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김현우 기자ㅣ 에이스손해보험과 AIG, 악사손해보험 등 3개 외국계 손보사의 지난해 말기준 장기보장성보험료 신용카드납 비중은 평균 50%에 육박했다. 전체 고객 중 절반 가량이 카드로 보험료를 냈다는 것이다.
손해보험업계 평균이 12.2%에 그치고 10%를 밑도는 보험사가 수두룩한 것을 감안하면 꽤 많은 차이가 난다. 매달 보험료를 내는 장기보험은 수수료 부담으로 인해 보험사들이 카드 수납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
30일 손해보험협회 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에이스손해보험의 장기보장성보험료 신용카드납지수는 60.2%로 손보업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AIG손해보험과 악사손해보험도 각각 40.8%, 39.2%를 기록했다.
이들 보험사가 카드로 보험료를 받는 비중이 높은 것은 주된 판매채널과 상품, 고객층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에이스손보는 주력 상품이 운전자보험과 치아보험, 주된 판매채널이 TM과 홈쇼핑이다보니 다른 상품이나 채널에 비해 카드납부가 편리한 측면이 있다.
AIG손보 역시 높은 카드슈랑스 비중에서 비롯됐다. 이 회사 관계자는 “지난 2016년부터 카드슈랑스를 통해 장기보장성보험 판매를 늘리고 있다”며 “카드사와 연결된 판매 방식이다보니 자연스럽게 보험료 카드결제 비중이 높다"고 말했다.
악사손보의 경우 주요 고객층의 성향이 영향을 미쳤다. 이 회사 관계자는 “고객들이 대부분 자동차 다이렉트보험을 이용하기 때문에 신용카드납부에 익숙하다”며 “자동차보험은 신용카드납부가 되는데 장기보장성보험은 안 된다면 소비자가 불편해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아직 국내 손보사의 보험료 카드수납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 ▲삼성화재 12.5% ▲현대해상 7.4% ▲DB손해보험 13.2% ▲KB손해보험 12.3% ▲메리츠화재 8.4%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