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교촌이 지난해 치킨 프렌차이즈 3사 중 홀로 저조한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은 하락했고 매출 선두 자리는 bhc에 뺏겼습니다. '가격 인상 선봉장' 같은 부정적인 인식도 한몫했습니다. 반사이익은 편의점에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1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교촌에프앤비가 운영하는 교촌치킨은 지난해 영업이익 2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279억원)의 10분의 1 수준이자 1년 만에 89.6% 줄었습니다. 지난해 bhc의 영업이익이 한 자릿수(7.8%) 감소에 그치고 BBQ가 5.4% 증가한 것과 비교되는 행보입니다.
지난해 치킨 3사 모두 외형은 성장했지만 내실에서 희비가 갈렸습니다. bhc는 지난해 업계 첫 매출 5000억원을 돌파(5075억원)했습니다. 엉업이익은 1418억원으로 전년보다 줄었으나 경쟁사 대비 여전히 높은 영업이익률(27.9%)를 유지했습니다.
BBQ의 지난해 매출은 4188억원으로 1년 새 15.6%를 끌어올렸습니다. 교촌치킨과의 매출 격차도 2021년 1311억원에서 지난해 801억원으로 500억원 넘게 줄였습니다. 반면 교촌치킨 매출은 4989억원으로 전년 대비 1.1% 소폭 증가하는 데 머물렀습니다. 8년간 지켜온 업계 1위 자리도 bhc에 내줬습니다.
국내 치킨 프렌차이즈 기업들은 'K-치킨'으로 일컬어지는 다양한 메뉴로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혔다는 지점에서 각기 나름의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습니다. 하지만 업체 간 법적 분쟁이나 가맹점 갑질 논란, 오너 개인의 이슈 등이 불거질 때면 소비자들에게 지탄을 받기도 합니다.

이중 치킨값 인상과 관련해 교촌치킨이 받는 비판의 강도는 경쟁사 대비 유독 높은 편입니다. 업계에서는 최근 몇 년간 교촌치킨에 쌓인 부정적인 이미지와 소비자 불만이 결국 지난해 부진한 실적으로 이어진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옵니다.
앞서 교촌치킨은 지난 2021년 업계에서 처음으로 치킨 가격을 평균 8.1% 올렸습니다. 주요 제품 가격을 1000~2000원 인상했고 이어 이듬해 BBQ와 bhc도 가격 인상을 단행했습니다. 5년 전인 2018년 업계 최초 유료 배달비를 도입한 곳도 교촌치킨입니다.
교촌치킨의 메뉴들은 지난달 다시 가격이 올랐습니다. 4월 3일부터 품목별로 최대 3000원 인상했고 콤보에 배달료 3000~5000원을 더하면 치킨값이 3만원에 가까워졌습니다. BBQ, bhc는 현재로선 인상 계획이 없다고 밝혔으나 교촌의 결정에 따라 가격 인상 부담을 덜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교촌 측은 가맹점 수익구조 악화와 임차료 및 인건비, 각종 수수료 등 운영비용 상승에 최근 원부자재 가격마저 크게 오르면서 가격 인상이 불가피했다는 입장입니다.
소비자가 특히 치킨 가격 인상에 민감한 이유는 식품의 특성과도 연관돼 있습니다. 치킨은 김밥, 짜장면 등과 함께 대표적인 서민음식 중 하나로 인식됐는데 치킨 한 마리 가격이 3만원에 육박하게 되면서 그 의미가 희석되고 있다는 데 따른 불만입니다.

교촌을 필두로 한 치킨 프렌차이즈 기업들의 잇따른 가격 인상에 저렴한 치킨에 대한 수요를 편의점들이 일정 부분 흡수하고 있습니다.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를 앞세운 편의점 PB(자체 브랜드) 즉석치킨이 소비자들을 끌어들이고 있습니다.
GS25(쏜살치킨), CU(후라이드치킨), 세븐일레븐(한마리 치킨)의 즉석치킨 가격은 9900~11000원 사이입니다. 치킨 3사 프렌차이즈 가격(1만7000~20000원·한 마리 기준)과 비교했을 때 최대 절반가량 저렴합니다. 높은 접근성과 1~2인 가구를 겨냥한 소용량 치킨 구성은 인기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달라진 조리 및 판매 방식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과거와 달리 편의점 직원이 점포에서 직접 튀긴 치킨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실제 GS25의 1~4월 누계 치킨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0.5% 증가했습니다. 봄 날씨에 들어선 4월의 경우 닭 한마리를 기본으로 한 치킨의 매출은 1년 사이 200% 가까이 신장했습니다.
지난 1~4월 세븐일레븐 즉석치킨 매출은 250% 올랐고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50% 늘었습니다. 같은 기간 CU의 후라이드 치킨 매출은 59% 올랐습니다. 현재 세븐일레븐은 5000여곳, CU는 7000여 점포에서 즉석치킨 코너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편의점 업계 관계자는 "치킨 프랜차이즈가 계속 가격을 올리다 보니 상대적으로 편의점 치킨 값이 합리적이라는 인식이 퍼지고 있는데다 소용량인 조각튀김 외에도 꼬치, 핫바 등 다양한 튀김 메뉴가 상승효과를 불러오고 있다"며 "여기에 배달료도 오르는 상황에서 직접 편의점에 와서 치킨을 비롯한 튀김 메뉴를 구매하는 젊은 소비자들이 늘어나는 추세"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