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주동일 기자ㅣ 한복차림의 남자가 연인을 뒤에서 끌어안았다. 얼굴은 저고리를 입은 여인의 등에 반쯤 가려졌다. 여자는 담뱃대를 물고 곁눈질로 주위를 살폈다. 이 춘화는 MOI 워치의 새 시계 다이얼에 그려진 그림으로 세계 최대 시계박람회 바젤월드에 지난 3월 등장했다.
MOI 워치(대표 김한뫼)는 나전칠기에 쓰이는 전통 상감기법으로 다이얼을 2014년부터 디자인했다. MOI 워치가 바젤월드에 출품한 시계들은 옻칠한 자개의 은은한 빛과 색으로 전량 판매에 이어 네덜란드·사우디아라비아·러시아·중국·미국 등에서 추가 주문을 받으며 큰 인기를 끌었다.
올해는 기존 ‘나전칠기’ 라인에 이어 옻으로 조선시대 춘화를 그린 ‘춘화’ 라인을 준비 중이다. 김한뫼 대표가 바젤월드에 차고 간 춘화 시계는 많은 시계 제작자·바이어들에게 “충격적이다”라는 평을 들으면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 스위스 건너간 춘화 시계, 정식 출품 아니어도 주문 쇄도
김한뫼 대표는 스위스 시계회사 아르티아(ArtyA)의 대표인 이반 아르파와 함께 자개 시계를 만들어 2017년부터 바젤월드에 출품했다. 이반 아르파는 세계적인 시계 디자이너로 국내에선 삼성전자 스마트워치 기어S3 디자인에 참여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춘화 시계는 아르티아를 통해 바젤월드에 출품하지 않고 김 대표가 직접 차고 갔다. 우리나라의 전통공예를 담은 시리즈만큼은 김 대표가 직접 이끌고 싶다는 의지에서다. 하지만 전시품이 아니었음에도 춘화 시계는 박람회 기간 내내 가격과 주문 문의를 받았다.
다이얼의 춘화는 김 대표가 수작업으로 옻칠해 완성했다. 인물의 선과 머리카락은 옻을 쌓아 올리듯 덧칠해 은은한 빛을 낸다. 김 대표는 “블랑팡 등으로 유명한 에로틱 시계 장르에 한국적인 소재와 기법을 사용한 것이 신선하게 보인 것 같다”고 말했다.
◇ 한글 새긴 휠·자개 다이얼 밴드로 ‘한국의 美’ 더해
춘화 시계 뒷면의 톱니바퀴엔 한글로 ‘사랑’과 ‘정력’을 새겼다. 수동시계는 크라운(용두)을 감으면 톱니바퀴인 크라운휠과 랫채트휠이 순서대로 돌아가면서 동력을 얻는다. 크라운휠과 랫채트휠에 각각 ‘사랑’과 ‘정력’을 새겨 ‘사랑은 정력의 원천’이라는 의미를 담았다.
케이스는 40mm로 다이얼 밴드(옆면)는 자개에 옻을 칠한 상감기법으로 한국적인 미를 더했다. 무브먼트는 스위스 ETA 6497을 사용했다. 내구성이 높아 고장이 적기로 유명하다. 김 대표는 “제품력 향상을 위해 다년간 검증을 거쳐 정확하고 잔고장 없는 무브먼트를 사용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무브먼트는 직접 오버홀한다”며 “COSC 인증범위 내 시간 오차에 합격한 제품을 출고한다”고 덧붙였다.
엘리게이터 가죽 무늬가 새겨진 스트랩은 유명 시계 부품사인 버전(Bergeon)의 러버 스트랩으로 격한 운동 시에 땀이 나도 쉽게 세척할 수 있어 위생적이다. 시계 앞면과 뒷면의 글라스는 긁힘에 강하고 사파이어 글라스를 사용했다. 가격과 정식 출시일은 미정이다.
◇ 자개·그림 이은 금박...옻칠, 국내 시계 경쟁력 될 수도
MOI 워치는 옻칠로 그린 춘화 시계를 준비해 내년 바젤월드에서 전시할 계획이다. “옻나무가 자라지 않는 스위스에서 옻칠로 만든 시계는 우리나라만의 경쟁력이 될 수 있다”며 “궁궐이나 몽유도원도를 다이얼에 그려 새로운 라인을 만들 생각도 있다”고 김 대표는 설명했다.
현재 김 대표는 아르티아와 함께 금박으로 디자인한 시계 다이얼을 만들고 있다. 금박 전문가와 함께 다이얼에 금을 입힌 뒤 옻칠한 다이얼이다. 순금 본연의 색상으로 부드럽고 우아한 빛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김 대표는 옻칠과 상감기법을 배우기 위해 나전칠기 무형문화재 보유자에게 자개 제작 기술을 배웠다. 황동으로 만든 시계 다이얼에 옻이 붙지 않아 신소재 공학 자료를 찾고, 덧칠로 시계가 두꺼워지는 것을 막기 위해 3년 동안 연구해 ‘나전칠기’ 라인을 완성했다.
◇ “국내 시계 토양 만들 것”
국내 시계 브랜드를 론칭해 한국적인 디자인을 더한 김 대표의 목표는 우리나라 시계 산업의 토양을 만드는 것이다. 그는 “내 사업이 성공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만에 하나 실패하더라도 누군가 나를 선례 삼아 도움을 받는다면 그것대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에 더해 김 대표는 국내에서 시계 무브먼트를 배울 수 있는 강좌를 열고 있다. 기본·심화·고급 과정으로 나눠 이론부터 실습까지 가르쳐 많은 시계 매니아들이 찾고 있다. 마지막 단계인 고급과정까지 마친 수강생만 올해 5명 정도다. 수강생들은 창업을 하거나 스위스·독일 시계 학교로 유학을 간다.
최근 김 대표는 스위스 뇌샤텔의 국제시계학교인 보스텝(WOSTEP)에 폴리싱 단기 과정을 건의했다. 습득이 빠른 한국인들이 보다 빨리 성장할 수 있길 바라는 마음에서였다. 보스텝은 이를 받아들여 3월부터 폴리싱 단기 수업을 만들었다.
김 대표는 “우리나라는 시계 산업 토양이 탄탄하지 않다”며 “한국적인 시계가 세계에 알려지고 맞춤형 커리큘럼을 받는 등의 경험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시계 분야 진출을 꿈꾸는 이들이 자신감을 얻길 바란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