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KGM이 지난 3월 출시한 무쏘 EV가 '전기 픽업' 시장을 새롭게 창출하며 국내외 자동차 업계에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국내 최초 '전기 픽업'인 무쏘 EV는 전기차의 핵심인 배터리에서 80.6kWh 용량의 리튬인산철(LFP) 블레이드 배터리를 채택해 안전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한 것이 큰 특징입니다. 급속 충전(200kWh) 시 24분 만에 80% 충전이 가능하며 1회 충전 주행거리는 약 400km에 이릅니다. 또한 내부 전원을 사용해 전자제품을 이용할 수 있는 V2L(Vehicle to Load) 기능을 지원해 캠핑과 야외 활동 시 편의성을 강화했습니다.
무쏘 EV는 2WD 기준 최고출력 207마력, 최대토크 34.6kgf·m를 발휘합니다. AWD 모델은 최고출력 413마력과 64.9kgf·m의 최대 토크를 발휘합니다. 넉넉한 출력 덕분에 1.8톤의 토잉 능력을 갖췄으며 견인 시 ‘트레일러 스웨이 컨트롤’ 기능이 활성화되어 좌우 흔들림을 최소화합니다.
여기에 NVH(Noise∙Vibration∙Harshness) 설계로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해 도심과 오프로드 모두에서 정숙한 주행이 가능합니다.
실내의 경우, 픽업의 약점으로 꼽혔던 2열 거주성을 크게 개선했습니다. 2열 시트는 32도까지 리클라이닝이 가능하고 슬라이딩 기능도 탑재돼 패밀리카 수준의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합니다. 850mm의 커플 디스턴스, 여유 있는 헤드룸, 통풍 및 히팅 시트, 8way 전동시트 등으로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후면의 적재 중량은 최대 500kg에 달합니다. 이 외에도 후면 적재 공간을 위한 데크탑, 롤바, 데크 슬라이딩 커버 등을 신규 개발해 레저 활동과 라이프스타일에 맞춘 다양한 다양한 커스터마이징 옵션을 제공하는 것도 특징입니다.

무쏘 EV는 환경성과 경제성 면에서도 강점을 갖고 있습니다. 전기 친환경(전기) 화물차로 분류되며 국고 및 지방자치단체 보조금, 각종 세제 혜택 등을 통해 실구매가는 3000만원대 초반까지 내려와 경쟁 내연기간 픽업 대비 압도적인 가격 경쟁력을 보유했습니다. 유지비 측면에서도 연간 2만km 주행 기준 5년간 소요 비용은 약 580만원 수준으로 경쟁 내연기관 픽업 모델 대비 1400만원 이상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무쏘 EV가 KGM(구 쌍용자동차)의 픽업 DNA를 계승했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KGM의 픽업 계보는 2002년 '무쏘 스포츠'에서 시작했습니다. 당시 SUV와 트럭의 경계를 허문 무쏘 스포츠는 국내 최초의 SUT(Sports Utility Truck)로, 실용성과 레저 기능을 겸비해 한국 자동차 시장의 외연을 확대했습니다. 이후 액티언 스포츠(2006~2011년), 코란도 스포츠(2012~2017년) 그리고 무쏘 스포츠(2018~2025)로 이어진 라인업은 국내 픽업 시장의 선구자로 KGM의 위상을 굳히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특히, 무쏘 스포츠(구 렉스턴 스포츠)는 영국의 저명한 자동차 전문지 카바이어(Carbuyer)에서 '최고의 픽업(Best Pick-up)'에 꼽히기도 했습니다. KGM은 정통성과 대중성, 인기를 두루 갖춘 브랜드 '무쏘(MUSSO)'의 새로운 출발점에 무쏘 EV를 설정했습니다.

덕분에 무쏘 EV는 출시 2주 만에 3200대의 계약을 달성했으며 출시 2개월여 만에 누적 계약이 5500대를 넘어서는 등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전기 픽업'의 수요와 존재감을 증명해냈습니다.
KGM 관계자는 "무쏘 EV의 출시를 기점으로 향후 KGM의 모든 픽업 라인업을 무쏘(MUSSO) 브랜드로 통합 운영할 계획이다"며 "무쏘 EV가 국내외 자동차 전문가들과 소비자들로부터 새로운 모빌리티 시대에 걸맞은 디자인 감성, 전기차의 경제성, 친환경성, 픽업의 실용성 그리고 브랜드 스토리까지 갖췄다는 호평을 받고 있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