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주동일 기자]11번가가 3.1절을 기념해 행사 기간 동안 거래한 액수의 일부를 독립유공자 후손에게 전한다. 이번 기부에 동참한 오뚜기와 LG생활건강은 구매고객 중 일부에게 각각 3.1운동 기념 우표 전지·‘희움’의 ‘의식팔찌’를 증정한다. 11번가(사장 이상호)가 국내 토종기업 오뚜기·LG생활건강과 함께 ‘3.1운동 100주년' 기념 기부 행사를 펼친다. 3월 1~10일 ‘3.1운동 100주년 기념 기획전’에서 두 업체의 제품을 구매할 경우 결제금액의 일부가 ‘사랑의 열매’ 단체를 통해 독립유공자 후손에게 전달된다. 오뚜기 제품의 경우 거래액의 3.1%, LG생활건강 제품은 1%를 기부한다. 오뚜기는 대표적인 기부 행사 제품으로 인기 라면을 모은 기획세트를 내놨다. 세트는 ‘쇠고기 미역국라면(4개)’·‘진라면 매운맛(10개)’·‘스낵면(5개)’·‘오뚜기 작은밥(1개)’, ‘케찹(65g·2개)’로 구성했다. 가격은 22% 할인한 1만 900원에 판매한다. 기획전에서 오뚜기 상품을 구매해 포토리뷰를 쓰는 고객에겐 추첨으로 3.1운동 100주년 기념 우표 전지를 증정한다. LG생활건강은 기저귀 ‘토디앙 핑크퐁 밴드·팬티(3팩·3만 900원)’, 섬유유연제 ‘아우라 고농축 세트(1L 6개·400ml 2개·테크 1L·2만 900원)’를 판매한다. 샴푸브랜드 ‘오가니스트’·치약브랜드 ‘리치’ 구매고객들에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돕는 '희움’의 ‘의식팔찌'를 준다. 한편 11번가는 올해 초 시작한 친환경 캠페인 ‘세이브 디 어스(Save the Earth)’도 진행한다. '플라스틱 빨대 안 쓰기'(1월), ‘종이컵 대신 텀블러 사용하기’(2월)에 이어 3월에는 ‘비닐봉투 안 쓰기’를 주제로 연다. 이케아 장바구니(2900원부터)를 한정수량(2000개) 무료 배송하고, 독일의 에코백 ‘로키백(1만 900원)’을 2000개 무료 배송한다. 또 공정무역·친환경 글로벌 브랜드 '스마테리아 에코백(20% 할인쿠폰 적용 시 2만 6400원)‘을 300개 한정으로 무료 배송한다. 김주희 11번가 사업운영담당은 “봄이 시작되는 3월은 다양한 신상품이 등장하며 본격적인 쇼핑의 계절로 들어서는 시기로, 올해 3월은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더욱 의미 깊은 행사를 준비했다”라고 말했다.
[인더뉴스 이진솔 기자]KT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세계 이동통신산업 전시회(Mobile World Congress·MWC) 2019’에서 5세대 이동통신(5G)이 접목된 360도 비디오 솔루션을 선보였다고 28일 밝혔다. 공개된 기술은 ‘360º 스마트 서베일런스’·‘360º 라이브 시큐리티’·‘리얼360X피트360’ 등 세 가지로 각각 안전·관제·개인미디어에 특화돼 있다. 우선360º 스마트 서베일런스는 사각지대가 없는 고화질 360도 CCTV를 5G로 연결해 실시간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솔루션이다. 사물인터넷 센서와 지능형 영상분석 기술로 화재나 유해가스 유출 등 산업현장에서 생기는 비상상황을 자동으로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기능도 있다. KT는 행사장에서 관제 솔루션을 시연했다. 이 자리에서 관람객들은 작업장 근로자의 안전장비 착용 여부를 자동으로 확인해 미착용 부위를 알려주는 인공지능 영상분석 기술 체험이 가능했다. 보안에 중점을 둔360º 라이브 시큐리티는 피트360 시큐리티 장비로 고해상도 360도 영상을 찍어 5G를 이용해 딥러닝 기반 영상분석서버에 실시간 전달한다. 현장 요원은 영상 분석 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받는다. 리얼360X피트360은 360도 영상으로 1인 방송을 하거나 영상을 공유하며 통화할 수 있는 서비스다. 피트360 카메라로 찍은 영상을리얼360 서비스로 유튜브360 플랫폼에전송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공유할 수 있다. 촬영에 넥밴드형 웨어러블 카메라를 활용하기 때문에 방송이나 통화를 하면서도 손이 자유롭다는게 KT의 설명이다. 또화면을 돌릴 수 있어 입체적인 커뮤니케이션도 가능하다. 