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제해영 기자ㅣ현대건설은 국내 건설업계 최초로 ‘로봇 친화형 단지’ 조성 계획을 발표하며 사람과 로봇이 공존하는 새로운 미래 주거 모델을 제시했다고 10일 밝혔습니다. 이번 혁신은 압구정2구역을 시작으로 ‘로봇 기반 스마트시티 모델’로 발전해 나갈 예정입니다.
현대건설은 단지 설계 단계에서부터 로봇의 동선과 시스템 연동을 고려했습니다. 엘리베이터, 자동문, 통신망까지 로봇과 연결되도록 설계해 단지 내 모든 구간에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합니다.
IoT 기반 관제 시스템 덕분에 로봇은 층간 이동과 문 개폐를 스스로 수행하며, 단지 입구 도로에서부터 지하주차장, 공동현관, 엘리베이터를 거쳐 세대 현관까지 완전 자율주행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번 단지는 현대자동차그룹의 로보틱스랩과 계열사인 현대로템, 현대위아의 기술 역량을 총결집해 입주민의 이동, 안전, 편의, 전기차 충전과 주차까지 생활 전반을 지원하는 혁신적 시스템을 갖추게 됩니다. 피지컬 AI 기반 로봇은 단지 전역에서 자율적으로 이동하며 생활 파트너로 기능합니다.
단지 내부 이동을 위해 현대차·기아의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플랫폼 ‘셔클’을 적용한 무인 셔틀이 운영되며 이는 실시간 승객 수요에 따라 노선과 시간을 조정해 단지 내 이동 효율성을 극대화하며 교통 약자에게도 안전한 이동 수단을 제공합니다.
또한 ‘퍼스널 모빌리티 로봇’은 쇼핑 후 무거운 짐을 집 앞까지 실어주는 것은 물론, 안면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배송할 수 있습니다. 향후 거동이 불편한 입주민을 커뮤니티 시설로 안내하거나 이동을 지원하는 기능까지 확대될 계획입니다.
입주민 안전을 책임지는 ‘무인 소방 로봇’도 도입됩니다. 현대로템이 개발한 이 로봇은 고온·유독가스 환경에서도 투입이 가능하며, 열화상 카메라와 특수 장비를 활용해 소방 인력이 접근하기 어려운 화재 현장에서 신속하게 대응합니다. 이를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고 입주민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편의성을 강화하는 ‘전기차 충전 로봇’도 눈길을 끕니다. 차량이 충전구역에 진입하면 로봇이 자동으로 충전구를 열고 케이블을 연결해 충전을 시작합니다. 충전 완료 후에는 자동으로 분리해 과열이나 사고 위험을 실시간 감지해 안전성을 확보합니다. 덕분에 입주민은 별도 조작 없이 손쉽게 충전을 마칠 수 있습니다.
또한 상가 주차장에는 ‘발렛 주차 로봇’이 도입됩니다. 로봇이 차량 바퀴를 들어 올려 빈 공간에 주차하는 방식으로 좁은 공간에서도 정밀한 이동이 가능해 동일 면적에 더 많은 차량을 수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상가 이용객들의 주차 편의를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됩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압구정2구역은 이동, 안전, 편의, 전기차 충전과 주차까지 아우르는 차별화된 로봇 솔루션이 적용된 최초의 단지가 될 것”이라며 “사람과 로봇이 공존하는 새로운 주거 문화를 창출하고, 기술과 서비스가 결합된 혁신적 모델을 선도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현대건설은 지난해 업계 최초로 자율주행 로봇 배송 서비스를 상용화했습니다. 지난 8월 준공된 ‘디에이치 대치 에델루이’ 단지에는 실내외 통합 D2D(Door to Door) 자율주행 로봇 배송 서비스를 적용했습니다. 이 서비스는 스타트업 모빈과 공동 개발한 것으로, 단지 입구에서 세대 현관까지 식음료와 택배를 무인 배송해 입주민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