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Industry/Policy 산업/정책

[현장+] ‘내가 그냥 에어컨으로 보이니?’...삼성전자 무풍에어컨 체험기

URL복사

Thursday, January 17, 2019, 18:01:31

고급 스피커 같은 디자인 ‘好’...소비자가 원하는 음성 콘텐츠들도 지원 예정
‘어눌한 친구’ 같은 뉴 빅스비는 답답한 느낌...회사 측 “AI로 차차 개선될 것”

 

인더뉴스 이진솔 기자ㅣ ‘거실 가전의 제왕’ TV의 위상이 위태롭다. 에어컨이라는 강적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시원한 바람은 기본 중에 기본. 공기청정기능을 갖춰 사계절 가전으로 변모한 데다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만나 인테리어 가전 역할도 수행하게 됐다. 여기에 인공지능까지 더해지며 가정 사물인터넷(IoT)의 허브로 거듭나려 한다.

 

◇ ‘에어컨이야 고급 스피커야?’

 

17일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R&D 캠퍼스에서 새로운 무풍에어컨을 마주한 첫 느낌은 에어컨이 아닌 ‘고급 스피커’였다. 하얀색 냉장고를 연상시키던 기존 에어컨 디자인과는 딴판이었다. 

 

무풍에어컨은 전면에 바람문이 보이지 않는다. 대신 스피커처럼 촘촘한 구멍이 뚫린 덮개가 앞쪽을 감싸고 있다. 색상도 캔버스 우드, 골드 메탈, 브라운 메탈 등 집안 인테리어와 자연스럽게 어우러졌다.

 

외관은 나무와 금속처럼 가구에 쓰이는 소재가 사용됐다. 식탁이나 책장같은 거실 가구와 무풍에어컨이 함께 있는 모습을 상상해도 어색하게 느껴지지 않을 정도. 뒤쪽으로 2도 기울어진 디자인도 미세하게 안정감을 줬다.

 

무풍에어컨의 디자인은 사용자의 취향과의 어울림에 집중한 듯했다. 최중열 삼성전자 생활가전 디자인팀장은 “거실공간은 삶의 취향을 담는 캔버스”라며 “집안의 풍경과 자연스러운 관계를 만들어내는 에어컨을 고민했다”고 말했다.

 

◇ 스스로 분석해 답하는 ‘뉴 빅스비‘...보완 가능성 열어둬

 

무풍에어컨 공개 행사의 하이라이트는 제품에 적용된 ‘뉴 빅스비‘ 시연이었다. 삼성전자 직원이 “하이 빅스비 나 집에 왔어”라고 하자 무풍에어컨이 “환영해요, 언제봐도 반갑네요”라고 대답했다. 

 

단순히 말만하는 에어컨이 아니다. 사용자가 공기청정도나 실내온도 등을 물으면 에어컨이 스스로 분석해 대답해 준다. 특히, ‘인공지능 쾌적’기능은 가족 구성원들의 목소리를 구분해 집안에 누가 있느냐에 따라 다른 냉난방 모드를 제공한다.

 

무풍에어컨의 뉴 빅스비에게 명령해 인공지능과 연결된 다른 삼성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다. 거실 에어컨이 사물인터넷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아직 구현되진 않았지만 소비자가 원하는 음성 콘텐츠들도 지원될 예정이다.

 

다만, 뉴 빅스비는 ‘어눌한 친구’ 같았다. 명령에 대답하기까지 길게는 5초 정도가 걸렸다. 이런 대화가 몇번 이어지자 답답한 느낌이 들었다. 유미영 삼성전자 생활가전 개발팀 담당임원은 “인공지능은 학습을 통해 진화하기 때문에 차차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직 겨울이 가시지 않아 무풍에어컨의 발전된 냉방성능을 직접 체험할 수는 없었지만 서큘레이터 팬을 장착하는 등 에어컨의 ‘기본기’인 냉방기능도 보강했다. 무풍면적이 두배로 넓어져 더 큰 공간까지 바람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에 PM1.0과 e-헤파 필터로 공기청정 능력도 강해졌다.

 

◇ 압도적인 가격·불편한 청소는 걸림돌

 

디자인부터 기본적인 냉방까지 크게 나무랄 데 없는 무풍에어컨이지만 문제는 가격이다. 이날 공개된 가격은 설치비 포함 출고가 기준 389만~665만원이다.  비슷한 기능을 지원하는 LG전자 ‘LG 휘센 씽큐’의 출고가보다 100만원 가까이 비싸다.

 

청소 문제도 있다. 바람문이 내부에 있어 사용자가 직접 청소하기 어려워 보였다. 현장에선 ‘곰팡이·악취 논란’이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무풍에어컨이 가동과 멈춤을 반복하다 내부에 생긴 수분에 세균이 증식하며 곰팡이와 악취가 생긴다는 것이다.

 

삼성 큐브, 레고처럼 쌓이는 공기청정기

 

행사장 한켠에 전시된 공기청정기 ‘삼성 큐브’는 블록 장난감인 ‘레고’를 연상시켰다. 47m²·90m² 용량의 모델이 있었는데 이번에 67m²가 새로 출시됐다. 47m²와 67m²모델 위에 47m² 모델을 쌓을 수 있다. 그래서 47m²·67m²·90m²·94m²·114m²으로 용량이 다양하게 구성된다.

 

분리와 결합이 가능해 평상시 작은 방에 두 개에 나눠서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큰 방에 합쳐 놓을 수 있다. 하지만 가장 작은 47m² 모델도 보기보다 무거워 설명만큼 분리와 합체가 쉬워보이지는 않았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More 더 읽을거리

이진솔 기자 jinsol@inthenews.co.kr

배너

대웅제약 펙수클루, 中 품목허가 획득…“2027년까지 100개국 확대”

대웅제약 펙수클루, 中 품목허가 획득…“2027년까지 100개국 확대”

2025.09.05 18:41:18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대웅제약(대표 박성수·이창재)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성분명 펙수프라잔)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5일 밝혔습니다. 적응증은 역류성식도염 치료입니다. 시장조사기관 IMS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 항궤양제 시장은 지난해 기준 약 3조 원 규모로 세계 최대 수준입니다. 특히 서구화된 식습관 변화로 위식도역류질환 환자가 급증하면서 치료 수요도 빠르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펙수클루는 대웅제약이 지난 2022년 출시한 P-CAB(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 계열 3세대 치료제로, 기존 PPI(프로톤 펌프 저해제)의 단점인 느린 약효 발현, 짧은 반감기, 식전 복용 제한을 개선했습니다. 긴 반감기로 ‘야간 속쓰림’ 개선에 강점을 보이며, 위산 역류에 따른 만성 기침 완화 효과까지 임상적으로 입증된 유일한 약물로 경쟁력을 확보했습니다. 대웅제약은 2026년 하반기 중국 발매를 목표로 현지 특성과 수요를 반영한 전략을 본격 전개할 방침입니다. 회사는 펙수클루가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펙수클루는 출시 3년 만에 국내외 연매출 1000억원을 돌파하며 블록버스터 의약품으로 자리잡았습니다. 현재 인도, 멕시코, 칠레, 에콰도르, 필리핀 등 6개국에서 판매 중입니다. 중국, 파나마, 콜롬비아 등에서는 품목허가를 받고 발매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전체 진출 국가는 30여 개국이며, 오는 2027년까지 100개국으로 확대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중국 품목허가는 펙수클루가 글로벌 블록버스터로 도약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세계 최대 항궤양제 시장인 중국에서 가장 신뢰받는 치료옵션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