전홍범 KT 융합기술원장은“360º 스마트 서베일런스가 스마트팩토리에 적용되면 5G 네트워크와 연결된 고해상도 360º CCTV로 넓은 영역을 실시간 관제할 수 있다”며“360º 라이브 시큐리티를 통해 처리 과정에서 놓치기 쉬운 부분을 분석하면빠른 대응이 가능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인더뉴스 이수정 기자]최대 8년 동안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한화건설의 대규모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입주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계약자 입주기간은 28일부터 오는 4월 28일까지며, 장기 임대운영을 위한 입주 희망자도 모집 중이다. 전용면적 74~84㎡의 중소형 중심으로 구성됐고, 임대료는 최저 20만원대 부터다. 전환보증금 제도가 적용돼 임대료와 보증금 수준을 선택할 수도 있다. 보증금과 임대료 상승률은 연 3% 범위에서 주거비 물가지수, 인근지역의 임대료 변동을 고려해 조정된다. 한화건설은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인천 서창 꿈에그린’ 입주가 시작된다고 28일 밝혔다. 인천시 남동구 서창2지구 13블럭에 위치한 해당 단지는 지하 1층~지상 25층, 9개 동, 1212가구 규모다. 인천 서창 꿈에그린은 중앙광장인 대규모 ‘커뮤니티 파크’와 단지 내 캠핑장인 ‘힐링 포레스트’, 생활농원 ‘킨포크 가든’이 조성돼 있다. 또 다양한 수변공간과 벚꽃산책로, 선텐장, 어린이놀이터도 마련됐다. 아파트 외관은 위빙컬러시스템(Weaving Color System)이 적용됐고, 휘트니스센터와 골프연습장, 키즈카페, 작은도서관, 독서실 등 커뮤니티 시설도 들어서 있다. 지상 2층에 위치한 휘트니스센터는 자연 채광을 극대화해 탁 트인 개방감을 느낄 수 있다. 인천 남동구청과 협의해 자녀를 안심하고 맡길 수 있는 단지 내 국공립 어린이집 유치를 추진 중이며, 단지 인근에 서창3초등학교가 개교를 앞두고 있어 안심 통학이 가능하다. 스마트 시스템도 갖춰진다. 우선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조명, 가스, 난방 등의 원격제어, 무인택배 시스템, 차번 인식 주차관제 시스템이 적용됐다. 태양광 발전 시스템과 엘리베이터 전력회생 시스템 등 에너지 절감을 위한 다양한 시스템 마련했다. 서창JC가 차량 5분 거리에 있으며 제2경인고속도로와 영동고속도로로 손쉽게 진입할 수 있다. 인근에 인천 지하철 2호선 운연(서창)역이 위치하고 있다. 단지 옆에 장아산(장아산근린공원)이 있고 운연천, 장수천, 청룡저수지 등이 가까이 있다. 황율남 한화건설 주택사업2팀 팀장은 “최근 부동산시장 침체로 주택 구매를 망설이는 실수요자들이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에 관심을 갖고 있다”며 “인천 서창 꿈에그린은 저렴한 임대료와 기존 임대주택과 차별화된 주택 품질, 주거 안정성까지 갖춰져 있는 곳”이라고 설명했다.
[인더뉴스 정재혁 기자] 신한은행이 그룹 차원에서 육성한 스타트업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보안 기술 연구 관련 업무협약을 맺었다. 신한은행(은행장 위성호)은 지난 27일 사이버위협 인텔리전스 전문 기업인 씨티아이랩(대표이사 조홍연)과 ‘인공지능 위협탐지 기술 공동연구’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MOU 체결은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정보보호 이상 징후 탐지 체계 고도화를 위해 추진됐다. 지속적인 인공지능 탐지 모델 발굴을 위한 데이터 분석 역량을 확보하고 기술 노하우 습득에 주력한다. 씨티아이랩은 지난해 ‘신한금융그룹 퓨처스랩 육성기업’에 선발된 업체로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전문 기업이다. 향후 3년간 신한은행과 글로벌 보안 신기술 연구, 정보보안 체계 고도화, 기술교류 등을 공동으로 진행하게 된다. 또한, 씨티아이랩은 다양한 위협대응 기술과 알고리즘을 제공하고 신한은행은 테스트 환경과 축적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과 금융 비즈니스에 최적화된 위협 대응 모델을 구축할 예정이다. 한편, 신한은행은 지난 1월 씨티아이랩의 ‘Deep Learning 기반 사이버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을 이용해 ‘인공지능 위협탐지 시스템’을 구축한 바 있다. 신한은행은 이번 협약으로 다양한 유형의 공격에 대비해 신속하고 정확한 탐지모형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호완 신한은행 CISO(정보보호본부) 상무는 “위협이 갈수록 정교해지고 있어 전통적인 탐지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고객에게 보다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더뉴스 이수정 기자] 대우건설 김형 사장을 비롯한 임원진들이 자사 주식을 장내 매입하고 책임경영에 대한 의지를 나타냈다. 