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Major Company 대기업

4개월 만에 200만 돌파...가입자도 헷갈리는 5G 오해와 진실은?

URL복사

Sunday, September 15, 2019, 06:09:00

[권지영의 생경한 소식] 5G, LTE보다 요금 비싼건 오해..배터리 소모는 절반은 맞아

 

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지난 4월 3일 밤 11시. 세계 최초 5G 상용화 타이틀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국내 이동 통신 3사는 철통 보안 속에 1호 가입자 기습 개통 작전을 펼쳤습니다. 5G가 우리 생활에 녹아든지 160 여일이 지났습니다.

 

하지만, 아직 5G에 대한 모르는 부분이 많은데요. KT 에서 발간한 8월 뉴스레터의 ‘5G 오해와 진실’ 코너를 참고해 5G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보겠습니다.

 

5G를 쓰면 LTE 보다 배터리 소모가 빠르다?

 

A. (△) 5G 네트워크를 벗어날 경우 LTE에 접속해 데이터를 전송해야기 때문에 LTE대비 배터리 소모가 더 빠른 편입니다. 때문에 KT를 포함해 이통사들은 LTE에서 국내 최초 상용화했던 배터리절감기술(C-DRX)을 5G에도 적용해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5G 단말기로 통화하면 음성통화도 5G 네트워크를 이용해 통화한다?

 

A. (△) 현재는 5G 단말기도 VoLTE(Voice over LTE, LTE망을 이용한 음성통화)를 통해 음성통화를 하는 방식입니다. 5G 음성통화(VoNR, 5G망을 이용한 음성통화) 서비스 도입 후에는 5G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성통화가 가능합니다. 다만, VoNR을 지원하는 신규 단말에 한해 가능합니다. 참고로 국제표준기구 3GPP는 이동통신세대별로 브랜드 이름을 정의하는데, 4G의 경우 LTE(Long Term Evolution), 5G의 경우 NR(New Radio)입니다.

 

실내에서도 5G네트워크를 쓸 수 있는 시기는 올해 말부터다?

 

A. (△)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에서 5G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별도의 인프라를 구축해야 합니다. 6월부터 공항, KTX 역사, 대형쇼핑몰을 시작으로 인빌딩 커버리지를 확대하고 있으며, 계속해서 5G WiNG(트래픽 및 커버리지 분석 솔루션)을 통해 고객이 많이 모이는 핀 포인트 지역에 5G 망을 촘촘히 집어 넣을 계획입니다. 올해 말에는 고객들께서 이마트, 하이마트 등 쇼핑몰에서도 5G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습니다.

 

 

5G와 LTE 네트워크를 병합하는 방식이 5G 네트워크만 사용하는 것보다 속도가 빠르다?

 

A. (△) 이론적으로는 주파수 자원의 양에 비례해 전송속도가 빨라집니다. 하지만 LTE 상용망에서 LTE 가입자당 전송속도가 높지 않아 병합 효율이 높지 않고, 병합하는 경우 5G 단말기가 LTE 네트워크를 사용해 기존 LTE 가입자의 전송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KT가 LTE+5G 병합전송과 5G 단독전송을 다양한 상황에서 시뮬레이션 한 결과, LTE+5G 병합전송의 속도향상 효과가 크지 않고, 5G 단독전송이 안정적인 속도를 낸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또 이미 포화상태인 LTE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 병합전송을 제공하는 방식은 신규 5G 주파수 대역인 3.5GHz 100MHz 대역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해변에 기지국을 설치하면, 5G 전파가 육지보다 더 멀리간다?

 

A. (△) 일반적으로 무선 전파는 해안에서 바다 표면에 반사돼 지상보다 멀리 전송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현재 5G 3.5GHz 장비는 특정 사용자와 기지국 간 무선 채널 변화에 적응해 전송 거리를 넓히는 기술, 빔포밍(Beamforming)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단순히 육지보다 바다에서 전파가 더 멀리 간다고 단정하여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이에 대한 기술 검증이 필요합니다.

 

LTE 요금제와 5G 요금제 중 더 비싼 요금제는 5G 요금제다?

 

A. (X) LTE 요금제가 5G 요금제보다 저렴하다는 것은 맞지 않습니다. QoS(속도제어)가 없는 완전 무제한 요금제에 차이가 있습니다. 예컨대, 속도제어가 없는 LTE 데이터 완전무제한 요금제는 월정액 8만 9000원의 프리미엄 요금제 입니다. 5G 요금제 슈퍼플랜(3종)의 경우 데이터 이용 시, 속도제어가 없는 요금제 입니다. 월정액 8만인 베이직 요금제 역시 5G 속도로 데이터 완전 무제한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5G 요금제에 가입하면 해외에서도 데이터로밍이 무료?

 

A. (△) 이동통신사 중에서 5G 요금제를 이용하면 데이터로밍 혜택이 무료로 적용되는 곳이 있습니다. 아직 해외의 모든 국가가 5G를 상용화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해외에서 5G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현재는 LTE 또는 3G로 데이터 통신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권지영 기자 eileenkwon@inthenews.co.kr

배너

삼성중공업, 3411억 규모 원유운반선 3척 수주

삼성중공업, 3411억 규모 원유운반선 3척 수주

2025.10.24 11:42:06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삼성중공업[010140]은 라이베리아 지역 선주로부터 원유운반선 3척을 3411억원에 수주했다고 24일 공시했습니다. 이번 계약으로 삼성중공업은 올해 총 52억달러 규모의 수주를 기록했습니다. 상선 부문은 수주목표 58억달러 중 45억달러(78%)를 수주했고, 해양 부문은 7억달러 규모의 예비 작업 수주에 이어 코랄 FLNG와 델핀 FLNG 수주로 목표액 40억달러 수주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연간 수주 현황은 선종 별로 LNG운반선 7척, 셔틀탱커 9척, 컨테이너운반선 2척, 에탄운반선 2척, 원유운반선 9척, 해양생산설비(1기) 예비 계약 등 30척입니다. 다양한 선종으로 수주 포트폴리오를 넓혀 나가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에 수주한 원유운반선 3척은 베트남 조선소에서 건조할 예정으로 알려저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삼성중공업은 거제조선소를 기술개발 허브로 육성하는 한편 LNG운반선, 친환경 컨테이너선, FLNG 등 고부가 가치 선박 건조 중심으로 특화하고 있습니다. 반면 원유운반선의 경우 설계, 주요 장비 구매 조달은 삼성중공업이 수행하고, 전선(全船) 건조는 중국은 물론 동남아시아 및 국내 조선소에 맡기는 방식으로 글로벌 오퍼레이션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7월 그리스 센트로핀과 11월 다이나콤 탱커스에서 수주한 원유운반선 총 8척을 싱가폴 팍스오션 그룹 산하 중국 주산 조선소에서 전선 건조하고 있습니다. 올해 9월 그리스 뉴쉬핑에서 수주한 원유운반선 2척은 국내에서 건조할 예정으로 이러한 협업 모델을 통해 국내 중소형 조선소와 상생 협력을 확대해 나갈 방침입니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최근 삼성중공업은 '인도 스완조선소' 와 조선사업 협력을, 미국 '비거마린그룹'과도 MRO를 포함한 전략적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등 글로벌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다"며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대응해 지속 가능하고 경쟁력 있는 유연 생산 체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배너