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예스티는 ‘제주 그린수소 실증사업’에 참여하고 자체 개발 중인 음이온교환막(AEM) 수전해 기술을 활용한 수소 생산 준비에 돌입한다고 30일 밝혔다. 예스티는 내년까지 제주 실증단지에 AEM 수소 생산 설비 구축을 완료해 그린수소 양산에 나설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하는 총 12.5MW 규모 제주 그린수소 실증사업은 아시아 최대 규모로 총 사업비 620억원이 투입됐다. 이번 실증사업은 가동률 60% 기준 연간 1176톤의 수소생산을 목표로 진행되고 생산된 수소는 온사이트 충전소를 통해 제주시의 버스 등 대형 차량 500여대에 공급될 예정이다.
이번 실증 사업에는 남부발전 주관으로 제주도와 여러 공기업, 민간기업, 연구기관 등이 참가한다. 대표 민간기업으로는 예스티와 함께 현대자동차, SK 에코플랜트, SK E&S 등이 있다. 이를 통해 한국형 그린수소 생산기술을 확보해 수전해시스템 수출산업화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예스티는 그린수소 생산에 가장 최적화된 AEM 방식의 수전해 장치 ‘EL4.0’을 적용해 총 2MW 규모로 실증사업에 참여한다. 제주 그린수소 실증사업은 ▲음이온교환막(AEM) ▲알칼라인(AEC) ▲고분자전해질막(PEM) ▲고체산화물(SOEC) 총 4가지 수전해 시스템을 모두 활용해 수소를 생산한다.
현재 상용화된 알칼라인과 고분자전해질막 방식은 산업용 수소 생산에 활용되고 있지만 각각 생산성이 낮고 고가 설비가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다. AEM 수전해 방식은 ‘알칼라인’과 ‘고분자전해질막’의 장점만을 취합한 기술로 비용 대비 수소 생산 효율이 뛰어나 차세대 수전해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예스티 관계자는 “제주 그린수소 실증사업은 현존하는 4가지 수전해 방식으로 수소를 생산하기 때문에 AEM 수전해 방식의 기술 경쟁력을 검증할 수 있을 것”이라며 “예스티의 AEM 방식은 높은 순도의 수소를 낮은 가격에 생산할 수 있어 최근 수소 경제의 최대 난관 중 하나인 공급 가격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