지난해 개선된 실적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가능성에 대한 확신과 기업가치 회복 기대감을 기관과 일반 참여자에게 전한다는 취지다. 대우건설은 김 사장 및 사외이사 3명을 포함한 임원진 33명이 회사주식 약 20만주를 매입했다고 27일 공시했다. 이번 매입은 우리사주조합 방식이 아닌, 각 임원들의 자율의사에 따라 장내 매입으로 이뤄졌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중장기 전략 실행에 따른 끊임없는 혁신과 발전으로 회사의 미래가치 제고에 대해 임원진의 무한 책임 경영 의지를 대외적으로 천명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대우건설의 지난해 경영실적은 10조 6055억원, 영업이익 6287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에 비해 9.9%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46.6% 증가한 수준이다. 지난해 창립 45주년을 맞은 대우건설은 오는 2025년까지 매출 17조, 영업이익 1조 5000억원 달성을 통해 글로벌 Top20에 진입하겠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다.
[인더뉴스 이수정 기자] GTX(광역급행철도)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주변 부동산 시장도 함께 들썩이고 있다. 지난해 착공식을 연 GTX-A노선 인근은 최근분양권이 분양가보다3억 가량 비싼 가격으로 거래됐고, 주변 청약률도 고공행진을 이어 왔다. 사업진행 속도가 가장 빠른 A노선은 동탄~삼성 구간이 오는 2021년 개통할 예정이다.이후 파주~삼성 구간이 2023년 말까지 공사를 마무리한 후 개통된다. 지난해 12월 11일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GTX-C노선(양주~수원)도 본격 시동을 걸었다. C노선은 오는 2026년 개통될 예정이다. 26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GTX 노선이 들어서는 지역 아파트 값은 이미 가파른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우선, 지난 2015년 분양한 한화 꿈에그린 아파트는 A노선 킨텍스역 주변에 위치한다는 이유로 3억가량 값이 뛰었다. 당시 84㎡ 분양가는 4억 9060만원 수준이었지만, 지난 1월 국토부 실거래가 조회에 따르면 같은 평형대 분양권은 7억 8722만원에 거래된 것. 이를 두고 한 부동산 전문가는 “GTX는 우리나라에서 흔하지 않는 대규모 교통환경 구축 사업으로 수도권과 서울 간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광역교통망”이라며 “입주 이후 GTX 노선이 개통될 때까지상승 여력이 남아있다”고 평했다. 청약시장에서도 GTX 노선이 주변 지역 인기는 뜨겁다. 지난해 수도권에서 가장 높은 청약성적을 기록한 곳은 GTX-A노선 동탄역 인근에 있는 ‘동탄 유림노르웨이숲’이었다. 이 곳은 실제 특별공급 가구를 제외한 206가구 모집에 청약자가 3만 8029명이 몰리면서 평균 184.6대 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했다. 앞으로 노선 인근에 분양되는 단지로는현대엔지니어링이 짓는 힐스테이트 판교역 오피스텔이 있다. A노선이 정차하는 성남역 주위에 들어서며, 이 역을 이용하면 강남역까지 10분대에 도달할 수 있다. 또 중흥건설은 오는 3월 운정 중흥S-클래스(1262가구)를 분양한다. A노선의 기점인 파주 운정신도시에 들어서며 GTX운정역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동탄역 주위에는 대방건설이 화성동탄 2차 대방디엠시티를 분양할 계획이다. 아파트 531가구와 오피스텔 820실로 이뤄진 주상복합 단지로 동탄역을 걸어서 이용 가능하다. C노선 정차역 중 가장 주목받고 있는 곳은 청량리역과 수원역 인근이다. 롯데건설은 청량리 4구역을 재개발하는 주상복합단지인 롯데캐슬SKY-L65를 선보인다. 수원역 인근에는 대우건설 컨소시엄이 수원 고등주거환경개선 A1블록에서 수원역 푸르지오 자이를 분양한다.총 4086가구로 수원시내 아파트 가운데 최대 규모다. 일반분양은 797가구이며 C노선과 수도권 전철 1호선, 수인선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수원역을 걸어서 이용가능하다. 