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11번가는 지난 3월 오픈마켓 사업 월간 영업이익이 흑자를 달성했다고 8일 밝혔습니다.
올해 1분기 오픈마켓 EBITDA(상각전영업이익)도 흑자를 냈습니다. 이로써 11번가는 오픈마켓 사업에서 지난 12개월 간 6번의 월간 EBITDA 흑자와 2번의 분기 EBITDA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부터 진행해온 수익성 개선 성과가 가시화하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안정은 11번가 사장은 "3월 월간 오픈마켓 영업흑자로 일회성의 수익개선이 아닌 건강한 성장의 흐름을 만들어냈다"며 "고객을 사로잡을 다양한 신규 서비스를 론칭하는 한편 기술을 활용하고 마케팅 전략 방향을 전환하면서 비용 효율화를 이뤄내, 절감된 비용을 다시 전략적 투자로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11번가는 지난해 2월부터 식품·명품·리퍼·키즈 관련 버티컬 서비스와 특화 전문관을 선보였습니다. 신선식품 버티컬 ‘신선밥상’은 올해 3월 상품수와 거래액이 오픈 초기 대비 각각 약 2.2배, 2.3배 늘었습니다. ‘9900원샵’은 상품수와 거래액이 지난해 10월 대비 각각 약 5.8배, 6.7배 증가했습니다.
마케팅 전략 변경으로 고객 방문도 늘었습니다. 올해 1분기 11번가 모바일 앱의 1인당 월 평균 이용시간(분)도 전년 동기 대비 90% 이상 늘었다는 설명입니다. 11번가에 따르면 닐슨코리안클릭, 모바일인덱스 등 주요 지표에서 국내 쇼핑 앱 기준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 2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AI 등 최신 기술에 투자해 판매자와 고객의 편의를 높이는 동시에 수익성을 강화했습니다. 지난해 5월부터 가격 자동화 솔루션 ‘DP(다이내믹 프라이싱)’ 프로그램을 도입해 운영 중이며 검색, 추천 서비스는 물론 고객 상담에도 AI기술을 접목하고 있습니다.
안 사장은 지난 1일 전사 구성원들에게 보낸 CEO레터에서 "여러 외부 환경의 변화로 인해 여러가지 자본력의 한계와 불확신의 벽에 부딪히게 되겠지만, CEO로서 한계와 불확신을 바꿔 나가는 역할을 어떠한 상황 속에서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11번가 구성원들의 노력을 당부했습니다.
한편 11번가는 2분기에는 올 초 론칭한 ‘간편밥상’, ‘#오오티디’에 이어 새로운 버티컬 서비스와 전문관을 추가로 선보일 계획입니다. 지난달 선보인 ‘슈팅셀러’를 비롯해 신규 서비스를 적극 추진합니다. AI 등 기술 투자와 경영 효율화를 통해 오픈마켓 사업 연간 흑자 전환을 이끌어낸다는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