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Small Business 중소기업 Column 칼럼

[권지영의 생경한 소식] 무선 청소기가 뭐길래?

URL복사

Tuesday, May 21, 2019, 06:05:00

혼수 5대 가전제품 등극..고성능 제품은 100만원 훌쩍 넘어
‘브랜드냐, 스펙이냐, 평판이냐, 가격이냐..그것이 문제로다’

 

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 #. 냉장고, TV, 세탁기, 에어컨은 회사별 제품 비교하니 합리적인 가격대로 구매할 수 있었는데요. 그런데 아직 무선청소기를 못 샀어요. 가격대도 100만원은 훌쩍 넘어 김치냉장고보다 비싸고, 제품별 장단점이 뚜렷해서 어떤 브랜드를 골라야 할지 모르겠어요.

 

결혼을 한 달여 앞둔 기자는 최근 고민이 생겼습니다. 신혼집에 들일 가전제품을 고르는데, 무선청소기를 사야할지 헷갈리기 때문입니다. 온라인 쇼핑몰에서 가격비교를 통해 대다수의 가전제품을 예산보다 저렴한 가격에 구매했는데, 청소기가 복병으로 등장했습니다. 

 

제가 고른 가전제품 예산은 대략 이렇습니다. 우선, 5대 가전으로 불리는 ▲냉장고(142만원) ▲TV(85만원) ▲세탁기(110만원) ▲김치냉장고(105만원) ▲ 압력밥솥(16만원)입니다. 여기에 고성능 청소기를 더하면 120만원이 추가됩니다. 

 

몇 년 전부터 강남을 중심으로 고가의 프리미엄 무선청소기가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 개인적인 상황도 있고해서 무선청소기를 알아봤습니다. 국내 무선청소기 돌풍을 일으켰던 영국의 다이슨과 LG전자의 코드A9, 삼성전자의 제트 세 가지 모두 100만원을 훌쩍 넘겼습니다. 

 

결혼을 앞둔 A 씨 역시 저와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는 “세탁기, 냉장고, TV부터 심지어 에어컨까지 수많은 제품 중 구매할 것들을 고르는 데는 크게 어렵지 않았다”면서 “하지만, 무선청소기를 알아보는데, 브랜드별로 장단점이 다른 데다 김치냉장고보다 비싸서 아직 결정을 못 했다”고 토로했습니다. 

 

 

가전업계에 따르면, 국내 스틱형 무선청소기 시장은 지난 2017년 70만대 수준에서 작년 100만대 판매 돌파를 기록했습니다. 올해는 140만대 판매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LG전자 코드제로가 국내 시장 점유율의 50%를 차지하며 선두를 달리고 있는데, 다이슨과 삼성전자가 뒤따릅니다. 

 

LG전자 ‘코드제로 A9’은 짧은 충전으로 최대 80분(배터리 2개) 사용 가능합니다. 일명 회오리 바람을 일으키는 분당 회전속도는 11만 5000회로 경쟁사보다 월등합니다. 흡인력과 청소기 무게 스펙도 경쟁사와 비교해 뒤쳐지지 않습니다. 무선청소기 제품 중 평도 가장 좋은 편입니다. 

 

강남 주부들 사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다이슨 무선청소기 ‘V11 컴플리트’의 경우 강력한 흡인력(155AW)과 디자인이 장점으로 꼽힙니다. 다만, 온라인에서 다이슨 청소기 사용 리뷰를 살펴보면 “제품은 완벽하지만 서비스가 별로다”라는 평이 많습니다. 

 

마지막으로 삼성전자 ‘제트’는 올해 2월 내놓은 제품으로 배터리, 흡인력, 청소시간 등 스펙은 무선청소기 중 가장 우수합니다. 다만, 온라인 리뷰 등에 따르면 청소할 때 소음이나 그립감(잡는 느낌) 등은 경쟁사보다 못 하다는 평이 나옵니다. 

 

무선청소기 가격은 60만~120만원대로 등급에 따라 다릅니다. 기본 사양에 물걸레와 침구류 등의 옵션을 더할수록 가격대는 높아집니다. 기본적으로 무선청소기는 초고속 모터, 2중 터보 사이클론, 흡입력 와트, 배터리 등을 고려해 제품을 고릅니다. 

 

전반적인 사용후기와 가격대를 보면 LG전자 ‘코드제로 A9’로 마음이 기웁니다. 하지만 평소 사용해보고 싶었던 제품은 다이슨 컴플리트 제품입니다. 고민 끝에 결정할 찰나에 옆에서 “이왕이면 가장 최신 제품인 삼성 제트를 써보고 싶다”는 의견이 훅 치고 들어와 다시 고민에 빠집니다. 

 

결혼 2년차인 B씨는 “브랜드와 디자인, 성능, 가격, 사용후기를 꼼꼼히 따져보고 어떤 제품을 구매할지 고민 중이다”면서 “브랜드는 다이슨을 선호하는데, 스펙은 삼성전자, 사용후기는 LG전자가 각각 앞서 있어 결국 가격대를 보고 결정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권지영 기자 eileenkwon@inthenews.co.kr

배너

삼성중공업, 3411억 규모 원유운반선 3척 수주

삼성중공업, 3411억 규모 원유운반선 3척 수주

2025.10.24 11:42:06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삼성중공업[010140]은 라이베리아 지역 선주로부터 원유운반선 3척을 3411억원에 수주했다고 24일 공시했습니다. 이번 계약으로 삼성중공업은 올해 총 52억달러 규모의 수주를 기록했습니다. 상선 부문은 수주목표 58억달러 중 45억달러(78%)를 수주했고, 해양 부문은 7억달러 규모의 예비 작업 수주에 이어 코랄 FLNG와 델핀 FLNG 수주로 목표액 40억달러 수주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연간 수주 현황은 선종 별로 LNG운반선 7척, 셔틀탱커 9척, 컨테이너운반선 2척, 에탄운반선 2척, 원유운반선 9척, 해양생산설비(1기) 예비 계약 등 30척입니다. 다양한 선종으로 수주 포트폴리오를 넓혀 나가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에 수주한 원유운반선 3척은 베트남 조선소에서 건조할 예정으로 알려저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삼성중공업은 거제조선소를 기술개발 허브로 육성하는 한편 LNG운반선, 친환경 컨테이너선, FLNG 등 고부가 가치 선박 건조 중심으로 특화하고 있습니다. 반면 원유운반선의 경우 설계, 주요 장비 구매 조달은 삼성중공업이 수행하고, 전선(全船) 건조는 중국은 물론 동남아시아 및 국내 조선소에 맡기는 방식으로 글로벌 오퍼레이션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7월 그리스 센트로핀과 11월 다이나콤 탱커스에서 수주한 원유운반선 총 8척을 싱가폴 팍스오션 그룹 산하 중국 주산 조선소에서 전선 건조하고 있습니다. 올해 9월 그리스 뉴쉬핑에서 수주한 원유운반선 2척은 국내에서 건조할 예정으로 이러한 협업 모델을 통해 국내 중소형 조선소와 상생 협력을 확대해 나갈 방침입니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최근 삼성중공업은 '인도 스완조선소' 와 조선사업 협력을, 미국 '비거마린그룹'과도 MRO를 포함한 전략적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등 글로벌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다"며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대응해 지속 가능하고 경쟁력 있는 유연 생산 체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