부동산 업계는 A‧C노선 사업이 가시화되면서 앞으로 인근 단지에 더 큰 관심이 몰릴 것으로 보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지난 연말을 기점으로 A노선과 C노선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면서, 노선 인근 단지는 청양경쟁률이 상당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인더뉴스 박경보 기자]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이 현대자동차와 현대모비스의 대표이사로 선임된다. 지난해 수석부회장 자리에 오른 뒤 그룹 경영 전면에 나서고 있는 정 수석부회장은 주력 계열사를 이끌며 ‘책임경영’을 더욱 강화하게 됐다. 현대차는 기업가치 및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정의선 수석부회장의 신규 대표이사 선임을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현대차는 다음달 열리는 주주총회에서의 정 수석부회장 사내이사 재선임 안건을 처리한 후 별도 이사회 결의를 거쳐 대표이사로 확정할 계획이다. 대표이사 선임 안건이 이사회를 통과하면 현대차는 정몽구 대표이사 회장, 정의선 대표이사 수석부회장, 이원희 대표이사 사장, 하언태 대표이사 부사장 등 4인 각자 대표이사 체제를 구축하게 된다. 현대모비스도 같은날 이사회를 열고 정몽구 회장을 대표이사로 재선임하는 한편, 정의선 수석부회장과 박정국 사장을 대표이사로 신규 선임하는 방안을 결의했다. 대표이사에 관한 건은 주주총회 이후 임시 이사회 결의를 거쳐 확정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의 실질적 총수이자 최종 의사결정권자인 정 수석부회장이 핵심 계열사인 현대차와 현대모비스의 대표이사가 되면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총수의 책임경영이 강화되면 주주와 회사 간 신뢰감도 높아져 기업가치와 주주가치를 동시에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 측은 "기업가치 및 주주가치 극대화를 위한 책임경영 차원에서 정 수석부회장을 신규 대표이사로 선임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며 “주주권익 보호와 성장을 통한 주주가치 제고라는 선순환 구조 형성이 속도를 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더뉴스 이수정 기자] SK건설이 지난해 착공한 UAE 초대형 지하 원유비축기지 건설공사가 본 궤도에 올랐다. 해당 기지는 저장 용량이 30만톤급 초대형 유조선(VLCC) 20척 정도로, 단일 프로젝트로세계 최대 규모로 알려졌다. 이번 공사는 세 가지 유형의 원유를 저장할 수 있다. 운반일정 관리와 최적화가 용이해 아라비아해를 통한 글로벌 수출 전략의 유연성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준공은 2022년 예정이다. SK건설은 UAE 아부다비 국영석유회사(ADNOC)가 발주한 총 공사비 12억달러(한화 약 1조 3000억원)규모의 알 만도스(Al Mandous) 원유비축기지 프로젝트가 진입 터널 공사를 마치고 지하 저장시설 공사에 착수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UAE 북동쪽 해안에 위치한 푸자이라(Fujairah) 지하 암반에 총 4200만 배럴 규모의 지하 원유비축기지를 신축하는 공사다. SK건설은 지하 원유 저장시설 3개와 원유 입출하를 관리하는 상부 플랜트 시설을 시공하고 시운전도 직접 진행한다. SK건설은 울산과 여수 등 국내는 물론 인도 망갈로르(Mangalore)와 파두르(Padur)까지 국내외에서 총 8개의 지하 원유비축기지를 건설한 바 있다. 원유 저장 규모로 따지면 총 7500만 배럴에 달하는 공사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안재현 SK건설 사장은 “세계 최대 규모로 건설되는 UAE 지하 원유비축기지 공사가 현재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며 “공사 수행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글로벌 스토리지 시장에서 더 많은 사업기회를 발굴해 나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더뉴스 김현우 기자]금융감독원이노동가동연한을 60세에서 65세로 상향한 최근 대법원 판결을 반영해 자동차보험 표준약관의 취업가동연한도똑같이 60세에서 65세로 개정키로했다. 