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김현우 기자ㅣ 넛지효과로 알려진 행동경제학을 통해 금융소비자보호정책을 보완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9일 보험연구원·한국금융연구원·자본시장연구원은 은행회관 국제회의실에서 ‘금융소비자보호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총 3가지의 주제발표가 있었는데 보험연구원은 ‘행동경제학에 기초한 금융소비자보호 방안’을 발표했다.
발표를 맡은 변혜원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전통적인 금융소비자정책의 한계를 행동경제학적 관점의 통찰을 통해 보완할 것을 제안했다.
변 연구위원은 “전통적인 금융소비자정책은 인간을 주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이성적인 사람으로 정의한다”며 “하지만 의사결정을 할 때 심리적·사회적 요소에 영향을 받는 게 인간”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행동경제학을 통한 금융소비자보호정책은 소비자의 경제적 유인체계를 심하게 바꾸지 않으면서 시의적절한 개입을 통해 소비자의 행동변화를 효과적으로 유도한다”며 “소비자의 편향이나 특성을 감소시키거나 오히려 특성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변 연구위원은 이와 관련된 실험으로 금융소비자의 비합리적인 신용카드 선택을 개선시킨 사례를 소개했다. 영국의 행동경제학적 접근을 주도하는 기관인 BIT는 소비자들이 신용카드의 무이자 기간에 대한 광고 내용에만 집중하고, 기타 특성에 관심을 덜 가지는 문제에 집중했다.
BIT는 기존의 신용카드 비교사이트가 가진 문제를 행동경제학적 관점으로 접근했다. 우선, 동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수료와 요금을 확인할 수 있도록 바꿨다. 또, POP-OUT 효과를 위해 중요한 정보를 배경과 대비되는 색으로 처리하는 등의 작업을 진행했다.
그 결과 해당 사이트를 이용한 소비자는 기존의 신용카드비교사이트를 이용하는 소비자보다 신용카드를 합리적으로 선택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변 연구위원은 “이메일이나 정보제공 형식의 변화와 같은 작은 개입이 큰 행동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며 “정보의 단순화·개인화·상호작용이 가능한 구조는 금융소비자의 정보접근성 제고나 상품이해력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효과적인 금융소비자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소비자의 심리적·인지적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며 “단, 행동경제학적 정책수단 또는 실험은 전통적인 소비자보호정책의 보완책이지, 모든 정책적 문제에 대한 적절한 해결책이 될 순 없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