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People Plus 人+ Zoom in 줌인

[신년기획] “無장애지도 만드니 김정호가 된 것 같아요”

URL복사

Tuesday, January 02, 2018, 06:01:00

[황금개띠와 인터뷰 ①] 모아스토리 하나래 작가..장애인 위한 ‘무장애지도’ 기획자
“아프리카에 우물 만드는 게 목표..세상 만만치 않다지만, 만만하게 보면서 살고파”

2018황금개띠의 해가 밝았습니다(띠는 음력이 기준이지만, 모든 사람들이 이렇게 쓰고 있으니 따를 수밖에 없습니다). 개만큼 사람들과 친숙한 동물은 없을 거라는 데 이의를 제기할 사람들은 많지 않을 겁니다. 


그렇다한들 개들과 인터뷰를 할 수는 없는 노릇인더뉴스는 무술년 새해를 맞아, 기자들이 취재 현장에서 마주쳐 왔던 개띠 주인공들의 인터뷰에 나섰습니다20, 30, 40대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살아가는 이야기와 그들의 새해 소망을 전해드립니다. [편집자주]


[인더뉴스 조은지 기자] “이지트립(영상·지도 제작)을 처음 시작할 때 대표님이 ‘대동여지도를 만든 김정호가 되자’고 말씀하셨어요. 골목 구석구석을 살펴보고 장애인 이동권을 보장해주는 ‘무장애 지도’를 만들면서 정말로 제가 또 다른 김정호가 된 것 같은 느낌이 들더라고요.”


고산자 김정호 선생은 대동여지도를 만들기 위해 전국 방방곡곡을 두 발로 세세하게 누비며 돌아다녔다. 그런 김정호 선생을 빼닮은 사람이 또 있다. 모아스토리의 하나래 작가(1994년생, 개띠)가 주인공.


하 작가 역시 ‘무(無)장애 지도’를 만들기 위해 서울 시내 작은 골목 구석까지 돌아다닌다. 무장애 지도는 장애인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식당이나 상점에 대한 각종 정보들을 구체적으로 알려주는 지도다.  


하나래 작가가 처음부터 지도 만드는 일을 한 건 아니다. 하 작가는 모아스토리에서 근무하기 전 D 보험회사 손해사정사로 근무했었다. 대학서 손해사정학을 전공한 그는 지난 2015년 보험회사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감사하게도 학과 교수님이 입사에 많은 도움을 주셔서 그 어렵다는 취업문턱을 좀 더 수월하게 넘었어요. 직접 현장에서 보험금을 조정하는 일을 하진 않았어요. 과실처리된 부분이 합당하게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보험금을 산출하는 업무를 맡았는데, 일이 그렇게 힘들지는 않았어요.”


급여가 넉넉하고, 근무 여건도 좋은 편이었지만, 그뿐이었다. 입사한 지 10개월 만에 회사를 그만뒀다.


“어릴 때부터 작은 조직에서 가족같이 일하는 분위기를 꿈꿨는데, 전에 다녔던 회사는 직원이 100명 가까이 됐었어요. 연차·월급·사람 모두 좋고 일도 힘들지 않았지만, 문득 내가 이 일을 하면서 ‘하루하루 행복하게 살 수 있을까?’란 의문이 들었어요. 그게 더 중요했고 그래서 퇴직을 결정했어요.”


4년 동안 배운 공부를 등지고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했다. 진로의 방향을 어디로 결정해야 할지 모르는 상황. ‘앞으로 무엇을 하면 행복할 수 있을까?’란 생각에 집중하면서 여러 가지 일을 해보기로 결심했다. 그러던 중 네팔 지진 구호 선교 활동에 참여했고, 그 일이 무장애지도를 만들게 된 출발점이 됐다.     


“2015년에 구호 선교를 할 때 모아스토리의 강민기 대표님을 만났어요. 퇴사 이유도 말씀드리고 앞으로의 고민도 털어놨었죠. 그때 모아스토리가 장애인 이동권 보장에 대한 콘텐츠를 시작하려고 했는데 대표님에 제 이야기를 들어보시고는 처음에는 체험단을 해보는 것은 어떠냐고 권유하셨어요.”


장애인 인권에도 관심이 많았던 터라 체험단에 참여하는 걸 흔쾌히 수락했다. 보험사에서 일할 때와는 달랐다. 보람이 느껴졌고, 행복하다는 기분까지 들었다. 그러다가 모아스토리에 취직까지 하게 됐다.