금감원은 소비자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서둘러 약관 개정에 나섰다고 25일 밝혔다. 약관개정이 마무리되는 데까지 최소 두 달 이상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돼 이 기간 동안 보험사들이 관련 사례에 대해 어떻게 보상을 진행할지에관심이 모아지고 있다.대부분의 대형 손해보험사는 기존 약관에 따를방침이다. 노동가동연한은 일을 해 수익을 얻을 것으로 인정되는 한계 연령을 의미한다. 법원은 노동가동연한을 기준으로 사망하거나 더 이상 일할 수 없는 피해자에 대한 손배배상액을 산정한다. 이 기준은 피해자가 일용직·무직·학생·어린이·주부 등일 경우 적용된다. 금감원은 빠른 시일 내에 자동차보험 표준약관을 규정한 보험업감독업무시행세칙 개정에 들어갈 계획이다.자동차보험은 모든 운전자가 의무적으로 가입하는 상품이어서 금융당국이 표준약관을 정하고 있다. 다만표준약관을 개정하기 위해서는 다른 법령과 같이 일정 기간 의견수렴을 해야 하고, 필요한 경우 규제개혁위원회 심의를 받아야 해최소 두 달 이상의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만약 금감원의 표준약관 개정이 이뤄지기 전에 보상이 필요한 사례가 발생하면난처한 상황이 될 수 있다. 우선대형 손보사는 “개정되기 전에는 기존 표준약관에 따라 보상할 것”이라면서도 “소비자와 소송까지 가게 된다면 대법원 판례를 따르게 될 것 같다”고 입을 모았다. 그러나 소송까지 가는 경우는 많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한 대형사 관계자는 "설령 소송을 진행하더라도 취업가능연한뿐 아니라 과실 여부, 소득 수준 등도 함께 따지게 돼 가능연한이 상향됐다고 소비자가 보상받을 수 있는 보험금이 무조건 많아진다고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한편 보험개발원은 취업가능연한을 65세로 상향하면 보험금 지급액이 약 1250억원 증가해가입자가 내는 자동차보험료도 1.2%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인더뉴스 권지영 기자] LG전자의 올해 신제품이 해외 유력 매체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28일 LG전자에 따르면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Mobile World Congress) 2019’에서 선보인LG V50 ThinQ, LG G8 ThinQ, 탈착식 액세서리 ‘LG 듀얼 스크린(LG Dual Screen)’ 등이 해외 매체들로부터 총 12개의 어워드를 수상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LG V50 ThinQ와 LG G8 ThinQ가 각각 5개의 상을, LG 듀얼 스크린과 LG V50 ThinQ, LG G8 ThinQ를 합친 LG 프리미엄 스마트폰이 각각 상 하나를 받았다. 아울러 LG전자의 신제품을 현장에서 직접 체험한 외신들은 LG전자 스마트폰이 뛰어난 성능을 갖췄을뿐 아니라 특히 실용성과 독창성이 뛰어나다고 호평했다. 호주의 대표 일간지 ‘시드니모닝헤럴드(The Sydney Morning Herald)’는 지난 27일 ‘LG전자의 5G 스마트폰은 오디오 애호가의 꿈’이라는 제목으로 기사를 냈다. 기사에는▲입체 사운드시스템 DTS:X ▲고음질 스트리밍을 지원하는 MQA(Master Quality Authenticated) 규격 등 칭찬했다. 美 IT매체 ‘씨넷(Cnet)’은 또 다른 프리미엄 스마트폰 LG G8 ThinQ의 ‘에어모션’에 대해 “LG G8 ThinQ는 터치리스 제어의 미래를 보여줬다는 점에서 흥미롭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한편, LG전자가 5G 스마트폰 LG V50 ThinQ의 전용 액세서리로 선보인 ‘LG 듀얼 스크린’에 대한 외신들의 호평도 이어졌다. 美 IT 전문매체 ‘더 버지(The Verge)’는 지난 24일 LG 듀얼 스크린에 대해 ‘당장 보다 실용적으로 폴더블 기기를 사용하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 매체는 “LG 듀얼 스크린은 데스크톱에서 모니터 두 대를 작동할 때와 같이 부드럽게 작동한다”며 “올 들어 여러 회사들이 선보인 방식 가운데 가장 실용적”이라고 언급했다. 또 美 IT매체 ‘씨넷(Cnet)’은 LG 듀얼 스크린을 ‘와일드카드 기기(Wild-card device)’로 소개하며 “폴더블폰은 아니지만 독창적인 혁신성이 엿보인다“고 말했다. 英 유력 IT매체 ‘포켓린트(Pocket-Lint)’는 “스크린 두 개를 게임, 카메라 확장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영리한 아이디어”라고 호평했다. 