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네이버[035420]가 '안심보장' 프로그램을 커머스 서비스 뿐 아니라 카페·밴드·블로그 등 커뮤니티 기반 UGC 영역으로까지 확대한다고 5일 밝혔습니다.
네이버는 지난해 10월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가 안심하고 거래할 수 있도록 '안심보장'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위조상품 유통 방지 ▲비정상 거래 탐지 ▲위해상품 유통 차단 등 이용자 보호를 위한 기술적, 정책적 노력과 조치 등을 공개한 바 있습니다.
네이버에 따르면 그동안의 '안심보장' 프로그램 운영 노하우와 데이터를 바탕으로 위조상품 신고 건수와 게시물 등록 건수가 급감하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위조 상품에 대해 AI 탐지 및 모니터링으로 판매자 신뢰도 점검 및 거래 안정성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스마트스토어 입점 단계부터 위조 이력이 있는 판매자를 사전 차단하고 도용 의심몰을 사전에 탐지하는 기술 조치를 강화 중입니다.
이에 더해 원스트라이크 아웃, 구매보호조치 등 '위조상품 클린프로그램' 정책을 병행하며 월 평균 1000개가 넘는 몰들을 사전 차단한 결과, 올해 쇼핑 영역에서의 위조상품 사전 대응률을 95.6%까지 끌어올렸습니다.
또 플랫폼의 직접 감정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올해 협력하는 권리사와 브랜드사를 300여곳으로 확대하고 전문 감정기관과 협업하는 등 위조 의심 상품에 대한 감정 의뢰와 검증을 이어가고 있으며 특허청의 '위조상품 유통 방지 협의체'에 10년 이상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에 더해 카페와 밴드에서는 위조상품 관련 키워드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키워드를 입력할 경우 검색 결과 노출을 차단하고 관련 커뮤니티 개설과 게시글 등록을 제한하는 사전 기술 대응 조치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또 블로그 및 카페에서는 위조상품 판매와 홍보 게시글 차단을 위한 탐지 툴을 고도화하고 개별 커뮤니티 단위로 제재 조치를 넓히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카페·밴드·블로그에서의 위조상품 판매 게시중단 신고는 매년 급감해 2025년 상반기 신고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50% 감소했다고 밝혔습니다. 네이버는 연내 밴드에서 가품 신고 메뉴 접근성을 더욱 개선하고 위조상품 자동 탐지 기능을 고도화 하는 등 UGC 영역에서의 안심보장 프로그램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한편, 오는 9월1일부터는 '지식재산권 클린 프로그램'을 도입합니다. 권리자의 동의 없이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상표권이나 저작권 등 지식재산권을 침해한 상품을 등록하거나 판매하는 행위를 예방하기 위해서입니다.
네이버는 동일 판매자가 한 주에 20건 이상 지식재산권을 침해한 사실이 확인되는 경우, 주의(1회)-경고(2회)-제재(3회 이상)가 적용되며 계속해서 반복된 침해가 발생될 경우 판매몰의 모든 상품이 일정 기간 쇼핑검색에 노출되지 않게 하는 등 단계별 조치를 강화합니다.
네이버는 현금 직거래 유도, 외부 피싱 사이트 유인 등 피싱 패턴을 감지하는 탐지 툴을 개선하고 아성 판매자 및 의심몰에 대해 사전 조치를 강화한 결과,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누적 구매자 피해 신고 건수도 전년 동기 대비 80% 이상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의약품 및 동물 의약품의 온라인 유통 차단을 위한 노력도 이어갑니다. 식약처와 핫라인을 구축해 안전 상품 DB를 쌓아가고 정책과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위해 상품으로부터 구매자를 보호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