“체험단을 몇 차례 더 하고 나니 대표님이 같이 일을 해보는 건 어떠냐고 제안해 주셨고, 입사를 했어요. 지금은 모아스토리서 근무한 지 4개월 정도 됐습니다. 야근을 해도 주말에 일을 해도 짜증이 나지 않아요. 월요병도 없고요. 그렇다보니 ‘아, 내가 보험회사 때와는 달리 지금의 일을 사랑하는구나’라고 생각이 들더라고요.”


하나래 작가는 모아스토리에서 일을 하면서 가장 보람을 크게 느낄때는 장애인들이 웃을 때라고 했다. (그가 일하고 있는 모아스토리는 무장애 지도를 만드는 것 외에도 장애인 리포터들과 함께 전국 곳곳을 여행하며 ‘이지트립’이라는 이름의 영상물도 제작하고 있다.)


“무장애 지도를 만드는 작업을 같이 한 리포터분 중에는 자녀가 셋인 분이 있어요. 일을 하는데 항상 웃으면서 즐거워하셨어요. 나중에 그 분이 자녀들과 함께 다시 방문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요. 그 때 제가 만든 무장애 지도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면 진짜 김정호가 된 것 같아 흐뭇해 져요.”


20대 중반인 하나래 작가의 인생 목표는 예상보다 더 구체적이고 어른스러웠다. 최근에 장애인에 대해서 공부를 시작했다. 주변 사람들에게 자문하고 조언도 듣고 책도 추천을 받으면서 장애인 관련 자격증도 알아보고 있다고. 아프리카에 우물을 만드는 것도 그의 목표 중에 하나다.  


무엇보다도 자신이 행복해 질 수 있어야 남의 행복도 생각하고, 만들어 줄 수 있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아프리카에 우물을 만들었을 때 아이들은 우물 때문에 행복해지겠지만, 저는 그 아이들의 모습을 보면서 더 행복해지겠죠. 꼭 그런 행복감을 느낄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어요”


다른 20대 또래들과 조금은 다른 길을 걷고 있는 하나래 작가에게 인더뉴스 신년기획의 공통질문 세 가지를 던졌다.


▲ 개와 관련된 에피소드가 있다면?


- “어렸을 때 지나가던 개가 갑자기 달려와 넘어져서 다쳤던 기억이 있어요. 그래서 그런지 개를 예뻐하지만 개가 먼저 다가오는 걸 어려워하고 친해지기까지 시간이 필요해요. 간혹 개를 키우는 지인의 집을 방문할 때 마음은 그게 아닌데 반가워하는 개를 피하고 숨게 돼서 미안한 마음이 생겨요.”


▲ 2018년에 꼭 이루고 싶은 소망은?


- “2018년에 시베리아 횡단 열차를 타고 싶어요. 내년 봄이나 가을에 가고 싶어요. 가격이 저렴한 부분도 한 몫 하지만 시베리아 횡단 열차를 예전부터 한 번쯤은 꼭 타봐야겠다고 생각했었어요. 제 버킷리스트의 하나였지만 요즘에는 이 버킷리스트를 꼭 나중에 해야 하나? 라는 의문이 들었어요. 그래서 할 수 있을 때 하나하나 버킷리스트를 지워가고 있어요.


사회에 진출하게 될 후배들에게 해주고 싶은 조언은?


- “저도 아직 사회초년생이지만 자신이 정말 좋아하는 일을 했으면 좋겠어요. 제가 어려서 잘 모르고 하는 얘기일 수도 있지만 아직까지는 확신해요. 업무가 피곤해도 적어도 하기 싫지 않은 일, 나를 행복하게 하는 일을 했으면 좋겠어요. 제가 지금 그래요. 주변에 몇몇 분은 저에게 바보라고, 세상이 만만치 않다고 하지만 저는 만만하게 보면서 살고 싶어요. 행복함을 추구하는 게 바보는 아니잖아요? (웃음)”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More 더 읽을거리