특히 LG 듀얼 스크린은 다른 회사의 폴더블폰에 비해 가격 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LG 듀얼 스크린은 사용자가 별도로 구매할 수 있는 LG V50 ThinQ 전용 액세서리로, 플립(Flip)형 커버 안쪽에 6.2인치 올레드 디스플레이가 있다. 사용자가 LG V50 ThinQ와 LG 듀얼 스크린을 결합하면 화면 두 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으로 영화를 보는 동시에 LG 듀얼 스크린에서는 출연배우, 줄거리 등을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게임을 실행할 때 화면 두 개를 연동해 한 쪽 화면에는 게임을, 다른 쪽에는 컨트롤러를 띄워 사용할 수도 있다.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LG AI연구원이 22일 서울 강서구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LG AI 토크 콘서트 2025'를 열고 진화한 '엑사원 생태계'를 처음으로 공개했습니다. LG AI연구원은 지난 5년간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을 산업 전반에 적용해 글로벌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날 임우형 LG AI연구원 공동 연구원장은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하고 AI 모델 개발을 넘어 다양한 산업 현장 적용을 통해 범용성과 전문성을 모두 갖춰 나가며 글로벌 파트너사와 함께 AI 생태계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홍락 공동 연구원장은 세계 최고 수준 성능의 하이브리드 AI 모델 '엑사원 4.0'과 정밀 의료 특화 모델 '엑사원 패스 2.0'을 소개했습니다. '엑사원 4.0'은 세계 최고 수준 성능의 국내 첫 하이브리드 AI 모델이며 '엑사원 패스 2.0'은 질병 진단 시간을 2주에서 1분 이내로 단축할 수 있는 정밀 의료 AI 모델입니다. LG AI연구원은 멀티모달 AI 모델 '엑사원 4.0 VL'도 공개했습니다. 복잡한 문서부터 이미지, 분자 구조식까지 처리 가능한 이 모델은 메타의 최신 모델과 비교해 성능 우위를 보였다고 LG는 강조했습니다. '엑사원 4.0 VL'은 엑사원의 시각적 이해 기능을 담당하는 모델로 향후 다양한 전문 영역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음으로 최정규 LG AI연구원 AI에이전트그룹장은 LG 내부에서 검증을 마친 기업용 AI 에이전트 '챗엑사원'과 '엑사원 데이터 파운드리', '엑사원 온프레미스' 등 실사용 단계의 솔루션을 차례로 소개했습니다. 최정규 AI에이전트그룹장은 "LG 임직원의 AI 에이전트인 '챗엑사원'은 국가핵심기술 문서까지 사용할 수 있는 ISO 인증을 획득해 높은 보안성이 요구되는 기업 전용 서비스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입증했다"라며 "엑사원 4.0 공개 이후 모델 라이선스 범위를 교육 목적까지 확대했으며 초등학생부터 대학생까지 자유롭게 엑사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LG AI연구원은 엑사원 모델의 교육용 라이선스를 초등학생부터 대학생까지 확대해 활용도를 넓히겠다는 방침도 전했습니다. 이날 공개한 '엑사원 데이터 파운드리'는 전문가 60명이 3개월 동안 작업해야 생성할 수 있는 데이터를 하루 만에 완료할 수 있게 해주는 데이터 생성 플랫폼으로 데이터 생산성과 품질을 획기적으로 높인다고 강조했습니다. '엑사원 생태계'의 마지막 순서로 AI 반도체부터 모델까지 순수 국산 기술로 완성한 '엑사원 온프레미스'를 소개했습니다. '엑사원 온프레미스'는 기업들이 보안 걱정 없이 엑사원 모델을 사용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독립된 환경에서 기업용 에이전트를 구축하는 풀스택(Full-Stack) 솔루션입니다. 이날 행사에서는 협업 중인 외부 전문가들도 참여해 활용 사례를 공유했습니다. 백민경 서울대 교수는 '차세대 단백질 구조 예측 AI'를, 런던증권거래소 그룹은 엑사원으로 만든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서비스를 소개했습니다. 이홍락 공동 연구원장은 "에이전틱 AI의 진화는 곧 현실 세계를 바꾸는 기술인 피지컬 AI로 연결된다"라며 "AI가 현실을 인식하고 판단하며 실제 환경을 바꾸는 피지컬 AI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습니다.