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SK텔레콤이 지난 4월 발생한 해킹 사태로 인한 고객 보상·과징금 등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90% 이상 급감했습니다.
SK텔레콤[017670]은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484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90.9%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30일 공시했습니다.
매출은 3조9781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2.2% 감소했으며 순손실은 1667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SKT는 지난 4월 해킹으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 사태를 겪었습니다. 이로 인해 위약금 면제 조치를 시행했으며 개인정보보호위원회로부터 1348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기도 했습니다.
이에 8월에는 통신 요금 50% 감면과 각종 보상 프로그램을 담은 5000억원 규모의 '고객 감사 패키지'를 시행하면서 실적 하락에 영향을 받았습니다.
유무선 통신 사업은 전분기 대비 회복세를 보이며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습니다. 5G 가입자는 1726만명으로 전분기 대비 약 24만명 증가했으며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도 순증으로 전환됐습니다.
AI 관련 사업의 매출은 35.7% 성장했습니다. AI 데이터센터 사업은 판교 데이터센터 인수 효과와 GPU 임차지원사업 수주에 힘입어 1498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AIX 사업 또한 557억원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SKT는 분산되어 있던 전사 AI 역량을 AI CIC로 재편해 AI 중심 사업 구조 전환을 가속화할 계획입니다.
SKT는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추진 중인 울산 AI 데이터센터 기공식을 지난 8월 말 개최하며 구축 단계에 돌입했고 오픈AI와 서남권 전용 AI DC 구축 MOU를 체결해 향후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할 예정입니다.
에이닷은 'A.X 4.0'과 'GPT-5' 적용을 통해 대화 품질과 서비스 확장성을 높였으며 티맵에 확대 적용해 고객 접점을 강화했습니다. 또한, SKT는 '에이닷 비즈'를 중심으로 다양한 산업군으로의 확산을 추진하며 기업용 AI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대해 나갈 방침입니다.
SKT는 고객 신뢰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책임과 약속'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고객 보호와 서비스 혁신을 아우르는 종합 대책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SKT는 '제로 트러스트' 기반의 글로벌 최고 수준 정보보호 체계 구축을 목표로 향후 5년간 총 7000억원 규모를 투자하는 '정보보호혁신안'을 수립해 실행 중입니다.
김양섭 SKT CFO는 "SK텔레콤은 고객 신뢰 회복을 최우선으로 두고 AI사업에서 본격적인 성과를 창출하는 등 위기를 기회로 삼아 더 단단한 회사로 나아가겠다"고 말했습니다.























![[3분기 실적] 한미사이언스, 영업이익 393억원…전년 대비 75.2↑](https://www.inthenews.co.kr/data/cache/public/photos/20251044/art_17617242470314_adc91b_120x9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