조은지 기자 cho.ej@inthenews.co.kr

배너

SKT 해킹 사고, 中 해커 집단 소행 가능성…국가 차원 대책 마련 필요

SKT 해킹 사고, 中 해커 집단 소행 가능성…국가 차원 대책 마련 필요

2025.05.19 16:13:26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SK텔레콤[017670] 해킹 사고의 배후로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 해커 집단이 지목되며 이번 사태가 금전 목적이 아닌 정치적 목적의 해킹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19일 SKT 침해사고 민관합동조사단은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한 2차 조사결과 중간발표에서 BPF도어 및 파생 악성코드 공격으로 가입자 식별키 기준 약 2700만건의 유심 정보가 유출됐다고 밝혔습니다. 중국의 정치적 해킹 가능성이 제기되는 이유는 바로 이 BPF도어 때문입니다. BPF도어는 2022년 최초로 존재가 확인된 백도어 프로그램으로 글로벌 회계 법인 PwC의 보고서에서 중국 해커 집단 레드 멘션(Red Menshen)이 중동, 아시아 지역 통신사를 공격할 때 주로 사용한 프로그램으로 알려졌습니다. 글로벌 보안업체 트렌드마이크로 등은 레드 멘션이 이 BPF도어를 활용해 한국, 홍콩, 미얀마, 말레이시아, 이집트 등 아시아·중동 지역의 통신, 금융, 유통 산업을 대상으로 사이버 스파이 활동을 벌여왔다고 분석한 바 있습니다. 왜 중국 조직이 한국 통신사를? 중국의 해커 조직들이 주요 타깃으로 삼는 나라는 단연 미국입니다. 백악관 및 미국 언론들은 지난해 중국 해커들이 미국 통신회사 최소 8곳(AT&T, 버라이즌 등)을 해킹했다고 밝힌 바 있으며 해커들이 고위 공무원과 정치인들의 통화 기록과 문자 메시지 등 통신 기록에 접근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습니다. 또한, 미 연방수사국(FBI)은 지난해 10월 중국 당국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알려진 볼트 타이푼(Volt Typhoon)·솔트 타이푼(Salt Typhoon)·플랙스 타이푼(Flax Typhoon) 등 3개의 거대 사이버 스파이 활동 조직을 적발하기도 했습니다. 이들은 미국과 베트남, 루마니아 등 19개국에서 26만 개가 넘는 소규모 사무실과 홈오피스 네트워크망, 사물인터넷 등에 악성 소프트웨어를 심는 방식으로 활동하고 있었다는 것이 FBI의 설명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의 정보 수집 및 보안 작업 인원이 최대 60만명에 이를 수 있다고 추정하며 일부 중국 해커들은 정부 지원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통신 전문가들은 한국이 미국의 핵심 동맹국이며 중국과 전략적, 지리적으로 밀접한 국가이기에 미국과 함께 중국 해커 조직의 타깃이 되었다고 분석합니다. 대만 사이버 보안 기업 'TeamT5'은 중국 해커가 미국 동맹국 중 하나인 한국을 지속해 표적 삼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또한,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사이버 및 신기술 담당 부보좌관 앤 뉴버거는 "현재 어떤 통신사 네트워크도 중국 해커로부터 완전히 자유롭지 못하고 지속적인 해킹 위험이 있다"라며 "중국 해커의 활동 범위는 미국 통신사뿐 아니라 전 세계 수십개국"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단순 해킹 아닌 국가 안보 문제…대비책 필요 BPF도어는 사이버 간첩활동을 하기 위한 국가지원 백도어로 이번 해킹 사고 역시 단순히 금전적 이익이 아닌 국가 통신망 기밀 확보 같은 정치적 목적의 해킹일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 민관합동조사단의 조사에 의하면 해커가 SKT의 서버에 악성코드를 심은 시점은 3년 전인 2022년 6월15일로 특정됐습니다. SKT 트렌드마이크로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7월과 12월에도 국내 통신사를 대상으로 BPF도어를 활용한 사이버 공격이 감행된 것으로 분석되기도 합니다. 미국은 현재 중국 해커 집단의 공격을 차단하기 위해 국가 차원에서 중국산 통신장비 사용을 금지하거나 이미 설치된 것도 교체하기 위해 예산을 마련하는 등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도 개별 기업을 넘어 국가 안보 차원에서 대책 마련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현재 국내 상황은 SKT의 해킹 사고에 대해 중국 해커 집단의 공격을 막는 대책을 세우기보다는 민간 차원의 피해 보상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를 국가 차원에서의 사이버 보안 대책과 함께 정보보호 산업 육성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일례로 김승주 고려대 교수는 영국의 'Telecommunication Security Act 2021'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합니다. 해당 법은 영국 내 모든 통신 사업자에게 사이버 보안 위험에 대한 분석 및 대응 계획을 의무화하고 영국 통신규제기관인 오프컴에 강력한 감독 권한을 부여해 통신망의 회복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