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삼성전자[005930]는 15일부터 21일까지 1주일간 진행한 '갤럭시 Z 폴드7·Z 플립7' 국내 사전판매가 104만대 판매를 달성했다고 22일 밝혔습니다. 104만대는 역대 갤럭시 폴더블 사전판매 중 최다 판매 신기록입니다. 이전까지 갤럭시 폴더블 최다 사전판매 기록은 '갤럭시 Z 폴드5·Z 플립5'로 2023년 8월 1주일간 진행한 사전판매에서 102만대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갤럭시 Z 폴드6·Z 플립6'는 2024년 7월 사전판매 1주일간 진행해 91만대가 팔렸습니다. '갤럭시 Z 폴드7'과 '갤럭시 Z 플립7'의 사전 예약은 판매 비중이 각각 60%와 40%이며 폴드 비중이 지난해 40% 수준에서 60%로 늘어났습니다. 색상은 '갤럭시 Z 폴드7'는 제트블랙, 블루 쉐도우 선호도가 높았습니다. '갤럭시 Z 플립7'은 블루 쉐도우와 코랄레드가 인기를 끌었습니다. 업계에서는 신제품의 하드웨어 디자인, 강화된 갤럭시 AI 기능 등이 사전판매를 견인했다고 보고 있습니다. '갤럭시 Z 폴드7'은 접었을 때 8.9㎜, 펼쳤을 때 4.2㎜ 두께에 215g의 가벼운 무게와 21:9 화면비로 접은 상태에서도 바(Bar)형 스마트폰과 유사합니다. '갤럭시 Z 플립7'은 1.25㎜ 슬림 베젤을 적용한 전면 플렉스윈도우와 한 손에 들어오는 사이즈를 결합해 휴대성과 사용 편의성을 강화했습니다. 한편, 삼성닷컴에서 사전 구매한 고객 중 절반 이상은 'New 갤럭시 AI 구독클럽'에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New 갤럭시 AI 구독클럽'은 '갤럭시 Z 폴드7·Z 플립7' 자급제 모델을 구입 후 가입하면 ▲1년후 기기 반납 시 최대 50% 잔존가 보장 ▲'삼성케어플러스 스마트폰 파손' 제공 ▲정품 모바일 액세서리 30% 할인 쿠폰 혜택을 제공하는 구독형 프로그램입니다. 사전 구매 고객은 오늘부터 제품 수령과 개통이 가능합니다. '갤럭시 Z 폴드7·Z 플립7'은 25일부터 한국, 미국, 영국 등을 시작으로 전 세계에 순차 출시됩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현대차·기아는 '2025 레드 닷 어워드: 콘셉트 디자인(Red Dot Award: Contcept Design 2025)'에서 최고상인 최우수상(Best of the Best) 2개와 본상(Winner) 9개 등 11관왕을 달성했다고 21일 밝혔습니다. 독일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 디자인센터(Design Zentrum Nordrhein Westfalen)가 주관하는 레드 닷 어워드는 세계 3대 디자인상 중 하나로, 매년 제품 디자인,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디자인 콘셉트 부문으로 나눠 우수 디자인을 선정합니다. 이번에 발표된 콘셉트 부문에서 현대차·기아는 ▲City-Pod, Urban-Pod ▲PV5 위켄더 콘셉트(WKNDR Concept)로 자율주행(Autonomous)과 자동차 및 모터사이클(Cars and Motorcycles) 분야에서 각각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현대차의 ▲City-Pod, Urban-Pod은 작년 CES와 ADEX 2023에서 각각 선보인 미래 물류 시스템입니다. 스마트 시티를 구현하는데 중점을 둔 혁신적인 운송 솔루션으로 디지털 트윈, 자율주행 등 최첨단 기술을 적용해 실시간 추적이 가능하고, 산업현장뿐 아니라 고객의 일상에서도 다용도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기아의 ▲PV5 위켄더(WKNDR) 콘셉트는 자유로운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하는 다목적 EV 밴입니다. 모듈형 콘셉트 적용으로 실내·외를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태양광 패널 등 자체 에너지 솔루션을 장착해 고객에게 지속가능한 여정을 제시합니다. 또한 리프트업 가능한 차체와 오프로드 타이어는 험준한 지형에서도 역동적인 주행이 가능합니다. 이와 함께 현대차·기아는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우수한 콘셉트 디자인으로 총 9개의 본상을 수상했습니다. 제네시스 ▲엑스 그란 쿠페(X Gran Coupe)와 ▲엑스 그란 컨버터블(X Gran Convertible) ▲엑스 그란 이퀘이터(X Gran Equator) 제네시스의 디자인 철학인 '역동적인 우아함(Athletic Elegance)'을 극대화한 디자인으로 자동차 및 모터사이클 분야에서 본상을 수상했습니다. 