암 환자를 선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특히 진행성 난소암 환자 중 BRCA1, BRCA2 양성인 환자가 약 22%인 반면, 상동 재조합 결핍 양성인 환자는 약 50%입니다. 난소암 환자의 절반 이상에게 치료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국내 사정에 적합하고 실효성 있는 상동 재조합 결핍 검사가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습니다.
이에 GC녹십자지놈은 지난해 4월 기존 해외 유전자 검사보다 낮은 비용으로 검사가 가능하고 신속한 시일 내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상동 재조합 결핍 검사를 출시했습니다. 이 검사는 전체 진행성 난소암 환자 양성률이 50%에 달해, 표적항암제 처방이 가능한 환자를 더 많이 선별해 낼 수 있습니다.
기창석 GC녹십자지놈 대표는 “이번 승인을 통해 상동 재조합 결핍 검사의 안정성과 유효성을 인정받아 기쁘다”며 “현재 BRCA 양성 환자로 제한된 표적치료제 처방 급여 대상이 향후 상동 재조합 결핍(HRD) 양성 환자까지 확대돼 많은 난소암 환자들이 치료 부담을 덜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