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신한금융그룹(회장 진옥동)은 올해 3분기 당기순이익(지배기업소유주지분순이익)이 1조4235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8일 밝혔습니다.
작년 동기(1조2971억원) 대비 9.8% 증가한 반면 직전인 올해 2분기(1조5491억원) 대비로는 8.1% 감소했습니다. 올해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4조4609억원입니다. 작년 동기(4조441억원)에 견줘 10.3%(4169억원) 증가하며 3분기 누적 기준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냈습니다.
신한금융은 "기업대출 중심 자산성장과 수수료이익의 고른 증가, 효율적인 비용관리 노력으로 시장 기대에 부합하는 안정적인 실적을 시현했다"며 "누적 당기순이익은 견조한 핵심이익 성장과 전년도 발생한 일회성비용 소멸 영향 등으로 10.3% 증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룹 부문별 경영실적을 보면 3분기 누적 이자이익은 8조6664억원으로 작년동기대비 2.0% 늘었습니다. 금융회사 수익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지표 순이자마진(NIM)이 금리인하 영향으로 하락(1.95→1.90%)했지만 누적된 자산성장이 이자이익 증가를 이끌었습니다.
핵심자회사 신한은행의 9월말 현재 원화대출금은 331조4797억원으로 2024년말 대비 3.5% 증가했습니다. 중소기업과 대기업 대출이 각각 2.4%, 2.1% 늘었고 가계대출은 정책대출 중심으로 5.1% 증가했습니다.
3분기 누적 비이자이익은 1년전보다 4.9% 증가한 3조1692억원입니다. 계절적 판촉비 증가로 인한 카드수수료이익 감소(19.9%↓)를 자본시장부문(유가증권및외환·파생관련이익) 약진(15.6%↑)으로 만회했습니다.
신한금융은 해외에서 차별화 전략을 구사하며 견조한 성장과 함께 그룹 이익의 저변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3분기 누적 그룹 글로벌손익은 6503억원으로 작년동기에 비해 12.4% 증가했습니다.
진출국가별 손익은 베트남 2054억원(은행 1925억원·카드 85억원·증권 44억원), 일본 1370억원, 카자흐스탄 678억원(은행 619억원·카드 59억원) 입니다. 신한금융은 대내외 불확실성에도 해외사업에서 안정적인 펀더멘탈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9월말 잠정 그룹 BIS자기자본비율은 16.10%, 보통주자본(CET1)비율은 13.56%로 효율적인 자본관리를 통해 안정적인 수준으로 자본비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주요 자회사 경영실적을 3분기 누적으로 살펴보면 신한은행은 3조3561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냈습니다. 작년동기대비 8.2%(2533억원) 성장한 실적입니다. 이자이익보다는 수수료이익(9480억원·20.9%↑), 유가증권및외환·파생관련손익(1조1012억원·30.6%↑) 같은 '비이자부문이익' 개선이 눈에 띕니다.
신한카드 당기순이익은 3804억원입니다. 가맹점 수수료 인하, 조달·대손비용 증가, 희망퇴직 비용 등으로 31.2% 감소했습니다. 신한투자증권은 자기매매손익과 주식위탁수수료수익 증가에 힘입어 44.4% 증가한 3594억원의 순이익을 냈습니다.
신한라이프 당기순이익은 5145억원으로 10.1% 늘었습니다. 주식시장 호조로 유가증권·변액 관련 금융손익이 증가한 결과입니다. 9월말 기준 보험계약마진(CSM)은 7조6000억원, 지급여력비율(K-ICS·잠정치)은 190%로 금융감독원 권고기준(130%)과 비교해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신한금융지주는 이날 실적발표에 앞서 이사회를 열어 3분기 주당 570원의 현금배당을 결의하고 분기균등배당을 통한 일관된 배당정책을 지속하기로 했습니다.
신한금융그룹 재무부문 천상영 부사장은 "보다 생산적인 분야에 자금공급을 충실히 이행하는 한편 비은행 및 비이자 부문 성장과 전사적 비용관리 노력을 바탕으로 안정적이고 균형잡힌 이익성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iN The Scene] 이억원 금융위원장 코스피 4000 돌파 “새로운 도약 출발점”](https://www.inthenews.co.kr/data/cache/public/photos/20251044/art_17615676200702_514d97_120x9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