기아는 ▲PV1 ▲PV5 ▲PV7 콘셉트는 사용 환경에 최적화된 디자인으로 본상을 차지했고 기아의 전동화 디자인 노하우가 집약된 소형 SUV ▲EV2 콘셉트도 본상을 수상했습니다. 현대차의 ▲나노 모빌리티(Nano mobility)와 ▲마이크로 모빌리티도 본상 수상작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이 밖에도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의 ▲전기차 자동충전로봇 서비스(Automatic Charging Robot Service)도 서비스 디자인 분야에서 본상을 수상했습니다. 전기차 자동충전로봇 서비스는 차량의 주차 상태를 스스로 판단해 충전을 시작하는 자동화된 서비스로, 사용자는 차량에서 내리지 않은 채 전체 충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편리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현대차·기아의 지속가능한 미래에 대한 임직원들의 집요한 고민과 각 브랜드의 디자인 철학이 결합돼 높은 성과를 낼 수 있었다"며 "차별화된 모빌리티 경험이 고객에게 닿을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삼성생명(대표이사 사장 홍원학)은 공식 유튜브 채널 구독자가 연초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26만1000명으로 집계됐다고 20일 밝혔습니다. '보험을 넘어서는 보험'이라는 슬로건에 아래 기존 보험 콘텐츠 틀에서 벗어나 젊은 세대 삶과 정서에 깊이 공감하는 메시지를 담아낸 결과라고 삼성생명은 의미를 부여합니다. 올해 2분기부터는 '젊음과 가능성이 길어진 시대에 맞춰 개인의 도전과 성장을 응원하는 보험'이라는 메시지를 전면에 내세우며 슬로건에 담긴 브랜드 철학을 구체화하고 있습니다. 보험상품과 보장에 대한 단순안내를 넘어 시대변화에 따라 재정의된 보험의 역할과 의미를 콘텐츠에 담아내고 있는 것입니다. 시대적 공감을 이끌어내고자 하는 콘텐츠에 2030세대도 적극 화답하고 있습니다. 연초 12만명에 머물던 삼성생명 공식 유튜브 채널 구독자는 7개월여만에 26만명을 돌파했습니다. 유튜브 콘텐츠 관련 상호작용(좋아요·댓글·공유등)은 700여건에서 8000여건으로 11배가량 큰폭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삼성생명 공식 인스타그램 채널 팔로워는 연초 대비 2배 이상 늘어나 9만명을 넘었고 콘텐츠에 대한 반응(좋아요·댓글·저장등) 또한 30% 증가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같은 성과의 중심에는 유튜브 웹예능 '망중왕전'이 있다고 삼성생명은 설명합니다. 망중왕전은 '망해야 우승하는 오디션'이라는 역발상에 토대를 둔 콘텐츠입니다. 다양한 실패를 겪은 참가자 사연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최종우승자는 100만원의 '갱생지원금'을 받습니다. '실패해도 괜찮다'는 시대적 정서를 위트있게 반영해 젊은세대 구독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이밖에도 길거리 인터뷰를 통해 세대간 공감을 이끌어내는 '과거의 오늘 뭐하셨나요', 2030세대 딸의 시선으로 보험설계사 엄마의 하루를 담은 '내일은 FC', 금융상식을 알아보는 게릴라 퀴즈쇼 '보험 들고 챌린지', AI 캐릭터를 활용해 일상생활과 관련된 보험정보를 알기 쉽게 전달하는 '궁금해리 알려달리' 등 다양한 포맷의 콘텐츠를 선보이며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삼성생명 '별리' 캐릭터를 활용한 인스타그램 콘텐츠도 브랜드 정체성을 2030세대에 더욱 가깝고 친숙하게 풀어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랜덤 음료 뽑기', '직장인 명언시리즈' 등 직장인의 일상과 감정을 유쾌하게 풀어낸 콘텐츠는 수차례 공유되며 높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삼성생명 관계자는 "보험이라는 어려운 주제를 젊은세대가 공감할 수 있는 콘텐츠 언어로 쉽게 풀어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고객 일상에 응원과 감동을 전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라이프파트너'로서 삼성생명의 이미지를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